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李春蘭 | - |
dc.contributor.author | 이홍선 | - |
dc.creator | 이홍선 | - |
dc.date.accessioned | 2016-08-26T11:08:14Z | - |
dc.date.available | 2016-08-26T11:08:14Z | - |
dc.date.issued | 1976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058101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272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101 | - |
dc.description.abstract | 美國의 反奴隸運動의 역사는 일반적으로 점진적 反奴隸運動, 즉각적 反奴隸運動, 정치적 反 奴隸運動으로 구분 될 수 있다. 본 論文은 이러한 反奴隸運動의 전개과정을 American Colonizaton Society,New England Anti-Slavery Society 그리고 American Anti-Slavery Society등의 조직체들의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끝으로 Liberty Party의 결성까지를 고찰해 보고저 한다. 점진적인 反奴隸運動의 전개과정에 있어서는 미국의 Quaker교도들이 주도적 역할을 담당했다. 그들의 反奴隸運動의 양상은 奴隸貿易에 대한 반대 , 奴隸勞動에 의한 산물의 불매운동 , 奴隸制度의 지리적 擴張에 대한 반대등이었다. 그러나 Quaker교도들은 奴隸廢止를 위해 격렬히 투쟁하기보다는 그들의 평화주의 원칙을 고수함으로써 1830년代에와서 즉각적인 奴隸廢止論이 대두되자 反奴隸運動에 있어 그들의 지도력도 약화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점진주의적 奴隸廢止運動의 일환으로서 간주될 수 있었던 American Colonization Society의 활동은 처음에는 여러계층의 호응을 얻어 활동을 전개해나갔다. 그러나 이 식민운동 자체가 인종차별주의에 의거하고 있어 黑人들 자신과 또 奴隸廢止論者들의 반발을 샀고 또 이 식민운동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해서는 재정적 부담이 너무 큰 비현실적인 운동이었다. 1830년代에 와서 미국의 反奴隸運動은 하나의 새로운 전환기를 맞이하였다. 그것은 영국에서 즉각적 奴隸廢止論의 대두로 인한 影響과 또 William L. Garrison 같은 과격한 廢止論者가 등장하여 미국의 反奴隸運動을 즉각적인 奴隸廢止運動으로 이끌어 나갔기 때문이다. Garrison은 New England Anti-Slavery Society를 중심으로 즉각적인 廢止運動을 전개해 나갓으며 奴隸制度의 문제는 하나의 도덕적인 문제라고 보고 평화적이며 합법적 수단을 통한 도덕적인 권유에 의해 奴隸制度를 廢止시키고저 하였다. 그러나 그의 奴隸制度에 대한 증오와 奴隸소유주에 대한 비난의 어조는 과격하였다. 1832년 Garrison이 New England Anti-Slavery Society를 조직한 후부터 1840년 Liberty Party의 결성 이전까지의 시기는 奴隸制度에 대한 찬반의 경계가 뚜렷이 구분하는 시기였다. 전국적 反奴隸團體인 American Anti-Slavery Society를 비롯한 많은 廢止團體들이 조직되어 반노예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廢止論者들의 活動이 활발해 짐에따라 奴隸制度를 지지하는 사람들은 더욱 廢止論者들을 증오하게 되어 흑인들의 자유를 억압하는 외에도 廢止論者들 즉 백인들의 기본적 자유인 토론의자유 , 연설의자유 청원권의 자유를 부정하는 태도로 나왔다. 그러나 이러한 奴隸制度 옹호자들의 행동은 反奴隸運動을 더욱 자극하는 역효과를 초래하였다. 1839에서 1840년사이에 廢止運動에 여성을 참여시키는 문제와 廢止論者들의 정치적인 참여여부 문제로 야기된 廢止論者들의 분열은 전국적 反奴隸團體의 세력을 약화시켰다. Garrison 계열의 廢止論者들은 奴隸制度는 도덕적인 문제이므로 정치적 수단을 통해 해결될수 없다고 주장하였으나 대부분의 廢止論者들은 정치적 활동을 통해 Columbia 특별지구에서의 奴隸制廢止나 각 주간의 奴隸賣買등을 저지 할 수 있으리라 믿었다. 그리하여 정치적 활동을 통한 奴隸制度의 廢止를 모색하는 廢止論者들은 독자적인 Liberty Party를 형성하였다. 이로써 反奴隸運動에 있어 도덕적인 면의 강조로 오랫동안 소홀히 해왔던 정치적 행동을 추구하게 되며 廢止論者들은 國家的 양심을 자극하는 反奴隸原理를 정강으로 삼는 정당을 조직하는데 까지 그들의 反奴隸運動을 發展시켜 나갔다고 할 수 있다.;The history of antislavery movement of America may be classified into three periods; the history of gradual anti-slavery movement, immediate antislavery movement and political antislavery movement. The development of such movements will be examined here with reference to practices by the organizations such as American Colonization Society, New England Anti-Slavory Society and American Anti-Slavery Society. Finally the establishment of Liborty Party will be examined. As far as the gradual antislavery movement was concerned Quaker had played a leading role. Their major practices were protest against slave trade, boycott on the goods produced with slave labor and protest against expansion of slavery. Yet Quaker was not capable of striving the movement successfully since they did not struggle violently but obstinately clung to the peaceful settlement. With the emergence of immediate abolition of slavery in 1830's, Quakers striving for antislavery movement was weakened. American Colonization society, which could be regarded as a gradual antislavery movement organization, developed activities step by step with a lot of sympathy at first. But the colonization movement was repeled by negroes themselves and abolitionists, since the movement itself depended upon racial inferiority in negroes, and it needed impractical expenses. In 1830's antislavery movement of America had a turning point. Because the influence of immediate emancipation theory of England and the emergence of the excessive abolitionist such as William Lloyd Garrison led the movement into immediate antislavery movement. Gerrison developed antislavery movement basing on New England Anti-Slavery Society, Considering slavery a moral problem he would abolish slavery depending on noral recommendation through the peaceful and legal means. But his hatred of slavery and his tone of blame against the slaveholder were very excessiva. From the organization of New England Anti-Slavery Society to the organization of Liberty Party, lines for and against slavery were sharply drawn: a crisis was reached and passed in the struggle to prevent the philosophy of slavery from completely dominating the country: the fandamental principles of antislavery doctrine were clarified; the North was abolitionized and covered with a vast network of antislavery societies. As abolitionist's activities became animated, slavery supporter detested abolitionist more and more. They denied even abolitionist's civil rights; liberty of discussion, speech, and petition which is fundamental even to the white man, not to speak of Negroes. But these suppression of slavery supporter still more stimulated antislaveny movement and brought inverse effect. In 1840, the disunion of abolitionists which was due to propriety over the participation of woman in their movement and their intervention in political problem, weekend the power of national wide antislavery organization. Abolitionists of Garrison line insisted that slavery could not be settled by political means since it was a moral problem. But most of abolitionists believed that they could abolish the slavery of the District of Columbia and restrain the slave trade of each state's by means of political practice. So they established unique liberty Party looking for the way of emancipation through political activities. Thus, abolitionist began to seek political step which was disregarded for a long time on account of immoderate emphasis on the moral side. They made their antislavery movement so advanced that they organized a political party whose principle was antislavery.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目次 = iii 緖論 = 1 Ⅱ. American Colonization Society의 組織 및 활동 = 4 A. 미국 Quaker 교도들의 反奴隸運動 = 4 B. American Colonization Society의 活動 = 12 Ⅲ. New England Anti-Slavery Society의 結成(1832) = 25 A. 영국에서의 " Immediate Emancipation " 으로의 發展과 미국에 대한 그 影響 = 25 B. William L.Garrison의 등장과 Liberator 발간 = 31 C. New England Anti-Slavery Society의 결성 = 39 Ⅳ. American Anti-Slavery Society의 組織(1833)과 活動 = 46 A. American Anti-Slavery Society의 組織과 活動 = 46 B. Lane Seminary의 論爭과 民市權 의 擁護 = 54 C. 廢止論者들의 分製과 Liberty Party의 形成(1840) = 62 Ⅴ. 結論 = 69 參考文獻 = 72 ABSTRACT = 77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2672579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title | 美國의 反奴隸制運動의 性格에 관한 考察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subtitle | 1830年代를 中心으로 | - |
dc.format.page | vi, 80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사학과 | - |
dc.date.awarded | 1976. 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