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85 Download: 0

기관내 흡인 실시 후의 동맥혈 산소 분압 변화와 심부정맥 발현에 관한 연구

Title
기관내 흡인 실시 후의 동맥혈 산소 분압 변화와 심부정맥 발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Changes in Arterial Oxygen Tension(PaO_(2)) and Cardiac Arrhythmias after Endotracheal Suction
Authors
김선화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간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최영희
Abstract
의식 장애나 중추 신경계의 장애가 있는 중환자는 기도(air way) 유지를 위하여 기관내관이나 기관 절개관과 같은 인공 기도를 보유하게 되는데 인공 기도를 보유한 환자는 스스로 기침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기관내관이나 기관 절개관이 기도점막의 섬모작용을 방해하여 기도 내의 분비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해 내지 못한다. 따라서 이들 환자들의 분비물 제거는 기계적인 기관내 흡인(endotracheal suction)에 의존하게 되는데 기관내 흡인은 기도내의 분비물 뿐 아니라 폐 내의 상당량의 산소도 동시에 빨아내므로 소무기폐, 저산소혈증, 심부정맥 등을 초래하고 기관지 점막 손상, 감염, 기관지 경축 등의 합병증을 일으키며 심지어는 심장 정지와 죽음까지도 초래한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기관내 흡인전, 후로 과산소 공급과 폐포 과팽창을 시행하는데,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관내 흡인 후에 동맥혈 산소 분압의 감소와 심부정맥이 발현된다. 이에 본 연구자는 기관내 흡인 실시 후의 .동맥혈 산소 분압의 감소와 심부정맥 발현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적인 기관내 흡인방법의 개발과 비효율적 기도 청결의 간호 문제 해결을 위한 간호 중재에의 적용을 위하여 기관내 흡인 실시 후의 동맥혈 산소 분압 변화와 심부정맥 발현을 조사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연구 자료는 1992년 3월 20일 부터 1992년 4월 13일 까지 일 개 대학 부속 병원 중환자실과 뇌졸중 센터에 입원하여 기관내관이나 기관 절개관을 보유하고 있는 신경외과 성인 중환자 10명을 대상으로 생리적 측정법을 통하여 수집하였다. 연구 도구는 선행 연구의 문헌 고찰을 통하여 과산소 공급과 폐포 과팽창을 병행한 기관내 흡인 방법을 구성하였고 동맥혈 산소 분압은 기관내 흡인을 실시한 전, 후로 시간 경과에 따라 동맥혈 가스 분석을 시행하여 측정하였으며 심부정맥은 기관내 흡인 실시 전, 후로 시간 경과에 따라 심전도를 기록하여 내과 전공의 1인에 의해 판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를 이용하여 평균과 표준 편차, 백분율, Paired t-test의 통계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기관내 흡인 실시 후의 동맥혈 산소 분압 변화는 과산소 공급과 폐포 과팽창 실시 전에 비해 과산소 공급과 폐포 과팽창 실시 후에 동맥혈 산소 분압이 유의하게 상승되었고(P=0.005) 기관내 흡인 직후에도 흉인 전에 비해 유의한 산소 분압의 증가를(P=0.047) 나타내었다. 기관내 흡인후 10분 까지도 흡인 전보다 동맥혈 산소 분압이 높게 유지되었지만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2. 기관내 흡인 후의 심부정맥 발현 양상은 동빈맥, 동부정맥, 동서맥, 심방 조기 박동, 그리고 심실 조기 박동의 5가지 심부정맥이 발현되었는데 가장 많이 발현된 심부정맥은 동빈맥(8명)이었고 동부정맥을 나타낸 3명 중 2명은 흡인 후 10분까지도 지속되었으며, 동서맥은 1명에게서만 발현되었는데 흡인 후 10분까지도 동부정맥과 동반되어 지속되었다. 심방 조기 박동은 1명에게서만 발현되어 흡인 후 5분까지 동부정맥과 동반되어 지속되었고 심실 조기 박동은 3명에게서 발현되었는데 2명은 흡인 후 30초까지만 지속되었지만 1명은 흡인 후 10분까지 지속되었다. 두가지 심부정맥이 동반되어 나타난 대상자는 5명 이었는데 아 중 3명은 동빈맥과 심실 조기 박동이 동반되었고 1명은 동서맥과 동부정맥이 동반되었으며 다른 1명은 동부정맥과 심방조기 박동이 동반되어 발현되었다. 3. 기관내 흡인 실시 후의 심박수의 변화는 흡인 전에 비해 흡인 중에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으며(P=0.013) 흡인 후 1분까지도 유의한 증가를(P=0.028) 나타냈다. 기관내 흡인 실시 후 10분까지도 흡인 전에 비해 심박수의 증가는 계속되었으나 통계적 유의성은 없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현재 임상 실무에서 Ambu bag을 이용하여 과산소 공급과 폐포 과팽창을 병행하여 시행하고 있는 기관내 흡인 방법은 흡인 후의 동맥혈 산소분압 감소를 예방하는 데는 효과가 있으나 심부정맥의 발현을 예방하지는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간호사가 임상 실무에서 기관내 흡인을 실시할 때 이러한 부작용을 인식하고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충분한 과산소 공급과 폐포 과팽창을 기관내 흡인 전,후로 시행해야 할 것이며 합병증을 최소화 할 수 있는 새로운 기관내 흡인법의 개발을 연구, 시도해야 할 것이다.;Endotracheal intubation or tracheostomy should be done to assure air way patency in critically ill patients with disturbances in level of consciousness or the central nervous system. But, an endotracheal tube or an tracheostomy tube interferes with the cough reflex and mucociliary action, Patients intubated or having a tracheostomy can not expell secretions from the air way and need endotracheal suction. Endotracheal suction removes secretions, maintains air way patency, and promotes oxygenation. However, suction is not necessarily a benign procedure and may be associated with a variety of complications including suction-induced hypoxemia, cardiac arrhythmias, microatelectasis, tissue damage, infection, bronchospasm, cardiac arrest and even death. Even though hyperoxygenation and hyperinflation are done before and after endotracheal suction for prevention of complications, a decrease in arterial oxygen tension (P_(a)O_(2)) and cardiac arrhythmias may occur after auctioning. This study was designed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further research to develop an efficient endotracheal suction method which would minimize the decrease in P_(a)O_(2), and occurrance of cardiac arrhythmias. The specific objectives were to assess the changes in P_(a)O_(2), and the occurrance of cardiac arrhythmias before, during and after endotracheal suction. Data were collected from March 20 to April 13, 1992 at a university teaching hospital in Seoul. Subjects were 10 neurosurgical adult patients with an endotracheal tube or a tracheostomy tube, who were admitted to the Intersive Care Unit or the Cerebral Vascular Accident Center. Endotracheal suction, based on previous study outcomes, consisted of ambu bagging 3times with an oxygen supply of 10 L/min before and after the suctioning. P_(a)O_(2) was measured by analysis of arterial blood gas before, during and immediately after, then 30 sec., 1 min., 3 min., 5 min., and 10 min. after the endotracheal suctioning. Cardiac arrhythmias were measured by an electrocardiogram recorded before, during and after the endotracheal suctioning. The data were analyzed by using an S.P.S.S. computerized program for mean, standard deviation, Percentage and paired t-test. The results ofthis study were as follows : 1. The increase in P_(a)O_(2) after hyperoxygenation and hyperinflation was highly statistically significant(P= 0.005), and the increase in P_(a)O_(2) immediately after suctioning was significant(P= 0.047). The increase in P_(a)O_(2) lasted until at least 10minutes after the endotracheal suction,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2. The occurrance of cardiac arrhythmia after the endotracheal suction included sinus tachycardia, sinus arrhythmia, sinus bradycardia, Premature atrial contraction(PAC),and premature ventricular contraction (PVC). The most frequent cardiac arrhythmiawas sinus tachycardia(eight subjects). Sinus arrhythmia was observed in three subjects and continued till 10 minutes after suctioning in two of these. Sinus bradycardia occurred in only one subject and continued till 10 minutes after suctioning along with sinus arrhythmia. PAC was observed in only one subject and continued till five minutes after suctioning along with sinus arrhythmia. PVC was observed in three subjects ; it lasted for only 30 seconds after suctioning in two subjects, but continued for 10 minutes after suctioning in the third. Five subjects manifested two kinds of cardiac arrhythmia. Three of them showed sinus tachycardia with PVC, another showed sinus bradycardia with sinus arrhythmia, and the other subject showed sinus arrhythmia with PAC. 3. The increases in heart rate during the endotracheal suction immediately after and at30 seconds after suctioning were statistically sigmficant(P=0.013). The increase in heart rate at one minute after suctioning was also significant(P=0.028). The increase in heart rate continued until 10 minutes after the endotracheal suction, bu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is study, endotracheal suctioning with hyperoxygenation and hyperinflation was effective in preventing a decrease in P_(a)O_(2) after suctioning, but not in preventing cardiac arrhythmias. Nurses should be aware of the complications of endotracheal suctioning and do effective hyperoxygenation and hyperinflation before and after suctioning. Further research is needed to develop a efficient endotracheal suction method which will minimize complications. This study needs to be replicated with different populationsof patients intubated or having a tracheostomy, specifically, Patients who cardiac orpulmonary desea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