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dvisor | 李慶成 | - |
dc.contributor.author | 김순섭 | - |
dc.creator | 김순섭 | - |
dc.date.accessioned | 2016-08-26T11:08:02Z | - |
dc.date.available | 2016-08-26T11:08:02Z | - |
dc.date.issued | 1975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058110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3122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8110 | - |
dc.description.abstract | 刺繡는 가장 實用的인 일상생활의 必要에서 始作되어 오랜 역사를 거듭해오며 목적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계속되어왔다. 신라시대에 수입되어 李朝時代에 이르기까지 대륙문화와의 상호교류와 혹은 그 영향밑에서 이루어지면서도 항상 우리의 풍토와 民族的 特性에서 오는 일종의 純潔性을 유지해 왔고, 이것은 오늘날까지 움직일 수 없는 하나의 바탕을 이루고 있다. 女性의 교양으로서 가정에서 취미적으로 행해진 刺繡와 일부 궁궐 안에서 행해지는 「宮繡」의 두 주류를 이루며, 女性들에 의해 행해진 섬세하고 우아한 예술품인 刺繡는 모든 사람에게 보편화되지 못하고 발표할 기회도 적어 다른 예술처럼 활기있게 발전하지 못했다. 따라서 일반에게 엄연한 예술로서 인정을 받지도 못했다. 그러던 중 韓日合倂으로 國權이 상실되자 이러한 刺繡藝術의 傳統은 여지없이 중단되고 異民族의 정책에 의해 희생되었다. 그러나 新文化의 수입으로 다른 모든 藝術文化가 보다 새롭게 진전하게 되자 刺繡方面에도 관심이 커지고, 개화된 일부 여성들이 日本으로 유학을 가서 처음으로 刺繡를 專門的으로 공부하게 되었다. 그들은 돌아와서 각 교육기관에서 刺繡敎育을 실시하니 차차 刺繡도 다른 藝術分野와 같이 近代的으로 보급, 발전하게 되었다. 그러나 일제시대의 자수는 정치적으로는 민족적 주체성을 억압당하고 역사적으로는 근대화의 시작이라는 畸形的인 文化的 背景속에서 자랐기 때문에 李朝까지 전승되어 오던 한국 독자적인 美術이나 刺繡보다는 정치적으로 작용했던 日本美術의 경향이 곁들여 졌다. 이 시기의 刺繡活動은 1932년에 설치된 鮮展의 工藝部를 중심으로 했고 이 鮮展刺繡 作品을 보면 傳統的인 李朝刺繡에서 오는 主題나 繡法이 채택되기도 했지만 日本에서 받아들인 새로운 刺繡가 많이 행해졌음을 알수있다. 우리나라 모든 美術이 그렇듯이 韓國刺繡 전체를 통한 樣式은 自然主義이다. 이 시기의 주류를 이룬 양식도 역시 자연주의이며 素材로는 動植物이 가장 많고 거의 모든 作品이 對象의 實體感·表現에 중점을 두었다. 용도를 보면 감상용보다는 實用品을 위주로 한것이 많으며 재료는 대부분이 견직에 견사를 사용했지만 그 외에도 素地로서 그물이나 옥스포드지를, 실로는 면사나 구슬을 사용하기도 했다. 1945년 8.15 해방이 되어 각 대학에 刺繡科, 응용미술과等이 생기어 刺繡를 專攻하게되고 또한 공예인들의 단체가 형성되어 刺繡界에 새로운 움직임이 시작된다. 그러나 해방직후에는, 일제 일변도였던 韓國의 美術은 국제적으로 확대되는 時期이지만, 刺繡는 고정관념에 따른 事實的 刺繡가 행해지는등 日帝時代의 연장선상에 있었다. 그러나 차츰 자수를 專攻한 이들이 배출되고 西洋文化가 직접 流入되자 刺繡界에는 큰 변모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때도 自然主義的인 要素는 그대로 있으나 고정관념에 사로잡힌 作品은 차츰 이에서 탈피하게 되었다. 작가는 새로운 視覺으로 對象을 보고 그 각성을 토대로 作品活動을 하게 되었다. 이렇게 해서 作家의 個性이 현저히 나타나게되고 예술성은 짙어진다. 따라서 對象의 外形보다는 구체적인 리얼리티를 作家나름의 個性的인 視方式으로 파악해, 새로이 作家의 精神 속에서 재구성시켜 오히려 작품은 實物에 가까와지고 表現力은 강해지고 따라서 美的으로 된다. 1970年代에는 거의 모든 작품이 추상적 표현으로 흘러 刺繡家들은 자기나름의 조형감각과 기법을 살려 個性表現에 주력하게 된다. 作品活動은 점점 활발해지고 실험적인 작품도 행해지고 있으며 앞으로의 方向 모색을 위해 노력하고 있다. 각 時代에 걸쳐 家內에서 여성들의 취미로 행해지는 傳統刺繡와 의욕적인 刺繡家들의 創作刺繡는 두 主流를 이루며 現在가지 계속되어 온다. 이 近代 韓國刺繡를 考察한 결과 발견한 刺繡藝術의 특이성은 刺繡가 造形藝術의 一分野로서 工藝에 속하기 보다는 바늘과 실이라는 材料를 使用하는 독자적인 藝術로서 純粹刺繡와 工藝刺繡로 구분되어 독자적으로 발전해 나갈 수 있다는 것이다. 그 이유는 「工藝美學」에 비추어본 결과 더욱 확실해진다. 現代潮流에 따르고 現代感覺이 반영된 純粹刺繡는 미술계에서 관심사가 되고 기대되는 바가 커 사회의 주목을 끌고 있다. 그러나 工藝刺繡는 일부 사람들에 의해 그 藝術性을 높이며 계속 발전해 나가고는 있으나 재래의 전통적인 수법만을 되풀이하는, 영리를 목적으로 하는 상업자수로서 더욱 활발히 행해지고 있어 그 眞價는 오인되어 우리의 자랑스런 문화적 유산인 工藝刺繡는 美術界에서 무시되고 있는 실정이다. 工業의 現代化, 생활환경의 변혁에 따라 사람들은 새로운 것을 희구함과 동시에 傳統工藝에 대한 鄕愁나 관심이 높아져가고 있어 참다운 의미의 傳統工藝로서의 참신한 刺繡가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時點에서 이 論文을 통해 專門家들이 이 工藝刺繡에도 관심을 돌려 純粹刺繡와 工藝刺繡를 똑같이 발전시켜 사회복지에 이바지하기를 바란다.;Embroidery started with the most practical motive and has developed into various forms in accordance 'with each purpose. Embroidery vas introduced to our country at the time of Silla Dynasty and developed through Koryo and Lee D/nasty under the influence of Continent Culture. For all this influence of Continent, our Embroidery has kept the purity which has been formed due to the uniqueness of our geographical environment and nationality and finally has established a firm basis. Embroidery is divided into Home Embroidery and palace Embroidery; the former was done by ladies at home as a hobby and the latter by specialists in the palace. Both of them have common characteristic of feminine delicacy and gracefulness, and yet could not achieved normal, remark-able development like other arts and were not acknowledged to the public even as on art. To make the matter worse, the Japanese rule after Annexation stopped the tradition of embroidery for the time being. As other artistic culture developed into new phase through the introduction of western civilization, People began to pay attention to embroidery, until some civilized host of women went to Japan to major in embroidery and backed to Korea to impart the new knowledge at each educational institute, As a result, embroidery has developed and known to the public like other arts. During the period of Japanese rule, embroidery suffered both of political disadvantage which suppressed nationality and historical background in which modernization began. This political and historical background quitted the tradition of fine arts and embroidery whose uniqueness of artistic characteristic has been kept all through Lee Dynasty. Instead, Japanese color vas mixed with our embroidery, you. can sense this Japanese color in the works which has been displayed to the public through the activity of Seon-jeon Kong-e-bu (Art and Craft Exibition Dept. of Lee Dynasty), even though traditional embroidery technique or theme of Lee Dynasty was employed in them. Naturalism prevailed in Korean embroidery as in other arts. Animals and plants were employed as the objects of description, and actual description of the objects was emphasized. Most embroidery was done for the purpose of practical use and was done on the silk cloth with silk thread. Besides silk, net, Oxford cloth and Cotton thread and beads were used as embroidery material. After Liberation on August 15, 194.5, many universities established embroidery dept or Applied Fine Arts Dept and groups of craftman were formed. These new movement of embroidery field can not entirely, relieve Korean embroidery of Japanese influence which is characterized as an actual description of object. However, remarkable change in the field of embroidery has been possible by the hands of embroidery majorors and through the inducement of Western Culture. Naturalistic factor still remains, and yet the embroiderers b began to avoid creating the works originated from fixed idea. Instead they saw the objects with new viewpoint and their works were based on the inspiration obtained from the objects. Gradually individuality of each artist appears on the surface of his work and consequently you can sense mature artistic quality there. The artist realize this quality through his own individualistic eyes which catches the detail reality instead of external appearance. This inspiration obtained through the individualistic eyes becomes closer to the real object, more expressive and elevated. In 1970's, abstractionism prevails in the Embroidery and embroiderers c ncentrate on the expression of individuality through their own formative sense and technique. Creative activity become brisk with attempting experimental works and searching for the future direction. Two main streams of embroidery have established each tradition and still keep on developing; one is Home Embroidery which has been done by ladies at home as a hobby, the other is creative Embroidery which has been done by specialized embroiderers. The quality of embroidery derived from this study on modem Korean Embroidery, insist that embroidery should not be included in the craft as a part of plastic Art, instead it should be independent as an art and develop as a pure embroidery as well as a craft embroidery. The reason is provided clearly by 「Craft Aesthetics」 Pure embroidery based on modern artistic tendency and inspiration, attracts the attention of the public as well a-s of people in fine art field, However, craft embroidery is ignored by the public, by people in fine art field and even by people of craftmanship. Craft Embroidery flourishes as a commercial purpose, and yet it repeats the traditional technique to worsen in quality. As all forms of industries modernizes and the living environment changes fast people have great nostalgia and concern for the traditional craft as well as for the new things so that embroidery as a traditional craft is required. At this juncture I sincerely hope specialists will pay more attention to Craft Embroidery so that they can devote themselves to this society by simultaneous development of Pure Embroidery and Craft Embroidery.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目次 = iii 論文槪要 = vi Ⅰ. 序論 = 1 Ⅱ. 本論 = 5 A. 年代 區分 = 5 B. 第一期의 刺繡 = 6 C. 第二期의 刺繡 = 24 D. 近代 韓國刺繡의 特性 = 53 Ⅲ. 結論 = 61 參考文獻 = 66 SUMMARY = 70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10378380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 |
dc.title | 近代 韓國刺繡에 關한 硏究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translated | STUDY ON THE MODERN KOREAN EMBROIDERY | - |
dc.format.page | viii, 73 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대학원 응용미술학과 | - |
dc.date.awarded | 1975. 2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