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4 Download: 0

자유놀이시 유아의 행동에 대한 교사의 반응분석

Title
자유놀이시 유아의 행동에 대한 교사의 반응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eacher's Reactions to ward the misbehavior in kindergarten during Freeplay
Authors
이명자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경우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자유놀이시 교사가 도와주는 유아의 행동유형과 이에 대한 교사의 지도방법의 양상을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목적에 따라 두가지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유놀이시 교사가 돕는 유아의 행동은 어떠한가? 둘째, 자유놀이시 유아의 행동을 돕는 교사의 지도방법은 어떠한가? 연구문제를 위하여 서울 시내 유치원 교사 3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연구방법은 관찰방법으로 하였으며 자유놀이시 교사의 지도내용을 녹음하였다. 이를 다시 일화기록으로 구성하여 분석의 자료로 삼았다. 본 연구자가 관찰한 내용의 신뢰도는 반분신뢰도를 낸 결과 .74로 나타났다. 자료는 SPSS로 처리하였다. 학력, 경력에 따라 지도사례수와 지도방법의 차이를 분석하기 위하여 t검증 혹은 F검증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자유놀이시 교사가 돕는 유아의 행동은 장난감빼앗기, 질서안지키기, 큰소리떠들기, 뛰어다니기, 던지기, 친구밀고때리기, 파괴하기, 친구일참견하기, 선생님께이르기, 정리안하기, 가만히 있기, 나쁜말하기, 울기, 자신감없기였다. 행동별로 보면 대체로 이르기행동에 대한 지도가 많았다. 교사의 학력 및 경력이 낮은 집단에서는 질서안지키기에 대한 지도가 가장 많았다. 지도사례수는 학력이 높고 경력이 많은 집단이 가장 많았고, 학력이 낮고 경력이 적은 집단이 가장 적었다. 2. 유아의 행동에 따른 교사의 지도방법은 「장난감 빼앗기」에서 기타방법(지시, 무시 등) 을 많이 사용하였고, 유아가 활동에 참여하지 않는 「가만히 있기」경우에는 주로 대화로 설명해주며 이해시키는 유형Ⅱ 방법을 많이 사용하였다. 교사의 학력에 따라서는 지도방법에 큰 차이가 없으나 경력이 많고 적음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즉 경력이 많은 교사는 유형Ⅱ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기타방법을 적게 사용하고 있으며, 경력이 적은 교사는 기타방법을 많이 사용하고 유형Ⅱ방법을 적게 사용하고 있었다. 경력이 많은 교사중에는 학력이 높은 교사가 학력이 낮은 교사보다 유형Ⅱ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고 기타방법을 더 적게 사용하고 있었다.;This study is designed to identify patterns of teachers responses to ward the misbehavior of children during free play in kindergarten. For the study purpose three questions raised. The subjects of study were thirty kindergarten teachers in Seoul. It was randomly sampled among teachers of different schooling and teaching experiences. Cases were recorded for the details of teachers' guidance in free play. For a quantitative analysis SPSS, t-test or, F-test were used. The finding of the study are as follows : 1) Teachers' reacted in fourteen patterns, suchas "toy-snatching", "no maintenance of order", etc. Most of involved reactions were tattletale. The teachers' with less schooling and teaching experiences gave the highest frequency of guidance in "nomaintenance of order". Yet the teachers with high teachers' schooling and teaching experience showed more number of cases of guidance. 2) As far as teachers' guiding methods are concerned, in structions and disregard were most used in "toy-snatching," while Adler's theory was most employed in the case of "standing still in which childern did not take part in play." No remarkable difference was shown from different teachers' schooling, while a considerable difference was indicated from less teaching experience. 3) There were, in general, three different patterns in teachers' involvement: A positive response by correcting wrong doings, calling the name of wrong doer, or by getting involved in both parties concerned for amicable dialogue; a negative response in which teachers take an interest in either party and an averse response in which teachers do not take part in either par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