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容福-
dc.contributor.author전순득-
dc.creator전순득-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1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58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86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587-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intends to make an analysis of the attitude of the church toward the economy, chiefly as viewed from its relations with the history of economy, with the political functions, and from the influence these factors had upon the church, especially during the period, ranging from the early times of Christianity introduction to Korea Independence. On advancing into Korea, a heathen country, Christianity built a new community of belief, which made great efforts for instilling into the history of Korea the Kingdom of God. The newly born Christians developed with a strong sense of the national salvation by Christian truth a political, social, economic drive. Their puritanical ethical spirit led not merely to the individual change in living but to an ascetic way of life, eradication of social evil, and to keen interest in industrial aspects, on the level of the national salvation. When social consciousness in Korean churches was not capable of raising its public subject of discussion with regard to Christianity, by the suppression of the mission headquarters and Japanese rule in 1905, the socioeconomic thought developed by forming a secret society its educational activities for national salvation. In 1910s, a period of severe Christian trials, churches in Korea voluntarily assumed under hard Japanese suppression all the social trials in Korea. Since their systematic activities seemed of infeasibility, they initiated their Christian activities overseas, but only on an individual basis developed at home their missions in educational projects as well as in Christian industries. The social and ethical consciousness of the people deeply internalized when the nation was suffering from foreign forces, came sublimed in the form of social participation into 3.1 Movement in 1919. This social, ethical consciousness of Korean Christians came to develop an agricultural drive on an interchurch basis in 1920s, an enlightenment period. As Japanese rule over Korea was extended in time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 Christians developed apart from immediately resisting the direct sources of social justice extermination, i.e., colonial politics, and economic system due to the domestic circumstances the kind of indirect movements, including a production campaign, an agricultural movement. In addition this movements incessantly continued its procession especially through Discipline Fellowship Associations, Pacific Ocean Issue Institute, etc. When the colonial system became increasingly cruel in 1930s, and began devising to distort even the fundamentals of belief, the Korean churches sometimes sanked into an illusory way, some-times averted the sufferings rather than direct resistance, or temporarily adapted themselves to the situation. But shortly after the will of Korean churches for reformation came to be led to take the social creed of council of churches and at a time town ideal village movement. Thus incessantly continued till Korea Independence was the effort of Korean Christians for instilling into Korean situation the kingdom of God. The Korean church emphasized contribution from Christians because the church before Korea Independence was so poor. The church consisted of poor Christians put from its early times emphasis on such contribution for the purpose of self-sustenance. They occasionally appealed to the emotion at times. Since the self-sustenance became aggravated due to destitution from the colonial economic exploitation during Japanese rule, church workers had to willing submit to barely eking out a scanty livelihood. But despite such hardships, Korean Christians took with keen interest in salvation the lead for social work. The Korean Church up to Korea Independence, when viewed from this point of view, put emphasis on abstaining, on an individual basis, from drinking, smoking, and on frugality in compliance with puritanic stern morals, and the Christians newly born from the Christian spirit sublimed their individual self-reformation and self-control even to the save-the-nation ethics through raising the racial capital, on a social basis. On the other hand, antisocial, the-other-world-or selfconsolation-oriented belief existed, though for a short period of time, at the early times, but suppression by Japanese rule, low level of quality of church workers, narrow-mindedness of theological interpretation by missionaries, no intervention in politics, became gradually eased as the Korean church came popularized.;본 논문은 한국교회의 경제에 관한 윤리의식을 연구하기 위해 기독교 전래의 초기부터 해방 전까지의 경제에 관한 태도를 일반 경제사와 정치적 함수관계 그리고 그런 것들이 교회에 미친 영향 등을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기독교는 이교지인 한국에 들어와 한국사에 새로운 신앙공동체를 창조했고, 그 신앙공동체는 하나님 나라를 한국사에 매개하기 위하여 노력했다. 새롭게 태어난 한국의 기독교인들은 기독교의 진리에 의한 구국이라는 뚜렷한 사명감을 가지고 정치적·사회적· 경제적 혁신운동을 전개해 나갔다. 그들의 퓨리탄적 윤리정신은 개인생활의 변화와 금욕생활 뿐아니라 사회악 타파와 구국적 차원에서의 산업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났던 것이다. 1905년 이후, 선교본부와 일제에 의하여 한국교회의 사회의식은 공식적 거론이 제지되자, 비밀결사로, 구국을 위한 교육활동으로 사회경제적 사상은 전개된다. 기독교 수난기인 1910년대에는 일제의 모진 탄압 속에서, 교회는 한국사회의 시련을 대신 받다시피 하고, 조직적 활동이 불가능하게 되자 해외에서 그 활동을 계속하는 한편, 국내에서는 개인적으로 교육사업 혹은 기독교인의 산업에서 그 정신은 계속된다. 그리고 나라가 외세에 짓밟히면서, 내면화된 사회윤리의식은 1919년에 3·1 운동이라는 사회참여 행위로 승화된다. 이러한 한국 기독교인들의 사회윤리의식은 계몽기인 1920년대에는 거교회적으로 농촌운동을 전개하게 된다. 일제 통치기간이 길어지면서 국내적 상황 때문에 사회정의를 유린하는 근본원인인 식민주의 정치·경제체제에 직접도전하는 선에서 물러나 일종의 간접적 항거인 물산장려 운동·농촌계몽운동등의 경제적 운동에만 그친것은 아니고, 정치적 독립을 목적으로 하는 노력은 수양동우회, 태평양문제 연구회등을 통해 계속되고 있었다. 30년대 이후 점점 더 악랄해지는 식민체제가, 이제는 신앙의 근본까지도 왜곡시키려 했을 때, 한국교회는 환상적인 신비주의로 흐르기도 하고, 식민체제에 항거하기 보다는 고난을 회피하여 순응하기도 하지만, 한국교회의 개혁의지는 연합공의회의 사회신조 채택으로 나타나기도 했고, 이상촌 운동으로도 나타나, 하나님 나라를 한국적 상황에 매개하려는 한국 기독교인들의 노력은 해방전까지 계속되었던 것이다. 해방전까지의 한국교회는 궁핍했고 때문에 헌금을 강조했다. 가난한 나라의 가난한 신도들로 구성된 한국의 교회는 초기부터 힘겨운 자력유지를 위해 헌금을 강조했다. 때로는 지나쳐서 감정에 호소하기도 하였고, 일제 통치기간 동안에는 식민지적 경제수탈로 인한 사회적반적인 빈궁으로 교회의 자력유지는 더욱 어려워져서, 교역자는 생계의 위협을 받을 정도의 가난을 감수해야 했다. 그러나 그러한 어려운 가운데서도 한국의 기독교인들은 초기부터 구제에 관심을 두었고 사회사업등에 교회가 앞장섰다. 위와 같은 점을 볼때 해방전까지의 한국교회는 엄격한 청교도 윤리에 의해 개인적으로는 금주·금연·검약등의 생활을 강조했고, 기독교 정신에 의하여 새롭게 태어난 기독교인들의 개인적인 자아혁신·자기통제가 사회적으로는 민족자본육성을 통한 구국적 경제윤리로까지 승화 되였음을 볼 수 있다. 몰사회적·타계대망적·자기위안만 구하는 신앙도 초기부터 존재했는데, 일제에 의한 억압·교역자의 수준 저하·선교사에 의한 식학적해석의 편협성과 정치불간여 등의 영향으로 한국 교회가 대중화 해 갈수록 편만해 갔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v 논문개요 = viii Ⅰ. 序論 = 1 Ⅱ. 基督敎 受容期의 經濟觀(1882-1904) :救國과 啓蒙으로서의 經濟 = 3 A. 일반적 개관 = 3 B. 구한말 선각자들과 그들의 경제관 = 6 C. 선교사의 경제에 관한 태도 = 9 1. 美·日 關係 = 9 2. 美·日關係와 宣敎師 = 12 3. 宣敎師의 經濟에 關한 態度 = 13 가. 基督敎學校에서의 實業敎育 = 13 나. 정기간행물에 나타난 선교사의 경제관 = 15 D. 韓國敎會의 經濟에 關한 態度 = 24 1. 民族指導者의 經濟觀 = 24 2. 敎人들의 實業敎育渴望 = 27 3. 定期刊行物에 나타난 經濟觀 = 29 E. 敎會內에서의 金錢에 關한 態度 = 33 1. 宣敎政策과 敎人들의 活動 = 33 2. 定期刊行物에 나타난 經濟觀 : 헌금 = 38 F. 結論 = 40 Ⅲ. 基督敎 確立期의 經濟觀(1905-1909) = 49 A. 일반적 개관 = 50 B. 민족지도자들과 그들의 경제활동 = 53 1. 주권회복의 노력 = 56 2. 의병의 봉기 = 57 3. 경제적 항거 = 58 4. 교육을 통한 저항 = 59 C. 선교사의 경제에 관한 태도 = 61 1. 미·일관계와 선교사 = 61 2. 일제의 대선교사정책 = 63 3. 한국교회에 대한 일제의 만행 = 64 4. 친일로 기우는 무사주의적 중립정책 = 67 D. 한국교회의 경제에 관한 태도 = 70 1. 구국으로서의 실업교육 = 73 가. 신교육운동과 기독교 = 73 나. 민족적 기독교 지도자의 실업교육 = 77 2. 기독교인들의 경제적항거 = 78 E. 結論 = 85 Ⅳ. 基督敎 受難期의 經濟觀(1910-1919) = 89 A. 일반적 개관 = 89 1. 정치적 개관 = 90 2. 경제사적 개관 : 경제적 수탈 = 96 B. 교회사적 개관 = 98 1. 105인 事件 = 101 2. 종교법에 의한 기독교 선교활동의 제약 = 102 3. 改定私立學校規則과 基督敎 敎育의 危機 = 103 C. 韓國敎會의 經濟에 關한 態度 = 104 1. 敎會指導者들의 經濟的 活動 = 105 2. 기독교 실업인들의 민족산업 = 106 3. 定期刊行物에 나타난 經濟觀 = 107 D. 結論 = 112 Ⅴ. 啓蒙期의 經濟觀 = 118 A. 일반적 개관 = 118 B. 産米增植計劃과 農民의 零落 = 119 1. 일본의 식량사정과 산미정책 = 119 2. 쌀의 수탈과 농민의 참혹상 = 121 가. 쌀의 수탈 = 121 나. 농민의 참혹상 = 121 C. 韓國敎會의 經濟的 각성과 抗日 = 123 1. 從來의 宣敎敎育에 對한 反省 = 127 2. 韓國敎會의 經濟的 覺醒 = 128 가. 農村運動 = 128 나. 韓國敎會의 農村運動 = 129 다. Y.M.C.A의 農村事業 = 132 D. 結論 = 134 Ⅵ. 위기속의 한국교회(1930-1945) = 140 A. 일반적 개관 = 140 B. 한국교회의 수난과 위기 = 141 C. 위기속에서의 경제·사회 활동 = 142 1. 일제의 농촌운동 탄압 = 142 2. 理想農村運動 = 144 3. 한국교회의 사회신조 = 146 4. 기독교 실업인 = 149 Ⅶ. 總結論 = 151 參考文獻 = 154 - ABSTRACT - = 16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81531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韓國基督敎 經濟倫理史(1884~1945)에 關한 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Economic Ethics of the Churches in Korea 1884-1945-
dc.format.pagex, 16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기독교학과-
dc.date.awarded1984.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