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21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미영-
dc.contributor.author송현주-
dc.creator송현주-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1Z-
dc.date.issued1998-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4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8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453-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우리나라는 비약적인 산업 성장을 거듭하였고, 섬유산업은 우리나라 공업의 선도적이고 중추적인 역할을 하여 정제 발전에 일익을 담당하였다. 그러나 선진국의 수입규제 강화와 내수 개발의 취약, 급격한 임금인상, 기술개발의 미흡 등으로 수출에 어려움에 당면하고 있어 중국과 동남아 등의 후발 개발도상국에 시장을 내어주고 있다. 때문에, 섬유디자인의 개발은 한국 섬유산업이 뿌리내리고 해외로 진출할 수 있는 근본적인 문제이고, 한 단계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넥타이의 기원과 17C 중엽부터 20C 까지의 발달과정을 연구하여 남성복식에서 넥타이가 내포하는 의미와 형태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1995년∼1997년까지의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넥타이들의 일반적인 문양들을 종류별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그 자료를 토대로 하여 수직 넥타이의 향후 개발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현대 넥타이 형태의 변화의 폭이 크지 않아 소재와 패턴 개발이 중요한 부분으로 인식되었다. 본 연구는 우리의 정신적 주체성을 찾아 그 정신적 기조(基調)를 바탕으로 새로운 전통을 계승발전 시키기 위해 우리민족의 미의식과 조형성이 함축되어 녹아있는 한국 전통문양 중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국가 형태인 고구려의 와당문양을 선택하여 기원과 문양의 특성을 알아보고, 와당에 시문 되어있는 문양의 종류와 의미를 연구하여 넥타이 직물디자인에 도입하여 응용하였다. 와당문양의 특성 중 대표적인 기하학적인 문양을 중심으로 와당문양의 이미지를 재구성함으로써 전통문양의 현대적 표현가능성을 모색하고, 새로운 수직 넥타이 작품을 제시하여 보았다. 넥타이에 주로 사용되는 견(silk)과 넥타이의 문양에 대해 살펴본 후 고구려 와당문양을 현대적 감각에 맞게 응용하여 제직하였다. 작품제작에 있어서는 한국인의 내면에 흐르는 색채인 오정방색(五正方色), 오정간색(五正間色), 잡색(雜色)을 주된 색채로 사용하였으며, 주제에 맞는 다양한 표현을 위하여 직물의 조직을 한정시키지 않고 작품에 임하였다. 사용한 패턴으로는 스트레이트 트월(Straight twill), 브레이디드 트월(Braided twill), 트월 컴비네이션(twil combinations), 크래를(Crackle) 기법 등을 사용하였는데, 트월(Twill) 기법에 의한 변형기법의 사용으로 조직의 짜임새와 조형성의 효과를 극대화하여 표현하고자 하였다. 소재로는 넥타이 소재 중 가장 많이 선호되는 견(Silk)틀 선택하였으며, 넥타이 형태는 현대 넥타이 포-인-핸드 타이(Four-in-hane tie)로 범위를 좁혀 실용을 목적으로 작품을 제작하였다. 선염 수직 넥타이는 공정과정의 번거로움과 제작시간, 재료의 문제점 등 및 가지만 보완하면 넥타이 산업의 새로운 영역으로 발전하고, 고부가가치의 상품을 생산할 수 있는 폭 넓은 가능성을 지닌 분야라고 생각한다.;Today, our country repeated the industrial development tremendously and fabric industry made our industry and economics advanced. But, it had a lot of problems like important prohibition of the advanced nations, the fragility of the inner demand development, sudden cost up etc. So, we can not help it but to give the fabric market to China and Southeast developing countries. Fabric design is the essential key to leap to a establish the fabric industry I our country and expand it abroad. Furthermore, it enables the fabric to leap to a high level. In this thesis, I investigated the development progress of neck-tie from 17C to 20C and the change of the meaning and shape involved in it. I intend to find out the promising developing ways by categorizing and analyzing the general neck-tie patterns which sold in the market form 19951o 1997. Generally, modern neck tie do not vary widely in shape. The developments of raw materials and patterns are thought to be the important parts. In this thesis, I tried to base the mental independence and keep the succession of the new tradition. Then among Korean traditional patterns which implicit the sense of beauty and modeling, I chose and investigated the Wadang pattern of the Koguryo known as the first kingdom in our history. And from it, I studied about the originality and characteristics of the Koguryo pattern. Furthermore, I apply the patterns carved in it to the neck-tie Fabric Design. In this Characteristics of the Wadang pattern, the representative geometric pattern was based and reorganized to fine the probability of the modern expression using traditional pattern. I suggested the new woven neck-tie. After investigating the silk and neck-tie pattern which used most widely, I wove neck-tie with applying the Koguryo Wadang pattern to modern style. In this work, I used the Oh-Jeong-Bang-colors, Oh-Jeong-Gan-colors and Job-colors as the primary colors and I did not limit the boundary of the fabric system to express the various subject. Straight twill weave, Braided twill weave, Twill combinations weave and Crackle weave were used in the thesis. Modified weave based on Twill weave was intended to express the fabric system and effect of the modeling extremely. Silk was selected for preparing the neck-tie for its popularity in the raw materials for necktie. The shape of neck-tie was limited to the Four-in-hand tie on the purpose fo their practicability then the work prepared. I think that woven neck-tie has enormous probability to produce high price values and develop new part in neck-tie industry if the complex of the process, weaving time and the limit of raw materials etc were modifi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v 논문 개요 = vii 1. 서론 = 1 1.1 연구 목적 = 1 1.2 연구 범위 및 방법 = 1 2. 본론 = 3 2.1 이론적 배경 = 3 2.1.1 와당(瓦當) 문양의 역사적 고찰 = 3 2.1.2 고구려 와당 문양의 특성 = 5 2.1.3 와당 문양의 분류 = 9 2.2.1 넥타이의 기원과 발달 과정 = 19 2.2.3 넥타이의 현황 분석 = 42 2.3 작품 제작 및 분석 = 43 2.3.1 작품 제작 배경 = 44 2.3.2 작품 설명 = 46 3. 결론 = 66 참고 서적 = 68 ABSTRACT =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0769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고구려 와당(瓦當) 문양을 응용한 넥타이 직물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n the Fabric Design for Neck-tie with Apllied Koguryo Wadang Pattern-
dc.format.pagevii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직물디자인전공-
dc.date.awarded1998.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직물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