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867 Download: 0

사회적 지지가 빈곤가족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사회적 지지가 빈곤가족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Social Support on the Empowerment of Poor Families
Authors
김은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옥경
Abstract
The focus of this study is social support as one of the factors which affect empowerment of poor families. Thus, this research places its principal purpose on suggesting the right direction of social work intervention models that can help poor families to improve their empowerment. Householders or their spouses who receive public assistance and live in a 'permanent-rental public apartment' at Su-Suh Dong, Gangnam-Gu were selected as objects of this study. (In Korea, public assistance is so nominal that the benefits can not cover daily living expenses.) Data was collected between November 16th and 29th in 2001 through one hundred and sixty pre-developed personal-interview-style questionnaires. Of those, one hundred and forty nine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is study. The measurement for this study is empowerment scale by Rogers etc.(1997) and social support scale by Park, Ji Won(1985). In this study, factor analysis about empowerment was done and the empowerment scale was divided by 4 sub concept ; ① self efficacy and optimism & control over future, ② self esteem ③ powerless-power ④ community activism and autonomy. The social support scale is consist of the sources and types of social support based o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poor family. The sources of social support for the poor family can be broadly categorized into 3 sources: ① family/relative support, ② neighbor/friend support ③ expert support. The types of social support are also categorized into 4 sources : ① emotional support, ② informational support, ③ material support ④ assessmental support. Then, I analyzed effect bothf each sources and type of the social support on of poor family. The result was analyzed by descriptive, factor analysis, ANOVA, multiple regression using SPSS/WIN PC.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individual factors which affected the empowerment of the poor family were age, educational background, income, the existence of a disabled family member, and employment status. The young over twenty, the highly-educated, the family without disabled family members, and the family in which one or more members earn money show relatively higher empowerment. Secondly, considering the sources of social supports, neighbors' or friends' support had the strongest effect on empowerment of poor families. Thirdly, considering the types of social support, the highly supportive neighbors had the highest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empowerment of poor families and assessmental support of expert also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Fourthly, it was examined the efeect of sub dimension of social support on 4 sub concept. The result is that assessmental support of neighbor had statisi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self esteem, self efficacy, optimism and control ovrt future. And the assessmental support of expert and family have statisi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powerless-power. But each source and type of social support have statisitically insignificant effect on a community activism and autonomy. From the above results, the proposed alternatives are as follows ; First, Social workers need to think the poor family as co-work partner which have much experience and power. And it is important for social workers to have close relationship with poor family and let they have power to change their own life. Second, it is essential to develop various programs which can prevent the heredity of poverty. Third, it is needed for the people of common make self-help group. In the group activity, members can get information and mutual support. Forth, social workers should understand the situation of community and make use of people or resources of community to solve the problem of poverty. Fifth, using the team approach, social workers should make new jobs or working problem for the poor family to work and earn money.;본 연구에서는 빈곤가족의 임파워먼트에 관한 연구이며, 특히 사회적 지지가 빈곤가족의 임파워먼트에 어떠한 영향을 줄 수 있는 지를 파악하여 빈곤가족의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 개입방안을 모색하는 데 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강남구 수서동 영구임대아파트에 거주하는 국민기초수급대상가정 세대주나 배우자로 선정하였다. 조사기간은 2001년 11월 16일부터 11월 29일까지 였으며, 총 160부의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개별 인터뷰방식으로 조사하였고 최종 분석자료로 사용된 설문지는 총 149부 였다. 본 연구의 조사도구로는 Rogers(1992) 등이 개발한 임파워먼트 척도와 박지원(1985)이 개발한 사회적 지지척도를 사용하였고, 척도의 구성내용에 대해 살펴보면 임파워먼트 척도는 총 28문항의 5점 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하위영역으로는 ① 자기효능과 낙관적 시각 및 미래에 대한 통제 ② 자아존중감 ③ 무기력-힘 ④ 지역사회 활동 및 자율성이 포함되어 있다. 사회적 지지척도는 총 25문항의 5점척도로 구성되어 있으며 빈곤가족의 주관적인 인지에 근거하여 지지원천과 지지유형으로 분석하였다. 빈곤가족의 사회적 지지원천은 ① 가족 및 친척에 의한 지지 ② 친구 및 이웃의 지지 ③ 전문가의 지지로 나누었으며, 또한 사회적 지지의 유형은 ① 정서적 지지 ② 정보적 지지 ③ 물질적 지지 ④ 평가적 지지로 분류하여 각각의 원천과 유형들이 빈곤가족의 임파워먼트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빈곤가족의 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배경요인은 연령, 학력, 월수입, 장애인가족 유·무, 직업 유·무로 나타났으며, 20대 이상의 젊은 사람일수록, 고학력일수록, 직업이 있는 사람일수록, 장애인가족이 없는 경우일수록, 가족 내 수입이 있는 경우일수록 임파워먼트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적 지지를 원천별로 보면 친구 및 이웃의 지지가 빈곤가족의 임파워먼트에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사회적 지지 유형별로 살펴보면, 친구의 평가적 지지가 빈곤가족의 임파워먼트에 가장 높은 영향을 미치며, 전문가의 평가적 지지도 유의미한 결과를 보여주었다. 이것은 그들의 존재가치를 수용하면서 행위에 대해 인정해주거나 관련된 정보를 전달한다는 평가적 지지가 임파워먼트를 향상시킨다고 할 수 있다. 넷째, 임파워먼트의 하부개념은 요인분석 결과 자기효능감 및 미래에 대한 통제력, 자아존중감, 무기력-힘, 지역사회활동 및 자율성으로 나누어졌다. 4가지의 하부개념 중 자기효능감 및 미래에 대한 통제력, 자아존중감이 이웃이나 친구의 평가적 지지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나타냈으며, 무기력-힘에서는 전문가의 평가적 지지와 가족의 평가적 지지가 유의미한 결과를 가져왔다. 그러나 지역사회활동 및 자율성에서는 사회적 지지의 원천과 유형들이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먼저 사회복지사는 빈곤가족을 경험과 역량을 가진 원조과정의 파트너로 보는 인식변화와 함께 그들과 친밀해 지는 방법들을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마련해야 하며, 이후 그들에게 평가적 지지를 통해 삶을 변화시킬 수 있는 힘을 갖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둘째, 아동 및 청소년이 있는 빈곤가족에게 학교와 사회적응을 위한 프로그램, 학습의욕을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등 다양한 교육서비스를 통해 빈곤의 세습방지를 도모하는 사업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생활환경이 비슷한 사람들끼리 서로의 관심사를 함께 의논하고 공감하면서 다양한 정보수집이나 상호지지를 받을 수 있는 동아리(자조집단)프로그램을 형성할 수 있도록 개입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사회복지사는 빈곤문제의 해결을 위해 지역사회의 문제에 개입할 수 있어야 하며, 지역사회의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충분히 지역사회에 대해 이해하고 지역사회조직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것이 중요하다. 다섯째, 빈곤가족이 자신들의 경제적인 어려움에 대해 스스로 해결할 수 있도록 자영업을 할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빈곤층의 특성과 유형에 적합한 자영업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 필요하며, 사회복지사는 팀접근을 통해 전반적인 창업프로그램의 과정에 개입해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