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703 Download: 0

한국 순정만화와 일본 소녀만화의 관계 연구

Title
한국 순정만화와 일본 소녀만화의 관계 연구
Other Titles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Girls' Comics : Focusing on Depth Interviews with 10 Korean Girls' Comic Artists
Authors
노수인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신문방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재경
Abstract
이 연구는 순정만화가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심층인터뷰를 중심으로 '한국 순정만화와 일본 소녀만화의 관계'를 구체적·실증적으로 정립해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60년대부터 90년대까지 활동했거나 활동하고 있는 열 명의 작가를 각 세대별로 선정하였으며, 그들이 일본 소녀만화와 관련하여 한국 순정만화의 현실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 직접 만나서 이야기를 들어보았다. 한국 순정만화는 40여 년의 역사를 지녔다. 1950년대 후반에 순정만화의 원형이 창작된 이후 오늘날까지 그 흐름이 면면히 이어지고 있다. 그런데, 순정만화는 그 역사에 있어서 일본 소녀만화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현대 한국만화의 시작이 일본만화 해적판의 불법유통으로 시작되었으며, 순정만화 역시 그러한 맥락 속에서 파생되었기 때문이다. 실제로 모든 인터뷰 대상자들이 한국 순정만화계에 일본 소녀만화의 영향력이 어느 정도 실재하고 있음을 시인했다. 또한, 일본 소녀만화의 해적판, 모작, 표절 관행이 여전히 한국 만화출판의 일부분을 차지하고 있다고 보았다. 따라서, 일부 평론가들은 초기 문화제국주의적 입장에서 '왜색(倭色) 순정만화'를 비판한다. 특히 손상익(1998)은 우리 순정만화가들이 "일본만화를 단기간 혹은 일부를 복제한 것에 그치지 않고, 오랜 기간 동안 완전한 형태의 일본 소녀만화를 그대로 재현, 국내에 도입해 정착시켰다"고 주장한다. 하지만 이러한 시각은 작가들이 고유한 '창조성'을 위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노력한다는 사실을 간과한 국수주의적이고 가부장적인 편견이라고 볼 수 있다. 순정만화에 대한 여성들의 수요는 끊임없이 창출되었다. 일본만화의 모작이 순정만화의 주류를 형성했던 60년대부터 70년대 초반을 지나 7~8년간을 공백기를 겪는 동안에도, 여성만화독자들의 잠재적인 욕구는 계속되었다. 그리고, 77년 일본만화 <캔디 캔디>로 촉발된 순정만화의 붐은 뛰어난 작가들이 활동할 수 있는 토양을 마련했다. 70년대에 남성작가 차성진, 김동화 등에 의해 근근히 이어지던 순정만화는 1980년을 전후해 황미나, 김혜린, 김진, 신일숙 등 여성작가의 등장으로 질적인 전환을 일으켰으며, 강경옥, 이미라, 이정애, 원수연, 이은혜 등이 대본소 작가의 계보를 이었다. 그리고 1988년 11월 최초의 순정만화 전문잡지 르네상스가 창간되면서 공모전을 통해 데뷔한 이빈, 유시진, 천계영, 김영희, 권교정 등이 순정만화의 양적 팽창과 판매시장의 활성화를 가져온다. 오늘날 순정만화는 점점 다양한 장르로 세분화되고 있으며, 순정만화 전문잡지는 격주간/월간, 성인/청소년/아동용으로 분화되었다. 또한, 순정만화 독자들은 PC통신 만화모임, 아마추어 동아리 활동 등을 통해 일종의 '해석 공동체'를 형성하고 있다. 이처럼 순정만화는 우리 사회에서 젊은 여성들의 문화공간으로 뿌리내리고 있다. 그러나, 순정만화는 여전히 '일본 소녀만화의 아류(亞流)'라는 혐의를 받고 있다. 순정만화가 일본 소녀만화의 형식을 차용하여 발전한 매체이기 때문이다. 기본적으로 '만화'라는 매체 자체가 일본만화에서 비롯되었으므로, 칸을 나누는 방식이나 분위기 연출, 인체묘사, 장면전환, 캐릭터 설정 등에서 일본 소녀만화의 지대한 영향을 받았다. 또한, 70년대 일본에서 '소화24년조'에 의해 확립된 작가주의 풍토는 80년대 초반 한국 순정만화가들을 자극하였으며, 일본에서 80년대 이후 평범한 일상으로 관심을 전환하면서 유행한 학원물 역시 80년대 후반부터 한국 순정만화의 주류를 이루었다. 인터뷰에 응해준 순정만화가들은 자신의 창작품을 고집하면 언젠가는 일본만화의 그늘로부터 벗어나 독창적인 작품세계를 확립하게 된다고 주장했다. 실제로 오늘날 한국 순정만화는 일본작품에 비해 독자들의 막강한 지지를 받고 있으며, 독자적인 입지를 굳혔다고 보는 것이 타당하다. 작가들은 일본만화와 관련된 과거에 연연해하기보다는 현재에 있어서 창작을 통한 독자와의 대화, 미래를 향한 순정만화의 발전가능성에 더 큰 관심을 보였다. 또한, 그들은 일본만화가 한국만화와 전혀 "다르다"고 인식했고, 양국의 민족정서/문화의 차이로 인해 우리의 고유영역은 결코 침범 당하지 않을 것이라고 믿었다. 이제 순정만화는 대만, 일본 등 해외시장에도 진출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문화의 활발한 상호작용이라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해석할 수 있다. 한국과 일본을 비롯한 아시아 국가들, 나아가 서양 국가들과의 문화교류는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지배-종속 구도로 고착되기보다는 변증법적 발전을 거듭하면서 새로운 문화를 탄생시키리라 예상된다.;The aim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specific and corroborativ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and Japanese Girls' Comics. I have selected 10 Girls' Comic artists on respective generations, active or had been active from 1960's. to 1990's, and made personal contacts to collect their cognitions on the actual phase. of Korean Girls' Comics in relation to Japanese ones. Korean Girls' Comics bear 40 years of history. Launching the archetypal form in late 1950's, the trend has been kept up unceasingly. Yet its history cannot be disintegrated from Japanese Girls' Comics, for the very founding of the Korean Girls' Comics had began with illegal circulation on the pirated reprints of Japanese Comics, and by no exception, Girls' Comics originated from the same sense. As a matter of fact, all interviewees approved on the point about certain amount of influence from Japanese Girls' Comics exist in the Korean market. Besides, it was agreed that pirated reprints, imitations and plagiarism acts on Japanese Girls' Comics still take a part in the Korean Comics industry. Consequently, some critics denounce the influence from Japanese Girls' Comics on the early Cultural Imperialistic views. Particularly Son(1998) argues that Korean Girls' Comic artists "not merely copied Japanese Comics for instance (or for a small part), but wholly reproduced the complete form of Japanese Girls' Comics for long, and thus established the domestic trend. However, this type of perspective mostly emerges from the nationalistic and patriarchal prejudice, which does not reveal the hard efforts and anguish of Korean Comic artists seeking for original creativity. The female demand for Girls' Comics had been always steady. Even through 1960's to early 1970's which presented a blank period of seven or eight years, and also when the Japanese Comic imitations had been taking a lead in the Girls' Comics market, the latent desire of female readers were permanent. Strived by well-known Japanese Girls' Comic in 1997, the Girls' Comics boom had made potential environment for preeminent authors to participate. Girls' Comics, which scarcely made success in keeping the linkage by male authors in 1970's, had set up a qualitative conversion near 1980 with the entrance of female authors. And the first Girls' Comic magazine Renaissance launched in November 1988, and thereafter new female artists were able to make a debut through magazine contests which also brought the quantitative expansion of Girls' Comics and hence activated the sales market. Nowadays Girls' Comic is in the course of subdivision into more and more diverse fields, and also the Girls' Comic magazines specialized their components to biweekly/monthly magazines and adult-only/teens/ kids magazines. What's more, the readers of Girls' Comics have come to form some sort of 'interpretative community' through online comic clubs and amateur artists' groups. In this manner, Girls' Comics came to take hold upon in Korean society as an obvious cultural space for young females. Nevertheless, Korean Girls' Comics are still under suspicions of being a bad second of Japanese Girls' Comics, for it is a media developed by borrowing the forms of Japanese ones indeed. Fundamentally the media, Comics itself, originated from Japanese Comics(so-called 'manga'), and it was affected greatly by Japanese Girls' Comics, such as the techniques and styles in laying out pages, expressing the moods, describing human bodies, staging transfer of scenes and creation of characters. In addition, the grand themes, which were introduced by the Japanese "Magnificent Twenty-Four-Year Group" or "49ers" in 1970's, had stimulated Korean Girls' Comic artists, and as the Japanese interests shifted to everyday life after 1980's and in this manner prevailed the abundance of school-based comics, Korean Girls' Comics has been tracking the same route from late 1980's. The Girls' Comic artists in the depth interviews asserted that once the author persists in his/her own originality, he/she would someday come to gain the uniqueness relieved of influence on Japanese Comics. And the fact shows that Korean Girls' Comics itself has obtained strong supports of readers compared to that of Japanese Comics in Korea, and it seems correct to appraise the uniqueness bit. Authors have shown more interests in the communication with readers through their present works and the positive potentials of Korean Girls' Comics in future, rather than attaching feelings to the past that is entangled with Japanese Comics. Also, they indicated the manifest differences between Korean and Japanese Comics, and had confidence in the statement that Japanese Comics would least likely intrude inherent Korean realms, on behalf of the gap in the national mentality and culture. Now Korean Girls' Comic is even exported to overseas markets, mostly to Taiwan and Japan. This present condition could be analyzed positively on the dimension of active interaction of cultures.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Asian and Western countries will be continued in the future, and it is likely to bear a new format of culture through sets of dialectic improvements rather than adhering to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언론홍보영상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