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一九三0年代 韓國農村文學의 性格硏究
- Other Titles
- A STUDY ON THE FEATURE OF KOREAN RURAL LITERATURE IN THE PERIOD OF 1930
- Authors
- 吳敬
- Issue Date
- 1974
- Department/Major
-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 Degree
- Master
- Advisors
- 李軒求
- Abstract
- One of the difficulties in our society today is that the gap between rural area and urban area has brought about various effects.
These effects are the weakpoint of system of the capitalism. But, we have deep concern over the tremendous gap between rural and urban area.
It goes without saving that literature, as a intellect of society, cannot overlook lightly the realities of rural area which has fallen a sacrifice to urban area, so long as literature attempts to look rightly at the age and the history.
It is true that understanding and the theory of our rural literature so far has been poor, but it is desirable that we ought to overcome above-mentioned weakpoints, so as to make writers try to meet the purpose of literature itself.
This thesis attempt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of rural literature in the period of 1930.
Through the careful study of the works of Lee Kwang-Soo, Shim Hoon, Lee Mu-Young which was considered to inspire humanbeings the thought of enlightment of rural community and thought of returning rural community. I can fully acknowledge that the authors used the works as their main means of escaping place which enabled them to seclude from realities.
Owing to severe oppression of Japan, they could not write literary works without restriction and risk. Therefore the writers had no courage to contend with hard realities.
Especially such writers as Lee Kwang-Soo, Shim Hoon who inspired the thought of enlightment of rural community to the farmers, endeavored to achieve, what we call, racial movement through their literary works.
But they failed to criticize the exploitation of Korean farmers by the Japaness despot they only suggested the self-solution of internal problems. For this reason, bureaucratic literary is their literary work's characteristic.
In conclusion, it is desirable that today's contemporary rural literaturel ought to have courage and efforts, so as to see the image of farmers correctly and represent the age and society truly.
If the literature was distorted its background's realities, we shall not be able to satisfy the purpose of literature itself.;오늘날 우리 社會에서 가장 큰 問題 가운데 하나로 登場하고 있는 것은 農村(貧)과 도시(富)와의 隔差로 일어나는 여러 가지 問題들이다.
이는 資本主義 經濟體制가 그 屬性으로 지니는 脆弱點이기 때문에 비단 韓國社會에만 局限된 問題는 아니지만 그 隔差의 度가 甚히 클 때 깊은 憂慮의 對象이 되지 않을 수 없다.
한 社會의 知性으로서의 文學이, 肥大化 되어 가는 都市에 犧牲當하고 있는 農村의 疏外된 現實을 看過할 수 없음은, 그 文學이 그 時代와 歷史를 올바로 觀察하고 正當하게 把握하려 하는 한 너무나 當然한 것이다.
우리의 農村文學은 오늘날까지 그에 대한 理解나 理論이 貧弱한 狀態에 있으므로 農村文學이 그 모든 脆弱點을 克服하고 文學本來의 使命을 다하기 위한 努力이 있어야 될 줄로 안다.
本稿는 이러한 努力의 試圖로 韓國에서 農村文學이 本格化 되기 시작한 一九三0年代의 農村文學의 性格을 살펴 보았다.
農村啓蒙思想과 歸農思想을 鼓吹시켰다고 생각되는 李光洙, 沈熏, 李無影의 作品을 中心으로 살펴 본 결과 이들 作品들은 모두 農村을 現實逃避處로 利用했음이 드러났다.
이는 當時 日帝의 苛酷한 彈壓으로 現實에서뿐만 아니라 文學活動에도 많은 制約과 危險이 뒤따라, 現實에 挑戰할 勇氣가 없는 作家들에 依해 取하여진 現象이 아닌가 생각된다.
특히 農村啓蒙思想을 鼓吹시킨 李光洙와 沈熏의 경우는, 現實에서 不可能한 民族運動을 文學作品 속에서 農村啓蒙을 통해 이루어 보려는 努力이 있었다.
그리고 이들 作品들은 한결같이 우리 農村이 貧困한 原因으로 日帝의 農村收奪을 告發하지 못하고 自民族 自體內에서의 問題解決만을 외치는데 그치고 말았다.
따라서 그 時代를 올바로 觀察하고 그 歷史를 正當하게 파헤치지 못한 官僚文學으로 떨어지는 結果를 招來하였다.
오늘의 農村文學에는 적어도 現實을 바로 보고 그 속에서 살아가는 農民들의 참된 모습과, 그 時代와 社會를 代辯할 수 있는 勇氣와 努力이 있어야 할 것이다.
眞實이 歪曲된 文學은 文學本來의 使命을 다 할 수 없기 때문이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