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金聲國-
dc.contributor.author박미용-
dc.creator박미용-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9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749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7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7496-
dc.description.abstractWe are on the verge of a truly exciting development in the world economy, the shift to the knowledge economy. In the agricultural era, we generated wealth with land and labor. In the industrial era, we combined the resources of land with labor and capital. Now we are realizing that it is knowledge that makes the difference. As the economic environment is changing far more faster than we can imagine, we must adjust by creating new knowledge. Especially, it is very important that we should encourage employees' capacity and should make them the best specialist on their field, because getting the competitive strength by creating and developing the professional knowledge has become a very important point. Therefore one of the way to increase both individual and enterprise's competitive power by developing specialist systematically is to introduce and practice the job system for professionals and experts. In this paper, the theoretical consideration and necessity of the job system for professionals and experts will be investigated and examined the moderating effect of job characteristics which are represented as a Merchandiser and Non-Merchandiser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careeer plannings and its related variables. And the necessity and direction of introducing the job system for professionals and experts in distribution industry will also be covered in this paper. In this research the target getting survey response is the employees in a distribution enterprise which has been analyzed by dividing them in two groups, Merchandiser or not. Following are the research model and hypotheses.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Hypothesis 1. Merchandiser is more extensive in planning their career than Non-Merchandiser. Hypothesis 2. Job characteristic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planning. Namely, Merchandiser is more strong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planning. Hypothesis 3. Job characteristic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developing specialty in organization. Namely, Merchandiser is more strong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developing specialty in organization. Hypothesis 4. Job characteristic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career involvement. Namely, Merchandiser is more strong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career involvement. Hypothesis 5. Job characteristic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career satisfaction. Namely, Merchandiser is more stronger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career satisfaction. A descriptive, correlational survey design was used. Instruments were mailed and faxed to 300 staffs from 10 companies. A 75 percent response rate was obtained. Data were analyzed using Pearson product moment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es. Following are the research results. An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from a survey of 222 staffs from distribution enterprise revealed than Merchandisers report more extensive career planning than do Non-Merchandisers. Of the two relationships between career planning and the two variables, i.e. self-esteem, developing specialty in organization, Job characteristics have a moderating effect on only one of the relationships: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developing specialty in organiz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job characteristics do not have a significant moderating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esteem and career planning. However, Job characteristics were found to have an influence on both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career involvement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areer planning and career satisfaction. Job characteristics also have an influence on career planning: Merchandiser is more extensive in planning their career than Non-Merchandiser. A Merchandiser is a specialist making profits by producing information on valuable and variable products and services to make satisfaction and give lots of ideas to customer. Therefore, to take precedence the competitive strength among highly competiting distribution enterprise is to create and develop specialist based on the Merchandisers' core competitive power.;현재 가속화되고 있는 세계화와 정보화로 인해 물류, 자본, 기술, 정보의 국가간 혹은 기업간 이전이 매우 활발해지게 됨으로써 자본과 기술, 시장에 의한 경쟁우위의 획득은 과거에 비해 상대적으로 쉬워지는 반면, 종업원의 기술과 능력, 창의력 등은 단시간에 개발되기 힘들고 경쟁기업이 쉽게 모방할 수 없으므로 기업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경쟁우위의 원천으로 자리잡고 있다. 또한 지금의 세계경제가 지식경제(knowledge economy)로 흘러가고 있고 갈수록 환경이 급변하고 불투명성이 높아지고 있어 새로운 지식의 창조를 통해 환경에 유연하게 적응하는 것이 필요하므로, 기업에서는 전문지식의창조와 개발로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게 되었다. 그러므로 조직차원에서 구성원들의 능력개발을 유도하고 한 직무에서 최고의 전문가로 육성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생각되며, 이를 위해 개인의 자기계발을 유도하고 필요한 전문지식을 명확히 제시하며 조직내 전문가의 비율을 높이는 동시에 개인의 전문성을 높일 수 있는 경력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기업내 전문직을 체계적으로 육성함으로써 개인과 기업의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방안 중 하나인 전문직제도의 본격적인 도입과 실천이 시급하다고 판단된다. 전문직제도는 특정분야에 대한 고도의 전문지식과 기술을 가진 유능한 인재를 전문가(specialist)로 양성하기 위해 별도의 직군을 만들어 운영하는 제도로 복선형 인사체계의 일환이며, 입사에서 정년까지의 장기인재육성계획을 기초로 본인의 의사에 따른 배치, 육성, 적성에 따른 활용을 통해 본인의 능력을 개발하고 나아가 회사의 성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전문직제도에 대한 이론적인 고찰과 필요성을 검토한 후 유통업계 종사자를 대상으로 머천다이저(Merchandiser)로 대표되는 전문직과 비전문직으로 구분된 직무특성요인이 경력계획의 일부 독립변수와 경력계획의 종속변수간에 어떠한 조절적인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나아가 유통업계의 본격적인 전문직제도 도입의 필요성 및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통업계 종사자의 직무특성요인이 경력계획의 일부 독립변수와 경력계획의 종속변수 간에 미치는 조절적인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한다. 둘째,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유통업계에 있어 전문직의 체계적 육성을 위한 본격적인 전문직제도 도입의 필요성 및 방향성을 살펴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경력계획 수립에 있어서 직무특성요인의 조절적 영향을 검증한 결과, 평균적으로 머천다이저가 경력계획을 수립함에 있어서 보다 적극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직무특성요인이 경력계획 수립에 미치는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경력계획의 독립변수들과 경력계획 변수 각각의 관계에서 직무특성요인이 조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자부심과 경력계획간 관계에서 직무특성요인의 조절적 영향이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그동안 주로 개인적인 차원의 동기나 자부심이 경력계획수립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음을 의미한다. 한편 조직내 전문가 육성과 경력계획 간 관계에서 직무특성요인이 조절적 영향을 미치고 있음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유통업계에서 전문직제도 도입을 통하여 머천다이저의 조직내 육성을 활성화하고 지속적으로 전문성을 개발시켜 개인과 기업의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셋째, 경력계획의 종속변수들과 경력계획 변수 각각의 관계에서 직무특성요인이 조절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경력계획과 경력몰입, 경력만족 간 관계에 있어서 모두 직무특성요인이 조절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전문직제도 도입에 관한 추가적인 분석결과 현재까지 머천다이저의 교육훈련내용 중 일반지식 습득부분이 80% 이상 차지하여 전문성을 육성하고자 하는 유통업계의 공식적인 노력이 매우 부족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현재 직장에서 앞으로 전문직이어야만 발전할 수 있다는 응답이 64.4% 이상이었고, 유통업계 직원의 82.4% 대부분이 향후 전문가로 발전하는 것에 흥미를 가지고 있었다. 전문가로 발전하는 것에 대한 흥미에 비해 실제로 전문직이어야 발전할 수 있다는 응답이 낮은 것은 아직까지 직장내에서 공식적으로 전문직이라는 개념이 정립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어서 사내에서 꼭 전문직이어야 발전가능하다는 인식이 비교적 부족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또한 전문직제도 도입 및 정착을 위한 조건분석을 통하여 승진 및 보수체계의 개선, 적절한 교육훈련 기회부여, 잡무 및 단순업무에서의 해방, 업무에 있어서 목표설정이나 접근방식에 있어서의 자율성, 조직내 전문가 지향적인 풍토마련, 전문가로의 발전에 대한 본인 스스로의 관심, 전문가간 상호정보교환 등을 대부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다. 향후 전문직제도를 도입할 때 중요한 시사점이 될 수 있으리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우리나라에서 전문직제도에 대한 실증적인 연구가 거의 없는 상태에서 유통업계의 머천다이저를 중심으로 접근하여 머천다이저와 비머천다이저로 구분된 전문직과 비전문직이라는 직무특성요인이 경력계획의 독립변수차 종속변수에 있어서 어떠한 조절적인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실증연구를 실시하였다. 둘째, 연구결과 현재 유통업계에서 전문직에 대한 인사관리가 거의 없었으며 특히 머천다이저가 자신의 직무에서 최고의 전문지식을 키울 수 있는 조직내 육성활동이 거의 없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그동안 효과적인 경력개발요구를 유도하지 못해왔던 현실인식을 바탕으로하여, 21세기 유통업의 발전을 담당할 핵심인력인 머천다이저를 중심으로 전문직제도를 본격적으로 도입하기 위한 주요 조건과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iii 논문개요 = viii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의 절차 = 2 C. 논문의 구성 = 3 Ⅱ. 이론적 배경 = 5 A. 전문직제도의 정의 및 등장 = 5 1. 전문직제도의 정의 = 5 2. 전문직제도의 등장 = 8 B. 전문직제도의 내용 = 10 1. 전문직제도의 유형 = 10 2. 전문직의 직무 = 14 3. 전문직의 평가제도 = 15 4. 전문직의 보상제도 = 16 C. 전문직제도의 확립 = 17 1. 전문직제도 도입의 장애요인 = 17 2. 본격적인 전문직제도 확립을 위한 조건 = 19 D. 전문직제도와 경력개발제도 = 21 1. 경력개발과 경력개발제도의 정의 = 21 2. 경력개발의 이원적 접근 = 22 3. 경력개발제도의 시행과정 = 23 4. 한국의 경력개발제도 시행상의 문제점 = 25 5. 한국형 경력개발지원시스템의 구축 = 27 6. 전문직제도와 경력개발제도 = 28 7. Gould의 경력계획모델 = 30 E. 우리나라 유통업과 전문직제도 = 31 1. 우리나라 유통업의 전문직 현황 = 31 2. 머천다이징과 머천다이저 = 32 3. 머천다이저의 역할 및 핵심능력 = 34 Ⅲ. 연구모형 및 가설 = 36 A. 연구모형 = 36 B. 연구의 가설 = 38 Ⅳ. 연구조사방법 = 40 A. 연구대상 = 40 B. 변수의 조작적 정의 및 측정도구 = 40 C. 설문의 구성 = 43 D. 측정항목의 신뢰도 분석과 요인분석 = 44 Ⅴ. 연구결과 = 48 A. 자료의 특성 = 48 B. 자료분석방법 = 52 C. 가설검증 = 52 1.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 analysis) = 52 2. 가설검증 = 55 3. 추가분석 = 62 Ⅵ. 결론 = 66 A. 연구결과 및 의의 = 66 B.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과제 = 68 참고문헌 = 70 설문지 = 74 머천다이저 직무분석표 = 82 ABSTRACT = 9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00304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정보과학대학원-
dc.title전문직의 경력계획에 관한 실증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유통업체 Merchandiser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n Empirical Study on the Career Planning for Specialists : Focusing on Merchandisers at Korean Distribution Enterprises-
dc.format.pagexi, 95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정보과학대학원 경영정보학전공-
dc.date.awarded2000. 2-
Appears in Collections:
정보과학대학원 > 경영정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