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0 Download: 0

재가복지봉사센타와 보건소방문간호실의 서비스연계에 관한 연구

Title
재가복지봉사센타와 보건소방문간호실의 서비스연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ervice Linkage between the Home-based Welfare Center and the Home Health Care Unit of Public Health Care Office
Authors
김혜숙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사회경제적 여건의 변화 등으로 인해 사회복지서비스에 대한 국민의 욕구가 급증하고 있으며 그 욕구수준에 있어서도 다양하고 복합적인 서비스를 요구하고 있다. 특히 보건의료와 복지의 통합서비스는 국가 경제적인 면이나 지역사회보호의 측면에서 매우 필요하다. 정부에서도 시범보건복지사무소를 운영하는 등 통합서비스를 위한 노력을 하고 있으나, 민간기관인 복지관의 재가복지봉사센타와 공공기관인 보건소의 방문간호실의 협조와 연계에 관하여서는 아직 연구된 바가 없다. 그러나 지역사회현장에서 두 기관은 서로 다른 종류의 대인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어, 자원의 효율적인 활용과 대상자의 욕구에 대응하기 위한 기관간의 연계·의뢰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이 두 기관의 서비스전달자인 사회복지사와 간호사를 대상으로, 서비스 연계의 현황을 전문직간의 협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를 중심으로 파악하고, 실제 연계의 정도와 내용 및 장애요인을 알아봄으로서, 보다 원활한 협조를 위한 앞으로의 대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조사 대상으로는 서울시에 위치한 11개 구의 보건소 방문간호실 간호사와 재가복지봉사센타 사회복지사를 선정하여 일차적으로 계량적 방법에 의한 조사를 하였으며, 계량적 조사에서 나타난 결과에서 알 수 없는 실제 연계사례들을 조사하기 위하여 심층면접을 통한 질적 조사를 수행하였다. 협조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서 개인적 인간관계를 보면 담당자간의 사적친분은 거의 없었고, 업무에 의한 친분만이 있었다. 친분에 영향을 미치는 인구사회학적 요인으로는 연령, 전공, 근무기관의 차이 등을 들 수 있다. 전문직간 역할에 인식에 대하여서는 많은 응답자가 '대체로 알고 있다'고는 하였으나, 타전문직의 역할과 업무에 대하여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별로 없어 정확한 지식에 따른 이해를 하는 응답자는 거의 없었다. 의사소통에서 의뢰상대는 주로 업무담당자였다. 연계의 방법은 '전화에 의한 비공식의뢰'가 많았다. 이에 따라 상대기관으로부터 의뢰 받은 내용에 대하여 확인요청이 올 때만 결과를 알려주거나 전혀 알려주지 않는 경우도 있었다. 의견교환의정도에서도 역시 서비스제공여부만 확인하는 경우가 많았으나, 담당자간의 전화 또는 면접에 의한 협의도 이루어치고 있었다. 그러나 사례관리를 위한 협의모임의 경우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연계의 실태를 살펴볼 때, 연계의 횟수는 3개월에 1-2회가 가장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고, 협조의 태도는 대상자 의뢰시 모두 협조적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연계를 경험한 소감으로 대부분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업무수행시 상대기관의 도움이 매우 중요하다'고 응답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의뢰했던 서비스내용과 앞으로 의뢰하고 싶은 내용으로 복지관에서는 방문진료와 방문간호, 병의원안내를, 보건소에서는 자립지원서비스와 후원금품지원서비스, 간병서비스를 들고 있어 각 기관의 전문성을 살린 서비스를 강화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연계의 장애요인으로 양기관 모두 자원부족을 들고 있으며, 재가복지봉사센타에서는 의사소통 방식의 부재를, 방문간호실에서는 역할분담과 영역의 경쟁에 보다 많은 응답을 하고 있었다. 앞으로 준비되어야 할 내용으로 양기관 모두 정보의 공유를 위한 네트웍 형성을 들고 있으며, 재가복지봉사센타에서는 양 전문직이 함께 참여하는 교육기회의 제공을, 방문간호실에서는 역할분담에 대한 지침개발에 보다 많은 응답을 하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이러한 분석을 통하여 얻어진 시사점으로 첫째, 전문직 개인간의친분을 높이기 위해 다양한 모임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전문직간의 역할에 대한 인식과 상호이해를 높이기 위하여 양 전문직이 함께 참여하는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학문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전문직간의 의사소통을 원할히하고 의뢰에 대한 책임성을 높이기 위하여 연계의 방법을 공식화할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있어야 한다. 넷째, 적극적인 연계·의뢰의 동기를 부여하기 위해 협조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와 보상이 이루어져야한다. 다섯째, 자원의 확보를 위한 공동노력으로 자원봉사자의 모집, 교육, 관리에서도 협력하는 것이 필요하다.;People's needs for the social welfare services are growing because of the change of socioeconomic situation and in the level of needs, they want diverse and complex services. Particulary they demand the united services of health and welfare in the point of the national ecomomic or community care. The goverment have made efforts to deliver the united services by exercising the model public health welfare office, but there has been no study on the collaboration of home-based welfare center in nongovermental community welfare agency and home health care unit in govermental public health care office. But in the community level, two agencies deliver the different personal services, and most of all it is important for both agencies to collaborate and refer to use resources efficiently and respond to the client's needs. This study was carried out targeting for the services deliveror, social worker and public home-visitting nurse. And it examined the present services linkage state, and would look for the future in the middle of the factor which affect collaboration between other specialists. In this study alternatives for the better collaboration by studying actual linkage level, content, and obstacles were examined. The targets of this research were district nurses who work in home health care unit of public health care office in 11 districts and social workers of welare centers, and the first study method was the quantitative one and the next procedure was the qualitative method which made use of intimate interview to supplement the quantitative one.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When personal relationship as an factor which affected cooperation, there was little personal intimacy between others but there was work intimacy. Demographical factors which have influences on intimacy were the difference of age, subject, and agency, etc. Regarding the recognition to the role of each speciality many respondents answered 'know generaly'. But as there were few respendents who had experienced training to the role of other speciality and job, they didn't have the accurate knowledge and mutual understanding of the opponent. The opponent in communication was mostly worker in charge of the job. The most collaborations were 'informal referrals by telephone'. So many cases are wern't noted by the referral agency or were noted only when confirmation was requested. In the level of opinion exchange they also confirmed only services delivery, and there were their discussions on the phone or by interview, but there were few meetings for the case management. Examining the actual state of collaboration, 'once or twice per three months' was responded mostly. Attitude to the linkage were very cooperative when the client were referred. After they experienced linkage, most respondents thought it to be 'helpful', and responded aids to the oppenent agency were 'very important in caning out the job'. This study showed that it was important to reinforce specialized services. Services which community welfare center have refered most frequently and would refer were home visiting treatment or care and hospital information and services which public health care offices have done were selfhelp services, financial support, and nursing serivices. The obstacles of linkage were the insufficiency of resources in both agencies,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method in home-based welfare center, and role assignment and boundary competition in home health care unit. What they would prepare in the future was the formation of network to hold informations in common, offer of education opportunity, and the development of guideline to role assignment. The implications through these analyses in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y must have diverse meeting opportunity to increase the personal intimacy each other. Second, both must develop postively education program and the interdisciplinary study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of the specialized role. Third, they should have the institutional support to the more official way of linkage to elevate the frequency of communication and responsibility for the referral. Forth, the objective evaluation of collaboration should between for the motivation of the more active linkage and referral. Fifth, both agencies need to make an effort to cooperate from the volunteer recruit, training and management to get the resour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