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76 Download: 0

유아의 글자인식과 읽기 능력에 관한 연구

Title
유아의 글자인식과 읽기 능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riting Consciousness and Reading Ability in Preschoolers
Authors
황정은
Issue Date
199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상금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wofold: (a) to document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concept of writing by assessing their perception of various print-related characteristics conventionally associated with writing principle. (b)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riting concept and beginning reading ability. A Consideration of the literature (Ferreiro & Teberosky, 1982; Lavin, 1977) suggested the inclusion of the following categories of print-related features conventionally associated with writing : (a) direction, horizontality, linearity, (b) multiplicity, (c) variation of symbols, (d) the 'unit' aspect of a word/sensitivity to space, and (e) the distinction between conventional and nonconventional symbols as components of writing. For these purpose, 82 preschoolers of age 4 to 6, were selected from two kindergarten located in middle class neighbors in Seoul and classified into two groups on the basis of their experienced reading instruction. Presented with a variety of graphic displays on cards, children were required to judge which ones were "something for reading" or "writing". There was a total of 30 cards. Upon complection of the concept measure, an informal reading procedure was administered individually to each child. The procedure consisted of identifying by name the letters of Hangul and reading from a list of preprimer words and two preprimer sentences. The data were analyzed with the stastical method of ANOVA, Scheffe's test and correlation. The results showed that children's response to the writing system are both conceptual and developmental with various aspects of the writing system. In addition, the results showed that young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 begins prior to formal instruction, but also that by the time children reach the age when formal reading instruction typically begins, they possess a well-developed conceptualization of what constitutes the writing. Furthermore, this study indicated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writing concept and reading ability.;본 연구는 4, 5, 6세 아동들의 글자 인식을 알아보고, 글자 인식과 및 읽기능력과의 관계를 살펴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 설정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선행 읽기 지도 경험에 따라 글자 인식은 차이가 있는가? a. 아동이 글자 판단의 기준으로 글자의 변별적 특징을 사용하는가? b. 아동이 잘못 사용한 글자 판단의 기준은 어떠한가? 2. 아동의 읽기 능력에 따라 글자인식 능력은 차이가 있는가? 3. 아동의 읽기 능력과 글자 인식과의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에 위치한 H, Y유치원에 다니는 4세 10명(남=5, 여=5), 5세 42명(남=21, 여=21), 6세 30명(남=15, 여=15)의 총 82명이었으며, 개별 검사를 통해 아동의 글자 인식과 읽기 능력을 측정하였다. 자료 처리는 SPSS Computer Program에 의해 연구 문제에 따라 일원변량분석, Scheffe′검증,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글자 인식검사는 Ferreiro & Teverosky가 제시한 문어 조직상의 변별적 특징을 한국어 조직원리에 합당하도록 본 연구자가 작성, 사용하였다. 읽기 능력검사는 자음 12, 모음 12의 음가 알기, 12개의 단어 읽기, 2개의 문장 읽기의 3하위검사를 사용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읽기 지도의 효과가 가장 분명하게 나타난 글자의 변별적 특징은 상징의 수 인식중 세개의 상징으로 이루어진 폐음절 지각과, 글자의 약정적, 비약정적 특징중 도형과 글자의 구별이었다. 1. 아동의 글자 인식 발달은 선행 읽기 지도를 받은 경험의 유무에 따라 유의한(p<.05)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읽기 지도를 받은 경험이 있는 아동의 글자 인식 능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글자의 변별적 특징 5범주 각각에 대한 읽기 지도 경험에 따른 차이는 다음과 같다. a. 아동의 글자의 방향성 인식 발달은 선행 읽기 지도 경험 유무에 따라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b. 아동의 글자 조직에 필요한 상징의 수 인식 발달은 상징 세개로 이루어진 폐음절 지각은 선행 읽기 지도 경험에 따라 유의한(p<.001)차이가 나타났으나 상징 하나와 상징 둘로 이루어진 글자 인식에는 읽기 지도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c. 아동의 상징의 다양성 인식 발달은 선행 읽기 지도를 받은 경험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d. 아동의 글자 단위와 공간에 대한 민감성 발달은 읽기 지도 경험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e. 아동의 글자의 약정적, 비약정적 특징의 구별은 도형의 구별에는 읽기 지도 경험에 따라 유의한(p<.05)차이를 보였으나 숫자와 글자와 도형이 혼합된것을 글자와 변별하는데는 읽기 지도 경험 유무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2. 아동의 글자 인식의 발달은 아동의 읽기 능력에 따라 유의한 (p<.001) 차이를 나타내었다. 즉, 읽기 능력이 향상됨에 따라 글자 인식 능력이 높아지고 있다. 읽기 능력별 차이는 읽지 못하는 집단과, 읽기의 초보 단계에 있는 집단, 잘 읽는 집단간에 유의한 (P<.05) 차이를 나타내었고, 읽기의 초보 단계에 있는 집단과 잘 읽는 집단 간에는 유의한 (p>.05)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3. 아동의 읽기 능력과 글자 인식간에는 유의한(p<.01) 정적 상관이 있었다. 즉, 읽기를 잘하는 아동이 글자 인식도 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