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4 Download: 0

산업재해 근로자의 휴업급여에 관한 자료조사 연구

Title
산업재해 근로자의 휴업급여에 관한 자료조사 연구
Authors
이영아
Issue Date
1992
Department/Major
대학원 건강교육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건강교육과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재해 근로자가 지급받은 산재보험급여 중 그 증가 정도가 가장 높은 휴업급여에 대하여 이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요인을 분석하므로서 산재보험급여의 재정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나아가 산업재해를 예방하며 근로자의 건강을 증진시킬 수 있도록 그 기초 자료를 제시하고자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휴업급여를 받은 재해 근로자를 대상으로 이들의 특성과 관련성을 파악하고 휴업급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였다. 이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첫째, 재해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및 재해의 특성과 이들 요인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고 둘째, 이들 특성과 휴업급여와의 관련성을 알아보며 세째, 휴업급여를 많이 받은 집단과 적게 받은 집단을 비교 분석하고 네째, 휴업급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자료는 노동부 지방 사무소 중 E 사무소에 소재해 있는 보험급여 원부로서 1990년도에 재해를 당하여 휴업급여를 밭은 2,159명의 재해자의 자료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는 SAS를 이용하여 백분율, χ^(2)-test, t-test, ANOVA, 단계별 중회귀분석으로 분석되었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중 남성은 복합 상병과 개방창이 여성은 화상과 좌상 및 염좌가 많았고, 연령에서는 29세 이하에서 절상과 화상, 그리고 상병부위로 손과 팔이 많았으며 40세 이상은 좌상 및 염좌와 가슴과 머리부분의 상병이 많았는데 이러한 분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었다. 수입에서는 60만원 미만에서 절상과 손과 팔의 재해부위가 많았으며 60만원 이상에서는 복합 상병과 가슴과 머리부분의 상병이 많았고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었다. 2. 직업의 특성 중 제조업은 절상과 등과 허리의 재해가 많았고 건설업은 복합 상병과 가슴, 머리부분의 재해가 많았다. 운수·창고·통신업과 전산·전기·서비스업은 화상을 많이 입었으며 등과 허리의 재해가 많았는데 이러한 분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었다. 3. 직업의 특성 중 직종에 따라 재해 정도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었는데, 제작에 관련된 직종은 절상과 손과 팔의 상병이 많았고, 건설직종은 복합상병. 골절과 머리부분의 재해가 많았으며 사무직은 화상과 등과 허리의 상병이 많았다. 4. 대상자의 특성에 따라 지급된 휴업급여도 차이가 있었는데. 일반적 특성에서는 남성과 40세에서 49세의 연령층과 90만원 이상의 수입이 있는 군이 휴업급여가 높았고, 직업적 특성에서는 건설업과 건설직종의 종사자와 36개월 이상의 직무기간을 가진 군이 평균 휴업급여가 많았으며, 재해의 특성에서는 복합 상병과 복합 상병부위, 12개월 이상의 요양기간, 종합병원의 변수에서 지급된 평균 휴업급여가 높았는데 이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가 있었다. 5. 연구대상자 2,159명의 평균 휴업급여는 1,333,000원이었다. 이 중 휴업급여를 적게 지급받은 하위 25%군과 많이 받은 상위 25%군을 가지고 비교 분석하였는데 휴업급여를 많이 받은 25%군의 일반적 특성은 남성이었고 30세 이상의 연령층으로 60만원 이상의 수입이 있는 군이었으며, 직업적 특성에서는 건설업과 건설직종의 종사자로 36개월 이상의 직무기간을 가진 군이었고, 재해의 특성에서는 골절과 등과 허리의 재해자가 많았으며 요양기간이 12개월 이상인 자로 종합병원을 이용한 자들이었다. 6. 휴업급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선정하기 위하여 단계별 중회귀분석을 한 결과 요양기간과 직무기간이 길수록, 대상자의 업종이 건설업일 때, 상병이 복합적일 때, 상병부위가 등과 허리일 때 휴업급여가 많이 지급되어 휴업급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이들 변수로 선정되었으며 이 요인들로 휴업급여를 57.1%로 설명할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effective management of industrial insurance payment, the prevention of industrial accident, and the improvement of health of injured workers by analyzing factors of compensation for suspension, which had a highest rate of increase among industrial insurance payment. In doing so indentified the factors influencing suspension compensation after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relation of injured workers who already recieved compensation. To acheive the goal, It was used the following methods. First,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of workers and the results of accidents. Second, look into the amount of suspension compensation based on the relationship. Third, compare a low factors that influence the suspension compensation for injured workers. All the data used in the research consisted of insurance payment files which were kept in the "E" offices of local labor departments. Injured workers who received compensation as a result of industrial accidents totalled 2,159 in 1990. For the data analysis, It was used SAS applying χ^(2)-test, t0test, ANOVA,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General characteristics consisted of sex, age, and income, as for sex, most of men suffered from a combination of injuries whereas most of women suffered from burn and sprain, as for age, those aged, 29 and below suffered from fracture and burns and injured themselves in hand and arm, whereas those aged 40 and above suffered from sprain and injured themselves in chest and head. As for income, most of those who earned 600,000won below suffered from fracture and injured themselves in head and arm, most of those who earned 600,000 won above suffered from a combination of injuries and injured themselves in chest and head. These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2. As for a types of indusrty, most of those worked in manufacturing industry suffered from fracture and injured themselves in back and waist. Most of those worked in construction industry suffered from a combination of injuries and injured themselves in chest and head. Most of those who worked in transportation, depositary, communication, electrianes, computer, or service industry suffered from burns and injured themselves in back and waist. These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3. As for a types of occupation, those who worked in manufacturing industry suffered from sprain and injured themselves in hand and arm. Most of those who worked in construction industry suffered from combination of injuries and injured themselves in head. Most of officials and managers suffered from burns, injured themselves in back and waist. These factor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mean of suspention compensation for 2,159 workers was 1,333, won ranging from 23,369,000 to 111,000 won. It was compared the top 25% of the group with the bottom 25% of the group in terms of amount of compensation which the injured workers were paid.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the variables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top 25% group we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most of them were men, aged 30 and above, and earned 600,000 won and above per month.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job, higher compensation was paid to construction business, construction workers and administration, and those who served less than 12 months or more than 36 months.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accidents, more compensation was given to those who suffered from fracture, back and waist injuries, and who were hospitalized for more than 12 months in a general hospital. 5. In conclusion, to identify factors influencing the compensation for suspensions due to industrial accidents, it was u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s result of this analysis, the factors had the order. Period of hospitalization, construction of business, period of service, combination of types of injury, and parts of injured (waist and back). It was possible to explain 57.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보건관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