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02 Download: 0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능력과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효과

Title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능력과 기본생활습관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s of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Ability and Basic Life Habits in Preschool Child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uthors
이은경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홍양자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ffects of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on gross motor ability and basic life habit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and to provide effective data for education and rehabilitati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The subjects were 40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The 40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of 20 were in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group 0f 20 were in a comparison group. The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ies consisted of body perception activity, space and direction perception activity, time and weight perception activity, balance and posture maintaining activity, visual-motor coordination and attention concentrating activity. The experimental group had participated these activity for 24 weeks, a per week, and 60 minutes. The comparison group had participated general physical activity. For all subjects,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II and Basic Life Habits questionnaire were tested. Gross Motor ability test was formed by 6 subordinate fields of locomotor skill and 6 subordinate fields of object control skill. Basic life habits questionnaire was formed by 4 subordinate field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paired samples t-test, One-way ANCOVA, Mann-Whitney U Test, Kurskal-Wallis Test which had been based on SPSS-WIN 12.0 program. Also the interview with adapted physical activity director was qualitatively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of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showed increased (p<.001) in gross motor ability. Significantly there were also increased in the 6 sub-factors of locomotor skill in gross motor ability; run (p<.001), gallop (p<.001), hop(p<.001), leap (p<.001), horizontal jump (p<.001) and slide (p<.001). Also, there were significant increased excluding stationary bounce and overhand throw factors in the 4 sub-factors of object control skill in gross motor ability; two hand strike (p<.05), catch (p<.001), kick (p<.001), underhand roll (p<.001). It was found that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had positive effects on motor ability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of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showed increased (p<.001) in basic life habits. Significantly there were also increased in the 4 sub- factors in basic life habits; cleanness(p<.001), order (p<.001), manner (p<.001) and self-restraint (p<.001). It was found that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had positive effects on basic life habit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ly differences except for the difference of locomotor and object control skills according to age, in the average score of general characteristics such as sex, age, disability type in the motor skills and basic life habits in the experimental group. It was shown that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gross motor ability and basic life habits without concerning the general characteristics. Fourth, we discussed effect of adapted physical activity in perceptual-motor function with adapted physical activity Leaders. The result was found that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preferred to attend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and they improved their intelligence ability. Also they improved gross motor ability, emotion relaxation, self-confidence, the effect of self control. We could find the behavior of causing problems was reduced. Especially, a basic habit helped visual-motor coordination and attention concentrating activity and body perception activity, space and direction perception activity, gross motor ability helped all parts of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Through more continued and analyzed study, developing disability type, level, activity field, and making manual we should make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activate.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continual participation of perceptual-motor function as adapted physical activity by children with development disorder, would assist to increase their gross motor ability and basic life habits in the positive way.;본 연구는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능력과 기본생활습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규명하고 발달장애유아의 교육 및 재활에 관한 효과적인 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참여한 발달장애유아는 서울, 경기도 소재의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에 다니고 있는 50명 중 개인사정으로 연구에 끝까지 참여하지 못한 10명을 제외한 40명으로 실험집단 20명과 비교집단 20명으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된 검사 도구는 TGMD II (Test of Gross Motor Development II)와 기본생활습관 검사지를 사용하였다. TGMD II는 이동기술 각 6개 하위영역과 물체조작기술 각 6개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고, 기본생활습관 검사지는 청결, 질서 예절, 절제 4개의 하위영역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은 4개월간의 예비실험과 전문가 협의를 통해 발달장애유아에게 적합하다고 판정된 특수체육활동으로 신체지각활동, 공간 및 방향지각 활동, 시간 및 무게지각활동, 균형 및 자세유지활동, 시각-운동협응 및 주의집중 활동으로 구성하여 실험집단에 주 1회, 60분씩 24주 동안 실시하였다. 비교집단에는 일반적 체육활동을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된 통계분석기법은 실험집단과 비교집단 간 대근운동능력과 기본생활습관의 사전, 사후 결과를 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증(Paired samples t-test)을 실시했고 사전, 사후 결과에 대한 주 효과 차이분석을 위해 일원공변량분석(One-way ANCOVA)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발달장애유아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비모수 검정의 Mann-Whitney U 검정과 Kruskal- Wallis 검정 그리고 통계기법을 통해 규명되지 않은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특수체육지도자와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인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자료수집, 분석과정을 통하여 얻어진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발달장애유아의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가 대근운동능력인 이동기술, 물체조작기술 모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대근운동능력 중 이동기술의 6개의 하위 요인 모두에서 즉, 달리기(p<.001), 갤롭(p<.001), 홉(p<.001), 립(p<.001), 제자리멀리뛰기(p<.001), 슬라이드(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근운동능력 중 물체조작기술의 6개 하위 요인에서는 제자리 튀기기와 한 손 공 던지기를 제외한 4개 하위 요인 치기(p<.05), 받기(p<.001), 차기(p<.001), 한 손 공굴리기(p<.001)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은 발달장애유아의 대근운동능력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발달장애유아의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가 기본생활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기본생활습관 4개의 하위 요인 모두에서 즉, 청결(p<.001), 질서(p<.001), 예절(p<.001), 절제(p<.001) 요인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기본생활습관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에 참여한 실험집단이 실험 전․후에 일반적 특성에 따라 대근운동능력과 기본생활습관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연령에 따른 이동기술과 물체조작기술의 차이가 나타난 것을 제외하고는 성별, 연령, 장애유형별에 따른 집단 간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러한 결과는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에 참여한 발달장애유아는 일반적 특성에 따라 대근운동능력과 기본생활습관에 긍정적인 변화가 있는 것이 아니라 활동의 참여 자체가 발달장애유아라면 누구에게나 긍정적인 변화를 주었음을 시사하는 것이다. 넷째, 통계적 기법을 통해 규명되지 않은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의 효과를 특수체육지도자와의 심층면담을 통해 분석한 결과 발달장애유아들이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참여를 선호하며 참여를 통해 인지능력이 향상 되므로 대근운동능력 향상 뿐 아니라 정서적 안정과 자신감 향상, 자기감정제어 효과, 문제행동이 줄어드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고 하였다. 또한 기본생활습관은 시각-운동협응 및 주의집중 활동과 신체지각활동, 공간 및 방향지각활동이 특히 도움을 주었고 대근운동능력은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전 영역이 도움을 주었다고 하였으며 좀 더 지속적이고 분석적인 연구를 통해 장애유형별, 수준별, 활동 영역 별 프로그램 개발과 매뉴얼 작업이 이루어져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활성화 될 수 있게 해야 한다고 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하여 볼 때 발달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한 24주 동안의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 참여는 대근운동능력과 기본생활습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지각운동기능 중심의 특수체육활동이 발달장애유아의 교육 및 재활, 통합을 위해 매우 효과적인 활동이라고 사료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