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1 Download: 0

어루만짐을 통한 표현 연구

Title
어루만짐을 통한 표현 연구
Authors
송지원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조소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종구
Abstract
무언가를 만지는 촉각적인 행위는 시각적인 ‘봄’ 보다 원초적이고 친밀한 행위이다. 촉각은 시각 이전에 아이와 어머니와의 관계에서 사용된 최초의 기억이다. 또한 주체의 몸과 세상을 연결시켜 준다. 이러한 촉각적 행위 중에서도 어루만짐은 ‘얼로 만지다.’ 즉, 얼의 기운으로 만진다는 뜻이다. 얼이라는 것은 정신, 넋, 혼을 말한다. 그렇기 때문에 어루만짐은 일반적인 만짐보다 좀 더 정신, 마음의 측면이 강조된 행위이다. 나의 작업에서 어루만지는 행위는 연마(polish), 모사(copy)라는 두 가지 표현 방법으로 나누어진다. 연마 작업이 직접적으로 어루만지는 행위를 하는 것이라면, 모사 작업은 보다 심리적인 행위라고 할 수 있다. 어루만지는 행위를 통해 대상과 주체는 정서적인 위로와 안정을 느끼게 된다. 이 같은 정서적 위로와 안정은 어루만져지는 대상과 행위의 주체 간의 교감을 속에서 얻어진다. 나는 성지순례에 관한 TV 다큐멘터리에서 많은 사람들이 만져 우연적으로 연마된 돌 조각상을 인상 깊게 본 적이 있다. 조각상의 연마된 부분은 수많은 사람들 개개인의 바람, 염원으로 인해 우연적으로 연마되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조각상의 연마된 부분으로부터 느낀 감흥은 부드러워진 형태에 대한 것일 뿐 아니라, 긴 시간동안 조각상의 한 부분을 마모시킨 수많은 이들 각각의 삶과 바람으로부터 기인한 것이다. 나의 연마 작업은 이러한 감흥을 동기로 시작되었다. 이러한 연마 작업은 거친 표면을 손으로 갈고 닦아 부드럽게 만드는 행위이다. 이 과정에서 거칠고 모난 표면을 만지고 쓰다듬는 촉각적 행위도 끊임없이 함께 이루어진다. 이것은 거칠고 모난 대상의 표면을 어루만진다는 점에서 정제되지 않은 것, 비천한 것, 낮은 것과 같은 개념을 포용하는 행위라고 볼 수 있다. 또 다른 표현 방법인 모사는 투명한 OHP 필름(film)을 상(像) 위에 놓고, 밑에 비춰지는 상을 베껴 그리는 방법이다. 모사의 소재는 연약한 존재로 본 얼룩말과 숭고한 대상으로 본 피에타 조각상이다. 나는 얼룩말을 연약한 존재라고 보았다. 초식동물인 얼룩말은 맹수가 나타나면 도망칠 뿐, 이에 대항하여 싸울 수 있는 힘이 없다. 이러한 얼룩말의 연약함은 쉽게 다치거나 죽을 수 있음을 내포한다. 반면에 그 무늬는 강렬하고 자극적이다. 얼룩말의 연약함만큼 그리고, 살아남고자 하는 본능만큼 보호색인 무늬는 강렬하게 느껴진다. 작업의 또 다른 소재는 미켈란젤로의 피에타 조각상이다. 피에타 조각상으로부터 느낀 것은 죽음, 고통, 슬픔과 같은 인간 삶의 어두운 측면과 그에 대한 초월적 의지이다. 예수의 죽음을 바라보는 마리아의 태도는 초연하다. 이러한 초연함은 종교적 믿음과 정신적 극복에 의한 것이리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피에타 조각상을 통해 죽음, 고통이 모든 인간의 숙명이라는 점에 대해 생각할 수 있었다. 그리고 그것을 초연하게 대하는 마리아의 초월적인 태도 또한 나에게 위로가 되는 것이었다. 나는 얼룩말과 피에타 조각상으로부터 공통적으로 죽음, 고통, 공포와 같은 삶의 어두운 측면을 보았다. 얼룩말과 피에타 조각상은 나 스스로가 삶으로부터 느낀 죽음, 고통 그에 대한 공포의 감정이 투영 된 대상이었다. 필름에 모사된 얼룩말과 피에타 조각상의 이미지는 재료의 투명하고 가벼운 성질을 부각시키고자 공중에 매다는 방법으로 제시된다. 매달린 이미지들은 서로 겹쳐져서 시간, 공간, 크기 면에서 다른 차원의 것처럼 느껴진다. 이는 이미지 간의 겹쳐짐, 흔들림, 겹쳐질 듯 말 듯한 찰나가 주는 시각적 변동 때문이다. 이러한 초월적인 느낌은 얼룩말과 피에타 조각상의 이미지 그리고 그 사이로 들어가 관람하는 관객 이렇게 세 이미지의 겹침을 통해서 또 다른 형태로 나타난다. 이것은 인간이 세운 존재 가치에 대한 초월이라고 할 수 있다. 인간이 분류한 대조적 가치 기준으로 볼 수 있는 얼룩말과 피에타 조각상의 이미지가 겹쳐 보인다. 그리고 그 사이에 관객이 들어가게 된다. 결과적으로 얼룩말, 피에타 조각상의 이미지 그리고 인간의 모습이 겹쳐 하나의 장면처럼 보이게 된다. 이것은 인간 스스로 만든 가치 기준에 대한 물음을 떠올리게 하는 것이다. 이렇게 본 연구는 삶의 어두운 측면에 대한 관심을 동기로 한 것이다. 이에 대한 표현으로 어루만지는 행위의 작업을 통해 죽음, 고통, 공포와 같은 삶의 어두운 측면까지 포용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외적인 가치를 추구하고, 인간을 도구적 가치로 평가하는 현대 사회 분위기 속에서 인간 본연의 순수한 믿음, 의지를 발견해보고자 한 시도이다.;A tactile behavior to touch something is more pristine and friendly behavior than visually “seeing”. Tactile sense is the first memory having been us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child and mother prior to the sense of sight. Also, it connects the physical body of the entity with the world. Among such tactile behaviors, the comforting behavior by the gentle stroke corresponds to ‘touching with the gentle hands of soul (“eol” in Korean)’. That is to say, it denotes a touch together with vitality of spirit. “Eol” is compatible with “Jeongsin” (or spirit) or “Neok” (other expression of soul in Korean, quite often this word indicates a departed spirit or soul) or “Hon” (in literal sense, it strongly suggests the ghost or spirit of a deceased person. In some case it means vigor of life.). For this reason, a comforting by the gentle stroke is the behavior in which the aspect of spirit or mind has been more emphasized than ordinary action of touching. In my works, the comforting behavior by the gently stroke is divided into two expressional methods, namely polish and copy. Given polishing work is performing the comforting behavior by gentle stroke directly, copy is rather deemed as psychological behavior. The object and the entity are able to obtain emotional stability and comfort as well through the comforting behavior by gentle stroke. Such emotional stability and comfort can be obtained amid sympathy between the object of being comforted by the gentle stroke and the entity of behavior. In the works of polishing, the artist obtains such quality through the sympathy with crude gypsum and marvel surface, and in the copy works, through sympathy with such objects as zebra and pieta statue. In the television documentary about the trip to the Holy Land, I once saw a stone statue that had been well polished coincidentally by touches of many people, and was very much impressed with such look. It can be seen that the well polished part of the sculpture are the results of worn-away through individual wish and yearning of numerous people. Therefore, the sensation of pleasure and inspiration that felt from the polished part of the sculpture has been caused not only by the smoothed shape thereof, but also it is due to individual life of a great number of people and their craver, who have caused a part of the statue to be worn away for a long period of time. Polishing works started with the motivation arisen from such inspiration and sensation of pleasure. In my works, polishing is a behavior to make rough surface smooth by grinding and shining. In this process, such tactile behaviors as touching and smoothing down the rough and angular surface are performed together ceaselessly. This may be considered a behavior to encompass such concepts as the thing that has not been refined yet, and that abject, and that is lower, from the perspective of touching the rough and angular surface with gentle strokes. And, the copy that is a different way of expression is a method to draw by transcribing the image being reflected underneath having placed the transparent OHP film over the image. The materials of copy are zebra, which has been regarded as a weak and fragile existence, and the pieta sculpture, which has been considered as the sublime subject. I regarded the zebra as a weak and fragile existence. Zebra, which is an herbivore, just runs away when ferocious animals appear, but Zebra doesn’t have any strength to fight against such fierce animals. Such feebleness of zebra connotes the fact that zebra may easily get hurt or die. Meanwhile, the pattern of this animal is so intense and stimulative. As much as its feebleness, and as much as its instinct to survive, the pattern of zebra that wears protective coloring is being felt so strong. The other material of the works is Michelangelo’s pieta sculpture. The things felt from this statue are the dark side of human life, like death, pain, and sorrow, and also transcendental will thereto. Maria maintains a detached attitude toward the death of Jesus. It is possible to presume that such releasement was the consequence of religious faith and spiritual strength to overcome death. Pieta sculpture is the subject that brings comfort to me due to the fact that death and pains are destiny of all human beings and also due to Maria’s transcendental attitude. I found the dark side of life, like death, pain and fear commonly from the zebra and pieta sculpture. These are the subjects where my sensations of fear of death and pains that I myself felt from life have been reflected. The images of zebra and pieta sculpture that transcribed on the film are presented with the method to hang in the air in order to distinguish the transparent and light quality of materials from others. Hanging images are being felt as if these were from different dimensions in the aspect of time, space, and size having been overlapped and absorbed one another. This is because of overlapping between images, swaying, and visual changes that have been derived from the moment that doesn’t reveal any clear indication if the images would be overlapped or not. Such transcendental feelings are reappeared as the different form through the overlaps of three images, like the image of zebra and pieta statue, and the visitors who view the artworks having entered between the images. This can be described as transcendence in relation to existence value established by human beings. The images of zebra and pieta sculpture that can be considered a contrasting standard of value that classified by human beings are seen as an overlapped image. And the visitors will enter between the images. Consequently, the image of zebra, pieta sculpture and humans are overlapped and seen as if they were one single image. This will definitely make people remind of the question about the standard of value established by humans themselves. Likewise, the motivation for this research was the interest in the dark side of life. Through the works with comforting behavior by the gentle stroke, the writer tried to embrace the dark side of life, like death, pain and fear. Also, this is an attempt to discover a pure natural belief and will of human beings under the atmosphere of modern society that tends to pursue external value, and evaluates humans with instrumental valu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