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61 Download: 0

가정분위기, 또래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분위기, 또래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Family Climate, Peer Support and Self-esteem on Child's Self-regulation : The Examination of Path Model
Authors
정희선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family climate, peer support and self-esteem on child's self-regula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369 children from 4th and 6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urrently attending schools in Seoul. Data were gathered via four questionnaires regarding family climate, peer support, self-esteem and child's self-regulation reported by children. Data were analysed by Structural equation model using AMOS 7.0. The main result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family climate, peer support and self-esteem were positively related with child's self-regulation. Second, the family climate, peer support and self-esteem showed direct paths to child's self-regulation. That is when family climate, peer support and self-esteem were higher, child's self-regulation was high. Third, the relations between family climate and child's self-regulation weremediated by child's self-esteem. Also the relations between peer support and child's self-regulation were mediated by child's self-esteem. In conclusion, this study results suggest that family climate and peer support are very important antecedent variables to predict child's self-regulation as well as self-esteem. Thus, the open communication with parents, and positive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peer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child's self-regulation. Also according to this research, self-esteem has a great influence on child's self-regulation. Therefore, this study suggest that support for promote the positive self-esteem.;본 연구는 가정분위기, 또래지지,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탐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2개의 초등학교 4, 5, 6학년에 재학 중인 369명의 아동(남아 : 178명, 여아 : 191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가정분위기, 또래지지, 자아존중감 및 자기조절능력에 관한 아동보고용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가정분위기는 어은주와 유영주(1995)가 제작한 ‘가족의 건강성 척도’를 한영숙(2006)이 아동용으로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또래지지는 박지원(1985)의 측정도구를 김승미(1998)가 수정 보완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아동의 자아존중감은 Rosenberg(1965)의 자아존중감 척도를 김연희(2005)가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고,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은 행동적 자기조절능력과 정서적 자기조절능력에 관한 내용을 측정하였다.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은 허정경(2003)이 개발한 자기조절능력 척도 중 행동적 자기조절능력에 관한 문항들을, 정서적 자기조절능력은 Shields와 Cicchetti(1998)의 Emotion Regulation Checklist(ERC)를 강지흔(2004)이 수정 번안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 AMOS 7.0를 사용하여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고 각 변인간에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과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이용하여 결과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에 따른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가정분위기, 또래지지 및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과 정적인 상관을 나타내, 가정분위기가 긍정적일수록, 또래지지와 자아존중감이 높을수록 아동의 자기조절능력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가정분위기, 또래지지 및 자아존중감이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직접경로는 모두 유의미하게 나타나 가족원간의 의사소통이 원활하고, 믿음과 신뢰가 바탕이 되어 가족원간 유대가 좋을수록,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은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아동이 또래로부터 정서적, 정보적, 물질적, 평가적인 지지를 받고 있다고 지각할수록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으며, 아동이 자신에 대한 가치감과 만족감이 높고, 자신을 유능하다고 지각할수록 자기조절능력은 높았다. 한편, 가정분위기와 또래지지가 아동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직접경로도 유의미하게 나타나, 가정분위기가 긍정적이고 또래로부터 받는 지지가 높은 아동은 자아존중감이 높게 나타났다. 셋째, 가정분위기와 또래지지는 또한 자아존중감을 매개로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즉, 가정분위기가 긍정적인 아동은 자아존중감이 높았으며, 이러한 높은 자아존중감을 보인 아동은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또래지지가 높은 아동은 자아존중감이 높았으며, 이러한 높은 자아존중감을 보인 아동은 자기조절능력이 높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가정분위기, 또래지지, 자아존중감은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으며, 가정분위기, 또래지지는 아동의 자아존중감을 통해서 자기조절능력에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아동의 자기조절능력발달에 또래로부터 받는 지지뿐 아니라, 가족원간의 원활한 의사소통과 가족원간의 서로 신뢰하고 믿는 분위기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자신에 대한 가치감과 유능감을 높여주는 자아존중감 향상이 필수적임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자기조절능력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그에 미치는 변인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아동의 자기조절능력 향상을 위한 가족의 역할 및 또래관계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 또한 자기조절능력의 발달에서 자아존중감의 매개역할을 입증함으로써,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시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