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한국어 동사의 의미구조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어 동사의 의미구조에 관한 연구
Authors
김명희
Issue Date
1975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인간의 두뇌 속에 일어난 어떤 유형의 사고 안에 실재하는 한 추상의 개념은 언어를 통해 구상화된다. 개념을 추상적이라 한 것은 단지 감각할 수 없기 때문이며 언어는 감각할 수 있기 때문에 구상화라고 표현하였다. 의미구조는 바로 이와같은 한 추상적 개념이 언어로 행동화하는 과정에 놓여진 한 체계이며 규칙이다. 이것은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겠다. A의 개념 →의미구조→음성구조→청각인지→B안에서의 A의 개념 재현 우리가 언어활동의 최고 단계로 사고 안에서도 역시 언어를 통해 사고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보나 언어의 내면에 실재하고 있는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 즉 개념을 제외시킨다면 이미 그것은 사고의 결여이며 언어가 아닐 것이다. 이런 의미에서 의미구조의 연구는 개념을 언어로 형성시키는 과정을 밝혀 보려는 것이다. 이미 Chomskian들이 언어의 심층구조를 파헤쳐 보려는 노력을 해 왔으나 언어의 외적 심층구조 연구에 그쳤을 뿐 내적 심층구조는 밝히지 못한 채이다. 개념을 음성기호로 실재화시키는 단계의 의미구조의 연구는 뜻있고 흥미있는 일이라 하겠다. 한국어의 의미구조를 연구하기에 앞서 우선 첫단계로 모든 발어의 주축이 되고 있는 동사의 의미구조만을 먼저 다루어 보았다. 한국어의 동사는 15개의 의미구조의 규칙을 통해 산출되고 있다. 앞으로 명사에 있어서의 의미구조연구와 동사와 명사 연결에 있어서의 연구, 더 나아가 발화형성에 있어서의 의미구조의 연구를 발전시켜 한국인의 언어상황 안에서의 사고구조를 밝히는데 도움이 되지 않을까 생각한다.;Fundamental pattern of thought exist in the human mind, and in the act of thinking we utilize these patterns to form specific concepts. Through language we form concrete thoughts from these specific yet still abstract concepts, abstract in that without language they are vague and diffuse. Language crystallizes our concepts, giving them shaps and substance. ""Meaning structure"" is the system of order whereby we transform abstract thoughts into words. One might visualize this process as follows : A's thought→meaning structure→phonetic expression. B then, through his auditory and intellectual powers, apprehends and decodes this message, so that A's thought is recreated virtually unchanged in B's consciousness. The human power to conceptualize is the foundation of language While the formation of thought procedes almost simultaneously with the selection of words to convey the thought, our occasional earnest and conscious search for expressions to adequately convey our thoughts indicates that without the ability to conceptualize neither abstract thought nor language could exist. Thus the study of meaning structure is not simply the study of words, but an attempt to understand the deep inner structure whereby concepts find expression in language. Although scholars such as Chomsky have already diligently analyzed linguistic structures, their analysis has focused on relatively exterior aspects of language; what remains is to study structure in its interior, essential aspects. Such a study would not be confined to the manner in which words combine and interact, but would rather explore the process that transforms thoughts into words. There is an inherent value and interest in such an approach to linguistic research. Since verbs are the heart of language, a study of the meaning structure of a given language must begin with a study of the meaning structure of verbs. Basic research on the Korean language has thus far yielded 15 basic rules of meaning structure for Korean verbs. Further research must analyze the meaning structure of noun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nouns and verbs, and progress finally to a study of the process of language formation itself, whereby concepts become materialized in language. It is my belief that ultimately such research, by clarifying the structure of thought that underlies the Korean language, would be a definite contribution to scholarship.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