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20 Download: 0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Title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
Other Titles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s' Self-esteem: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Attachment toward Parents and Peers
Authors
김수희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또래애착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이 부모의 성 또는 청소년의 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치는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 및 또래애착 변인들간의 상대적 영향력을 탐색하는 한편,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부모의 양육행동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는지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고등학교 1, 2학년 남녀 청소년 405명을 대상으로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또래애착,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양육행동은 부모의 지지, 행동적 통제, 심리적 통제로 구분하여 측정하였다. 부모의 지지 척도는 Schaefer(1965)의 CRPBI(the Child Report of Parent Behavior Index)를 Barber, Stolz와 Olsen(2005)이 개정한 것을, 부모의 행동적 통제는 Barber, Stolz와 Olsen(2005)이 사용한 것을, 부모의 심리적 통제는 Schaefer(1965)의 CRPBI(the Child Report of Parent Behavior Index)에 기초하여 Barber(1996)가 개발한 PCS-YSR (Psychological Control Scale-Youth Self-Report)을 각각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을 측정하기 위해서 Armsden과 Greenberg(1987)의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 척도(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에 기초한 Raja, McGee와 Stanton(1992)의 IPPA-개정본(IPPA-R)을 번안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자아존중감은 Coopersmith(1967)의 SEI(Self-Esteem Inventory)를 전귀연, 장도현(1984)이 번안한 문항 중에서 일반적 자아존중감에 관한 26문항만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문제의 분석을 위해서 변인들 간의 반복측정 다변량분석, 독립t검증, Pearson 상관관계분석,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모의 지지적 양육, 행동적 통제, 부모애착에서 부모의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남녀 청소년들은 어머니가 아버지보다 지지적 양육을 많이 한다고 지각하였으며, 아버지보다 어머니에 대한 애착이 더 높다고 지각하였다. 그러나 행동적 통제에서는 부모의 성 및 청소년의 성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나 아버지의 행동적 통제는 청소년의 성에 따른 지각의 차이는 없었으나,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어머니의 행동적 통제를 더 높게 지각하였다. 이외에도 부모의 심리적 통제와 또래애착에서 청소년의 성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 남자 청소년이 여자 청소년보다 부모의 심리적 통제를 더 많이 받는 것으로 지각하였으며, 여자 청소년이 남자 청소년보다 또래에 대한 애착이 더 많은 것으로 지각된 반면, 자아존중감은 남녀 청소년 간에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부모의 양육행동과 부모애착, 또래애착이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상대적인 영향력을 분석한 결과, 남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인은 또래애착이었고 다음으로 어머니의 지지적 양육행동이었던 반면, 여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가장 설명력이 높은 변인은 어머니의 행동적 통제이었고 그 다음은 또래애착으로 나타났다. 셋째, 부모에 대한 애착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매개적 역할을 하여 부모가 청소년 자녀에게 지지를 많이 할수록, 자녀의 행동을 관리 감독할수록, 심리적으로 억압하지 않을수록, 부모와의 애착이 높고 이것이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어머니의 지지적 양육과 남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어머니에 대한 애착은 매개적 역할을 하지 않았고, 아버지의 지지적 양육과 여자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간의 관계에서 아버지에 대한 애착 또한 매개적 역할이 나타나지 않았다. 한편, 남녀 청소년 모두에서 또래에 대한 애착은 부모의 양육행동과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가 자녀에게 지지를 많이 할수록, 자녀의 행동을 관리 감독할수록, 심리적으로 억압하지 않을수록, 또래와의 애착이 높고 이것이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결론적으로,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 또래애착에서 부모의 성 혹은 청소년의 성에 따른 유의한 성차를 나타냈으며, 부모의 양육행동은 부모애착, 또래애착과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대해 직접적으로, 또는 부모애착 및 또래애착의 매개적 역할로 인하여 간접적으로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에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결과는 부모의 양육행동, 부모애착과 또래애착이 남녀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예측할 수 있는 중요한 변인임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s' self-esteem as a function of sex, including the mediating role of adolescents' attachment toward parents and peers . A total of 405 high school students(Mage=16.3, SD=.71) in Seoul participated in this study. Adolescents filled out a set of questionnaires consisted of Parenting Behavior Scale(Barber, Stolz & Olsen, 2005),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Revised version(Raja, McGee & Stanton, 1992) and Self-Esteem Inventory(Coopersmith, 1967). Data were analyzed by Repeated MANOVA, t-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hierarchical regressions.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 1. There were some differences in parenting behaviors, parent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as a function of sex of parents or adolescents. Both boys and girls perceived mothers' supportive behavior and attachment toward mothers higher than those of fathers. Girls perceived higher m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peer attachment, whereas boys perceived higher parental psychological control. However, there were no sex differences of adolescents in self-esteem. 2. Peer attachment and maternal support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boys' self-esteem, whereas maternal behavioral control and peer attachment were the most significant variables predicting girls' self-esteem. 3. Adolescents' perceived parent attachment mediated the relations between parenting behaviors and adolescents' self-esteem. Specifically, parenting behaviors such as higher parental support, behavioral control and less psychological control lead to adolescents' higher parent attachment and in turn to adolescents' higher self-esteem. The results underscore the importance of parenting behaviors and the mediating role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n predicting adolescent's self-estee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