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1 Download: 0

이조시대의 "박"에 대한 고찰

Title
이조시대의 "박"에 대한 고찰
Authors
김현경
Issue Date
1976
Department/Major
대학원 응용미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ls study attempts to explore □□□ made by tho both comnon people and artists during the Choson Dynasty, dating back to the 13th and early 20th centuries. During the period in that Royal society of Korea, the gourd dipper, Bak in Korean pronounciation had been widely used throught-out the Korean society.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is research consists of material used, utility of □□□ Bak , patterns of using it, design and its impacts on folk customs. As widsly known of □□□ Bak, it was usually made of wood so that it was used for many purposes such as storing rice or barley and as strainer in removing sands, gravels, ect., when housewives washed rice with water to cook the rice. Even If, the wooden dipper designed to use for practical purpose looked simple in decoration, it was beautiful in its simplioity. The natural beauty of □□□ Bak expressed exactly what the Korean aesthetic views are. The wooden dipper was the early type of the gourd dipper, However, It was made late of gourd, which eventually are being called □□□ Bak or calabash, Bak □ was quite popular among house wives in the Chosen dynasty simlly because it attracted them as the essential instrumment for housekeeing. More than that, we can also imagine that the romantic scene which a beautlful maiden served a dipper of cold water to young yeonman in hot summer under willow trees. Thus, □□□ Bak tells us not only the artisitic value of it in the society but also the joyful stories descended from folklore. The changing situation in contemporary era makes the role of Bak different, diffrerence from as aesthetic view to merchant value. Well aware of the modern complex industrial society, people would llke to go back to their good old days-far back to royal society. It may be timely appropriate to put □□□ Bak on mass production basis in selling them not only to Korean market but also to internaltiona1 markst, in the way which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 Bak happens.;본 연구는 '박'을 연구대상으로 채택하여 朴(□)으로부터 나무로 만들어진 '박'의 유래를 찾아 보았다. '박'은 주로 주방의 영역에서 사용되는 必需品으로 그 종류와 모양이 매우 다채로웠을 것이나, 재료의 비영구적 성질과 戰亂등으로 李朝전기의 遺品은 찾아보기 어려웠다. 따라서, '박'의 형태에 대한 발전된 樣相을 시대적으로 구분하기에, 그 樣式이 확연치 않았다. 수집된 '박'의 재료는 李朝후기의 것으로, 통나무를 파내어 만든 그릇이 어떻게 '박'으로 命名되었는지 그 이유를 밝히기 위하여 덩굴 朴(□)의 형태와 기타재료로 제작된 器物의 형태에서 공통점을 찾아보려고 하였으며 또, 나무로 만들어진 '박'의 형태에서도 朴(□)과의 유사점을 고찰해 보려고 하였다. 그 결과, 포로 만들어진 바가지의 형태는 모든 器物의 原形이라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나무로 제작된 '박'과 덩굴 朴(□)과의 관계에 있어서는 형태, 제작방법 및 사용범위에 까지도 유사점이 있음을 발견할 수가 있었다. 따라서, 나무로 만들어진 그릇의 '박'字는 덩굴 朴(□)의 朴字에서 유출된 것임을 추리할 수 있었다. 나무로 만들어진 '박'은 아름다워야 하는 것 보다, 쓸모있는 실용적 意義를 뒷받침으로 제작되었으므로, '박'에 주어진 형태는 사용목적에 밀접한 연관성을 갖고 있다고 하겠다. 例를 들면 바가지에 담을 내용물이 깊은 그릇에 담겨있을 경우, 바가지에 "자루"가 달리게 되는 것이라든가, 쌀이나 보리등을 씻을 때, 돌이나 모래등의 것을 가려내기 위하여 바가지 안쪽에 긴 "흠"이 파여져 있는 것등으로 보아서, '박'의 사용목적은 '박'의 형태를 특이하게 만드는 요소라고도 하겠으며, 그 '박'의 형태를 통하여 우리는 민족적인 조형기질을 발견할 수 있다. 이에, '박'을 제작한 李朝人들의 天性的 美의식이 여기에 선명하고 수식없이 표현되어 있다고 하겠다. 우리는 이 修飾없는 天然의 美를 李朝의 美라고 부르고 있다. 다시 말하자면, 李朝의 美란 자연있는 그대로의 그들 생활속에서 자연적으로 생겨나온 것으로, 인간의 기술을 통하여 자연을 살리는 것이라 하겠다. '박'의 사용장소는 주로 주방이었으므로 여성과의 관련성은 깊은 것이다. 그것은 '박'의 民具化를 낳게 하였으며 거기서 발생한 민속적 이야기를 통하여, 우리는 '박'이 사용된 실용범위와 우리나라 옛 여인들의 생활양식을 엿볼 수 있으며, 또한 한국여성의 본질과 성격이 여기에 담겨 있음을 본다. 그리고, 기호적 성격을 띤 "표주박"을 통하여 우리강토의 아름다움을 찾을 수 있으며, 이 '박'을 사용한 옛 선비들의 풍류적인 멋을 느낄 수 있다. 이상의 고찰로서, 李朝의 '박'에는 서민적인 정취가 풍부히 실려있음을 발견할 수 있고, 우리는 이 李朝의 '박'을 통하여 李朝時代의 국민情緖와 生活樣式을 엿볼 수 있다. 고로, '박'에 담겨있는 전통적인 멋을 살려서, 새로운 감각에 맞는 형태와 제작방법으로 연구 개발하여, 한국의 독자적인 생산품을 외국에까지 수출하므로서, 한국의 민속을 소개하는 계기가 되어야 할 것이라고 생각되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