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복련-
dc.creator김복련-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1Z-
dc.date.issued1975-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3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4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322-
dc.description.abstract교육은 사람을 만드는 일이기 때문에 교사는 “교사가 되기 전에 먼저 사람이 되어야 한다”라고 말하고 있다. 또는 교육은 지식을 기술적으로 전달 혹은 주입함으로써 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교사는 솔선수범, 행동으로 가르쳐야 한다”고 한다. 오늘날 교직이 하나의 전문직으로써 교육활동에 관한 전문적 지식과 기술로 강조되는 입장에서 볼 때 교사의 인격과 그의 행동이 별로 문제되지 않을것 같이 생각되기도 쉬우나 교육활동이란 아동? 학생의 인격형성을 도와주는 이리기 때문에 지식과 기술에 선행하는 교사자신의 됨됨이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이다. 그 중 음악이란 정서적으로 수도하는데 그 가치가 있음은 물론, 더 나아가 인간교육의 기본으로서 민주적이고 협동적이며 적극적이고 창조적이며 또한 심미적인 교육활동이 주도니 목교인 것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려면 무엇보다도 훌륭한 교사를 갖지 않으면 안 될 것이며, 이러한 훌륭한 교사를 갖는 다는 것은 바로 훌륭한 교육을 할 수 있다는 말과 통한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현직 중? 고교 음악교사들 약 140명에게 설문지를 통하여 그들의 의식구조 및 교직관, 그리고 만족도, 그리고 실제 수업을 운영함에 있어서 여러 가지 형태와 문제점, 그리고 그네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음악교사상을 어떻게 구상하고 있는지, 아울러 이를 뒷받침하여 앞으로의 음악교사의 양성 및 현장에서의 문제점을 찾아서 이를 분석하여 앞으로의 보다 효율적인 음악교육의 여건을 찾아보려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그 문제의 연구의 결과는 먼저 의식 구조면과 현직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적으로 만족하고 있었으며, 수업 형태와 운영면에서는 교사 스스로의 전공 이외의 분야에서 능력 부족을 시인하고 있었으며, 또한 행정가들의 이해부족과 사기와 관계되어 잘 수행되고 있지 않음을 지적하고 있다. 또한 그네들이 생각하는 바람직한 교사상이란 전공보다는 음악 전반에 걸친 소양과 기능이 고루 갖추어져야 된다고 반응하고 있다. 아울러 앞으로 음악교사 양성은 현 체제보다 개선된 방향에서 양성되기를 바라고 있으며, 현장에서의 활동에 지장이 없도록 시설의 확충과 행정가들의 이해 및 협력을 원하고 있었다. 그러므로 앞으로의 음악교육에서 개선되어야 할 점은 보다 훌륭한 교사의 양성은 뚜렷한 교육관의 확립과 광범위한 기능을 고루 지닐 수 있도록 개선되어야 하며, 이들을 둘러써고 있는 주위 사람들의 보다 깊은 이해와 협력 및 학습 활동에 필요한 충분한 시설이 보충되기를 바라는 바이다.;Teaching is generally known as the action or process of educating a man to be a true human being, and it does not mean a mere technical transmission or cramming of knowledge. Teachers, therefore, suppose to be a true human being prior to becoming a teacher, and voluntarily set an example of living as a true human being to others. So these days teaching career is easily mistakably understood only in terms of professionalism, and aspects of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calities of teaching are emphasized, so that characters and personality of teachers ere often disregarded in the process of education. Since chief objective of secondary education means a formation of personality for a student, personality of teachers is the more important qualification than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chnique to be a good teacher. Music is both valuable and meaningful. since it induces a man to the stream of human emotion, which is the fundamental education for a human being. Therefore, natures of music education would be democratic, cooperative, and positive as well as creative and aesthetic. For a meaningful music education, it is a prerequisite to have good music teachers. Availability of good teachers is answer to a goo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refore, is to make suggestion an requirements and conditions of effective music education in the future. This study examines the structure of consciousness, professional views, and degree of satisfaction. It also analyses nature and types of problems which raise in music class room, and ideal types and images as a music teacher and desirable measures of training and recruitment of music teachers. This study is based on 140 questionaires which were responded from music teachers of secondary school. The findings show that almost all the teachers are satisfied with their professions, recognize their incapability in the areas of non-major fields, and closely related to the administrators' poor understanding is the morale of teachers. Furthermore, their ideal figure of music teacher is involved in having sufficient knowledge and ability through the whole field of music rather than their exclusive specialty. And they are desirous of improving teacher training system, of expanding facilities for affluent, educational activities and of good understanding or cooperation of administrators. It is required that training teachers should put great emphasis on having firm view of education and a variety of ability. And the better understanding or cooperation of ambiences and more sufficient facilities should be added to them.-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 3 II. 이론적 배경 5 A. 의식구조 5 B. 음악교육 6 C. 교사론 10 D. 음악교사 20 III. 연구문제 25 IV. 대상ㆍ도구 및 방법 26 A. 대상 26 B. 도구 26 C. 방법 및 절차 27 V. 결과 및 해석 28 A. [현직 음악교사들의 의식구조] 28 B. [수업형태 및 운영] 33 C. [이상적인 음악교사상] 37 D. [음악교사의 양성 및 현직교사들의 요구사항] 42 VI. 결론 및 제언 46 참고문헌 49 [영문초록] 51 부록목록 5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2524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이상적인 음악교사의 유형 및 의식구조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dc.date.awarded197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