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이희선-
dc.creator이희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01Z-
dc.date.issued1975-
dc.identifier.otherOAK-00000005330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4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3307-
dc.description.abstractPunch'ong-saki is reputed to be representative of the Korea porecelain and very well conveys the national characteristics and the modes of life of Korean people. Yet one should acknowledge that there have not been sufficient analysis and scientific researches concerning the body graze of this very Punch'ong-saki. Many of the kiln sites are now untraceable and the remaining kiln sites are generally in unfavorable condition to be excabated and the sites developed as mines are even rars. Consequently, it seems to be valueless, though the result appears to be good, to follow the old method of excavating kiln sites for the selection of materials, because it not only will require much effort, but its utility will not stand so high. Therefore such conditions as quality, transportation efficiency, and future utility of the deposit we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in selecting the necessary materials. After visiting each sites and marking its excavation facilities and the amount of deposit with those factors in mind, the author selected and used as materials for the body, graze and engobe the Hadong kaolin, the Sunghwan clay, the Onyang clay, the Yeoju clay (A), (B), (C), the Yongin feldspar, the Yungchung pyrophyllits, the Mangu-ri clay, the Kangwha clay, the Kimchun quartz, the Ssangyoung limestone, and pine-ash. The experiment foolowed these steps: forst of all combined each 500 gr. of the raw materials for the body according to table 4 and 5 and ground then wet to sieve through 100 mesh and then dried the result enough to be aged. The next step was combustion- finishing three completely dried pieces of a kind at a time out of 30 test pieces molded at the previous st데 in the electric kiln with the help of Kanthal till each of these pieces reaches 1230 C. And then measured the water absorption rate and the colours of these combustion-finished pieces to eliminate the improper pieces for making the body of Punch'ong - saki. Samples picked out to be good were heated by 850 C primarily the same electric kiln. The as shown table 7, combined each 100 gr. of raw materials and shattered them wet to sieve through 120 mesh and to dry. From the resulting material, as ground and kept in a beaker some necessary amount was taken to be added with some water and then it was applied to the previously combustion-finished test samples with the dipping method employed. Similarly, the other samples out of the same materials were also combined to be brushed with both the white and the black engobe which were ground and sieved through 140 mssh. The above mentioned graze was painted on this result and then they were also heated. Electric kiln as well as th conventional essential kiln and the down draft kiln was used in the secondary combustion finishing job. The samples were tested in eachof thse kilnes to be examined if they showed any changes in the different kilness with this result the author tried to find out the most appropriate kiln for making 'Punch'ong - saki.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most favorable bodys were turned out to be the combination of the Onyang clay and the Yeoju clay (B) with the proportion rate of 10:2, and 10:1:1 combination of the Onyang clay and the Yeoju clay(B) and the Mangu-ri clay. 2. The most favorable cmobination for the white engobe was that of the Hadong kaolin and the Kimchun quarts and the Yeoju clay (A) with the proportion of 10:3:2. Meanwhile for the black engobe, the proportion of 10:8:5 of the Kangwha clay, pyrophyllite, and the deoxide iron was though to be good. 3. The graze approached near to the ancient Punch'ong-saki when it was combined with the Yongin feldspar, pine--ash and Yeoju clay (A) under the proportion of 25:5:2 or 25:6:3. 4. The secondary combustion finishing process which was found to be most desirable was in the conventional oriental kiln at the temperature of 1200-1230℃ The colour obtained at this condition was thought to be the most natural. The author aimed at making porcelaines based on the data of this experiment, and endeavored to apply the new technique in design. In working process, we made the first firing in Down Draft Kiln and the second firing in conventional essential kiln. The finally finished porcelaines have the body colour of bright grey-red, as was expected, and the graze has become a transparent one which has many fine crannies and hs th colour of grey-blue with a little bit of yeolow. And the engobe becomes the graze very well without crawling. The author think that it is very difficult to apply the limited graze of Punch'ong - saki to a porcelaine with modern design and that th author has a good result by trying th variation of technique.;분청사기에는 우리 민족의 성격과 생활이 가장 잘 나타나 있어서 한국의 한 대표적 도자기라고 할 수 있겠다. 그런데 분청사기에 대하여 그 소지나 유약에 관한 과학적 분석과 연구가 충분하지 못했던 것이 사실이다. 그래서 옛 분청사기와 비슷한 감상을 내는 소지와 유를 찾고자 노력했는데 그 재료선택에 있어서 무조건 분청사기의 파편이 나온 요지에서 가까운 곳의 것을 택하는 방법을 취하지는 않았다. 왜냐하면 많은 요지가 자취를 잃었으며 남아있는 요지도 주위가 채굴을 할 수 있는 환경에 있는 것도 드물고 광산이 있는 것은 더욱 드물다. 따라서 요지를 찾아서 재료를 선택하는 방법은 많은 노력을 요하며 앞으로 이용도도 역시 높지 않으므로 좋은 결과가 나왔다고 하더라도 그 가치가 덜 할것 같다. 그러므로 필자는 재료를 선택할 때 첫째, 품질이 좋으며 둘째, 교통이 편리해서 운반하기 좋으며 셋째, 매장량이 많아서 앞으로 이용가치가 높은 것을 주로 선택하였다. 그래서 요지와 유약 그리고 상감약의 재료는 하동고령토, 성환점토, 온양점토, 여주점토 (A), 여주점토 (B), 여주점토 (C) 망□리점토, 강화점토, 용인점토, 영춘납석, 금천규석, 쌍용석암석, 송암 등을 사용했으며 각 산지를 방문하여 그 위치를 표기하고 채광상태와 저장량등을 조사하였다. 이와같은 재료를 구해서 실험을 하였는데 실험 과정은 소지의 원료를 표 4, 5와 같이 각각 500gr씩 조합하여 100mesh 정도로 혼식 분쇄하여 반죽하기 좋은 만큼 건조시켜 ageing시킨다. 이것으로 같은 종류의 시편을 30개씩 만들어서 완전히 건조시켜 Kanthal을 발열체로 한 전기로에서 우선 같은 종류를 3개씩만 1230℃로 소성하였다. 이렇게 소성된 시편으로 흡수율 측정과 색상 조사를 하여 분청사기 소지에 적합하지 않은 것은 제외하였다. 여기에서 선정된 시편은 모두 전기로에서 약 850℃로 일차 소성하였다. 다음에 유약의 원료는 표7과 같이 각각 약 100gr씩 조합하고 120mesh로 혼식 분쇄하여 건조시킨 다음 이를 유발에서 갈아 비이커에 담아두고 필요한 양만큼 덜어서 물로 농도를 맞추어 일차 소성한 각 시편에 Dipping 방법으로 시약하였다. 또 같은 종류의 다른 시편에는 표8과 같이 조합하여 140mesh로 분쇄한 백상감과 흑상감을 붓으로 시화하고 앞에서 말한 유약을 시약하여 소성하였다. 이차 소성시에 사용된 요는 전기로, 재래식 계단도염요, 경유용도염식요이다. 같은 종류의 시편은 위의 세 개요에 각각 나누어 소성해서 온도와 요에 따른 변화를 보고 분청사기에 적합한 요를 조사해 보았다. 위와 같은 과정을 거쳐서 실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소지는 온양점토 바닥층과 여주점토 (B)를 10:2로 조합한 것과 온양점토 바닥층, 여주점토 (B), 망우리점토를 10:1:1로 조합한 것이 가장 적합하였다. 2. 백상감은 하동고령토, 금천규석, 여주점토(A)를 10:3:2로 조합한 것이 가장 적합하였으며 흑상감은 강화점토, 납석, 산화철을 10:8:5로 조합한 것이 가장 색감이 좋고 유약과 잘 맞았다. 3. 유약은 용인장석, 송암, 여주점토(A)를 25:5:2나 25:6:3으로 조합한 것이 암청색을 띈 균열유로써 옛 분청사기유에 가장 가까웠다. 4. 시편의 이차 소성은 재래식 계단도염요에서 1200~1230℃로 소성한 것이 가장 자연스러운 유색이 나왔다. 위의 실험결과에 의한 데이터를 기본으로 하여 작품제작을 시도하였으며 작품 Design에 있어서 새로운 기법을 응용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작품 제작과정에 있어서 일차 소성은 경유용 도염식 각요에서, 이차소성은 재래식 단계 도염요에서 행하였다. 완성된 작품은 기대했던 바와 같이 소지색상은 밝은 암적색이고 유약은 암청색의 세밀한 균열이 많은 투명유가 되었으며 상감약도 Crawling 현상이 없이 유약과 잘 맞았다. 그리고 제한된 분청사기의 유약에 맞추어 현대적인 Design으로 작품을 시도한다는 것은 매우 어렵다고 생각하며 수법상의 변화를 시도한 것은 좋은 결과를 얻었다고 사료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발생과 변천 4 III. 분청사기의 수법 11 A. 인화분청 11 B. 상감분청 12 C. 박지분청 13 D. 조화분청 13 E. 백토분청 14 F. 귀얄분청 14 G. 철화분청 15 IV. 분청사기의 원료 16 A. 소지 16 B. 유약 21 C. 상감재 25 V. 실험과정 및 결과 29 A. 소지조합과 시편작성 30 B. 유약 제조와 시유 34 C. 상감약의 조합 37 D. 2차 소성 39 E. 결과 및 고찰 41 VI. 작품 연구 및 제작 44 A. 제작방법과 사용기구 44 B. 소성요와 소성방법 49 VII. 결론 53 참고문헌 57 ABSTRACT 6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1355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분청사기의 제조공정 및 분석실험-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응용미술학과-
dc.date.awarded197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