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3 Download: 0

경남 가면무의 미적 연구

Title
경남 가면무의 미적 연구
Authors
김온경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에서는 한국 가면무극 중, 경남형인 “야유” 및 “오광대”의 연희 가운데, 춤사위에 대한 비교와 미적인 고찰에 그 주안점을 두었다. 한국 가면극을 대별하면, 서울을 중심으로 한 중부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산대가면극, 경북·강원 양도에 분포되어 있는 성황신제 때에 연희하는 성황신제 가면극, 경남 해안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야유· 오광대 가면극, 그리고 황해도 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해서 가면극으로 나누어진다. 이 중에서 경남의 오광대는 초계·신반· 마산· 김해· 통영· 거제· 고성·진주에, 야유는 수영· 동래·부산진에 분포되어 연희되어 왔으나, 현행되고 있는 곳은 통영· 고성·수영·동래 뿐이다. 가면이란 실제 모습과는 다른 인물이나 동물, 또는 초자연적 존재, 즉 신 등을 표현하는 가장성과 은폐와 신비를 나타내는 상징성을 가지고 있으며, 그 가면을 쓰고 연희하는 가면 자체의 개념과는 대조적으로 사실적인 표현이 대부분이므로, 가면 연희는 상징과 표정이라는 이면성이 함유되어 있다. 경남지방에 분포되어 있는 야유· 오광대 가면무극에는 그 춤사위가 모나지 않고 둥글며, 즉흥적인 한국의 전형적이 춤의 멋을 지니고 있으며, 반주 악기가 타악기 위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삼현육각을 사용하는 산대가면극이나 해서가면극 보다 훨씬 고형에 가깝다고 생각되어 이것을 연구의 대상으로 택하였다. 경남가면무 중, 문둥이춤은 개성미가 가장 강할 뿐만 아니라 극적 요소가 적고, 주로 춤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무용 연구의 가치가 높다고 인정되었고, 특히 본인이 이 춤을 실제 연희하고 있기 때문에 보다 많은 관심과 애착을 가지고 고찰하였다. 본 연구는 사적인 고찰에 그 목적을 두지 않고 춤사위의 미적인 측면을 분석하여 특유한 개성미를 비교하였고, 특히 문둥이춤의 내면미를 비탄태, 체념태, 악천태, 자각태의 네가지 형식(Form)으로 분류하여 그 내면적 미의 표현을 분석하여 보았다. 한편, 이 가면무극은 주로 명절인 음력 정월 대보름에 세시풍속의 하나로서 거행되어 왔고, 또 상민들에 의해 이루어졌기 때문에 외과 음탕한 재담이나 몸짓이 많다. 그러므로 해서 부녀자나 어린이들에게는 별다른 이로움을 주지 못하였으나, 민중 오락이라고는 별로 없었던 시대에 메마른 민중생활에 있어서 정서적인 위안을 주었고, 생기를 북돋아 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었던 것이다.;This manuscript lays emphasis to the comparison about dancing and artistic investigation in two Korean Mask Play, the Yaryu (Field Play) and the O-gwangdae (Five Actors), those are played in Gyeong-sang Nam Do. Korean Mask Play is classified in this method. The first is Sandae Mask Play distributed in Middle area which contains Seoul, the second is Seong-whangsinje Mask Play, distributed in Gyeongbug and Gangwon Do, the third are the Yaryu (Field Play) and the O-gwangdae (Fie Actors) Mask Play distri-buted in the seaside district of Gyeong Sang Nam Do, the four this Haeseo Mask Play distributed in Hwanghae Do. The O-gwangdae (Five Actors), Played in Gyeongnam, was distributed to Chogae, Sinban, Masan, Gimhae, Tong-young, Geoje, Gosoong , Jinju, etc. and the Yaryu (Field Play) spreaded to Suyeoung, Dongnae, Busanjin, but it is played only at Tongyeoung, Goseong, Suyeona;, Dongnae, at present time. The mask dance has the disguise of a certain man and an animal is different from real appearance or super-natural existant, that is God. It also represents the symbol of concealment and mystery. In contrast to the concept of mask itself, most of the expession is realis-tic. So Mask Dance contains the two sideness of symbol and expression. The dancing style of ths Yaryu (Field Play ) and O-gwangdae (Five Actors) distributed in Gyeongnam is soft and round. And they have flavor of Korean improvisatory and typical dance. I think it's style is older than that of Sandae Mask Play and Haeseo Mask Play using three string and six angle, "because most of instrumental accompaniment consist of percution instrument. So I choose it the subject of studying. The Leper Dance shows a strong individuality and has little dramatic factor and most of it consist of dance. So it is valuable to study of dance. Expecially, I study it with an interest and an affection, because I have danced it. The object of this study is not a' historical investigation but the analysis of beauty side of dance. I classify the inside beauty of th Lape Dance far forms, form of grief, resignation, optimism, self-consciousness. The Mask Dance has much dissolute talk and gesture init because it is made by the lower classes. Therefore, it does not give women and girls or children some advan-tage but it is the fact to notice that it gives emotional comfort and vitality when there are no public recreations at that ti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