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7 Download: 0

유아교사들의 빈곤에 관한 태도 연구

Title
유아교사들의 빈곤에 관한 태도 연구
Authors
김신영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유아교사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와 관계가 있는 개인, 사회적 요인을 탐색해 봄으로써, 저소득층 유아교육 시 교사들의 질을 높이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유아교사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를 이해함으로써, 다양한 계층을 교육해야 하는 유아교육현장 교사들에게 실천적인 함의를 주는 것이 이차적 목적이었다.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빈곤에 대한 태도에 관한 요인들에 대해서는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특성에 비추어 의미 있는 요인들인 일에 대한 태고, 유아교사 직무에 대한 태도를 독립변수로 하고 아울러 유아학비지원에 대한 태도도 함께 독립변수로 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종속변수인 “빈곤에 대한 태도”에 관한 요인들에 대한 측정을 위해 J. Peterson(1967)과 Antherton 등(1993)에 의해서 개발된 빈곤에 대한 태도 척도를 수정·사용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7개 지역교육청 산하 50개원 220명과 그 지역의 구립 어린이집에 현재 근무하고 있는 65개원 250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하였다. 자료 수집은 2000년 4월 10일부터 4월 26일까지 실시하였으며 총 470부를 배부하였다. 그 중 성실하게 답변한 총 372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포, t검증, 일원분산분석 Stepwide 다중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은 이러한 초점으로 하였으며 이에 따른 연구 질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변인에 따라 빈곤, 일, 직업적인 문제의 어려움 등에 대한 태도 수준은 어떠한가? 둘째, 일에 대한 태도, 직업적인 문제의 어려움, 교육비 지원에 대한 의견 등이 빈곤에 관한 태도와 어떤 관계가 있는가? 셋째, 전체 변인들 중 빈곤에 관한 태도와 가장 관련이 있는 변인은 무엇인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 대상자는 어린이집 교사가 206명, 유치원 교사는 166명이다. 독립 변수들에 대한 태도는 모두 5점을 만점으로 하여 평균을 산출하였다. 따라서 5점에 가까울수록 ‘매우 그렇다’는 의견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일반적인 견해에서는 일에 대한 전체적인 태도에서는 어린이집 교사(3.31점)가 유치원 교사(3.43점)보다 낮은 점수를 보였다. 유아 교사로서의 어려움 정도에서는 시간 운영의 어려움(유치원 : 3.65, 어린이집 3.43)에서만 유치원 교사가 어려워하였고, 프로그램에 대한 어려움이나 부모와의 관계에서의 어려움은 어린이집 교사의 어려움이 더 크게 나타났다. 유아들의 교육비 지원에 대하여 어린이집 교사들이 유치원 교사에 비하여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교육비 지원의 충분성에 대한 의견에서도 차이를 나타내었다. 연령이나 교직 경력, 직급에 따라서는 연령이 많을수록, 경력이 많을수록, 직급이 높을수록 직업적인 어려움이 많았고, 교육비 지원에 대한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었으며, 교육비 지원의 충분성에 대하여는 충분하지 않다는 의견이 많았다. 빈곤에 대한 태도에서는 빈곤 상황에 대한 태도와 빈곤에 대한 사회적 노력에 대하여 두 집단간 의견 차이를 보였다. 또한 직급이 높고, 연령이 많을수록, 경력이 많을수록 빈곤의 문제와 상황이 개인적인 것이라는 태도가 많았고, 사회적 노력이 많아야 한다고 하였으며, 경력과 연령에 따라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일에 대한 태도 변수 중 빈곤에 대한 태도와 관계가 있는 요인은 ‘다양한 활동을 의미하는 일의 규칙성 측면’과 ‘일의 표출적 측면 중 개인적 차원을 의미하는 것’에 관한 요인이며, 빈곤 상황에 대해서는 ‘지위 획득 도구성의 측면’에 관한 태도가, 빈곤에 대한 사회적 노력에 대한 태도에는 ‘일의 표출적 측면 중 개인적 차원을 의미하는 것’에 관한 태도와 ‘다양한 활동을 의미하는 일의 규칙성 측면’에 관한 태도와 관계가 있었다. 직업적인 문제의 어려움 정도에서는 빈곤에 관한 태도에 ‘시간 운영의 어려움’과 ‘프로그램에 대한 어려움’에, 빈곤 상황에 관한 태도에는 ‘시간 운영에 대한 어려움’이, 빈곤에 대한 사회적 노력에 관한 태도에는 ‘프로그램에 대한 어려움’에 관한 태도와 ‘부모와의 관계에 대한 어려움’의 태도가 관계가 있는 변인이다. 교육비 지원에 관한 지식이 빈곤 문제에 관한 태도에는 ‘지원 대상 숙지 여부’, 빈곤 상황에 관한 태도에는 ‘학비 지원의 필요성’, 빈곤에 대한 사회적 노력에 관한 태도에는 ‘지원 목적 숙지 여부’와 ‘학비 지원의 필요성’이 통계적으로 관계가 있는 변인이다. 전체 변인에서는 분석 결과, '시간 운영에 대한 어려움'(3.20%), ‘일에 대한 지위 획득 도구성의 측면’의 태도(2.22%), ‘프로그램에 대한 어려움’(1.39%), ‘교육비 지원 대상 숙지 여부’(0.93%) 등은 빈곤 문제에 관한 태도와 관계가 있는 변인이다. 빈곤상황에 관한 태도는 ‘일에 대한 지위 획득 도구성의 측면’의 태도(11.37%), ‘시간 운영의 어려움’(3.84%)이, 빈곤에 대한 사회적 노력에 관한 태도에는 ‘일의 표출적 측면 중 개인적 차원을 의미하는 것’에 관한 태도(10.63%)와 ‘교육비 지원 목적 숙지 여부’(6.14%), ‘프로그램에 대한 어려움’(4.63%), ‘다양한 활동을 의미하는 일의 규칙성 측면’에 관한 태도(1.39%), ‘시간 운영에 관한 어려움’(.81%) 등이 관계가 있는 변인이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유아 교사들이 빈곤에 대하여 긍정적인 태도를 가지고 저소득층 자녀를 교육하는 데서 바람직한 교육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유치원 교사들이 저소득층 자녀에 대한 선입견이나 편견을 제거하고 다른 일반학생들과 동등한 상태에서 교육을 실행해 나갈 수 있게 하기 위해서는 유치원 교사들에 대한 교육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교사 연수 등을 통하여 사회 저소득층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키고, 빈곤한 사람들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확산시킬 수 있는 교육의 기회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기관에서 저소득층에 대한 태도를 전환시킬 수 있는 다양한 과목을 개설하여 저소득층 자녀에 대한 인식을 전환시킬 필요가 있다.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의 행정 책임자를 대상으로 하는 빈곤에 대한 태도의 전환이 시급하다. 또한 빈곤은 개인적 노력의 부족에 기인하기도 하지만 사회적·행정적인 것에 기인하기도 한다는 사실에 대한 인식을 확산시킬 필요가 있다. 앞으로의 연구는 사립이나 민간 어린이집 교사들을 대상으로 하거나 교육비 지원을 받고 있는 저소득층 자녀가 없는 유아교육기관을 대상으로 하여 빈곤에 관한 태도가 어떠한지를 알아봄으로써 사회 저소득층에 대한 태도를 알아 볼 필요가 있다. 더불어 빈곤에 관한 태도와 관계가 있는 결정 요인들에 대한 다양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다양한 변수와 개념 등을 밝혀내기 위한 노력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be of use to teachers' broader understanding, who were serving at young child education institutes, of how to educate young children from the low-income class, by surveying their attitude toward poverty and the personal and social factors that affected their attitude toward the same. For attaining the purpose, J. Peterson(1967)'s Scale and Antherton et al.(1993)'s one were revised for this study to test teacher attitude toward poverty. And what factor exerted influence on attitude toward poverty was investigated by setting significant teacher characteristics as independent variable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66 teachers, who were working at kindergartens under the control of Seoul office of Education in 7 regions, and 206 teachers, who were serving at district-established Children's houses in the same regions. The data were gathered from April 10 through 26, 2000, and the responses from 372 teachers were selected for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imple ratio analysis, t-test, one-way dispersion analysis an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as follows: First, what difference do teacher variables make to teacher attitude toward poverty, job and job difficulty? Second, how is teacher attitude toward poverty affected by teacher attitude toward job, job difficulty or education expense support? Third, what variable gives the biggest impact on teacher attitude toward poverty?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The children's house teachers got lower score in general job attitude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For job difficulty, the kindergarten teachers had more difficulties only in timetable management, and the children's house teachers had more difficulties in program management or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 children's house teachers acquired more information on education expense support for young children than the kindergarten teachers did. The two groups also were of different opinion about whether or not education expense was supported enough. By age, teacher career and position, those who were older, or had longer career or higher position, had more job difficulties and got more information on education expense support. And many of those teachers didn't think education expense was supported enough. There was a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view of attitude toward poverty and social effort for the same. Those who had higher position, were older or had longer teacher career, had an opinion that poverty and individual circumstance were just personal thing or that a great deal of social efforts should be devoted to that problem. In this point, teacher career and age mad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 factors that affected teacher attitude toward poverty, among job attitude variables, were related to regular job continuity for a variety of activities and job-based personal satisfaction dimension. Their attitude toward poor circumstance was affected by attitude toward position-winning means. In general, their attitude toward poverty was under the influence of difficulties with timetable management(3.20%), attitude toward position-winning means(2.22%), difficulties with program(1.39%) or whether or not they knew who was eligible for education expense support(0.93%). Their attitude toward poor circumstance was affected by attitude toward position-winning means(11.37%) and difficulty with timetable management(3.84%), and their attitude toward social efforts for poverty was influenced by attitude toward job-based personal satisfaction dimension(10.63%), awareness of the goal of education expense support(6.14%), difficulty with program(4.63%), regular job continuity for a variety of activities(1.39%), and difficulty with timetable management(.81%)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