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 Value | Language |
---|---|---|
dc.contributor.author | 김성희 | - |
dc.creator | 김성희 | - |
dc.date.accessioned | 2016-08-26T11:08:43Z | - |
dc.date.available | 2016-08-26T11:08:43Z | - |
dc.date.issued | 2000 | - |
dc.identifier.other | OAK-000000052279 | - |
dc.identifier.uri | 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218 | - |
dc.identifier.uri | 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279 | - |
dc.description.abstract | This study grasped problems among christian families and the present situation of their family counseling(family therapy) and analyzed their needs by conducting a survey with 400 married people belonging to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Republic Of Korea(P.R.O.K) in Seoul. This study has a purpose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family counseling as a way of elevating the recovery of family relationship and the ability to solve family problems by grasping the contents of family problems and need for counseling and grope for a preventive plan by urging the activation of family counseling(family therapy) in church.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roblems ,among christian family include children problems, financial problems, faith and view of value, married couple problems and origin family problems. The priority of family problems differ by age. The subjects in their 20's take faith and view of value, 30's financial problems. 40's children problems as the most important problem. Second, the main subject of family counseling(family therapy)are family, self-solving, friends, pastors, church members and family counseling center. Among them, family, self-solving, friends occupy 89.5%, and only 9.4% of the subject consult pastors, church members or family counseling center. Third, the contents of the five subfactors(children problems, and origin family problems) of family are as follows. The main subject of counseling are family self-solving, friends and pastors appears the third in faith and view of value problems. Satisfaction rate with counseling results appeared in the order of children problems, origin family problems, faith and view of value problems, married couple problems and financial problems, and overall satisfaction in counseling was low(27 -34%). Fourth, in the present situation of family counseling(family therapy) in church, only 24% of churches have a counseling room, and the method of counseling is mainly interview and phone counseling. Fifth, in times of family crisis, 38.9% of the subjects have a counseling with a pastor, and their satisfaction rate is 47.9%. The problems pastors feel difficult in counseling are married couple problems, financial problems, origin family problems, faith and view of value and children problems. The reason why the subject feel uncomfortable in having counseling with a pastor is mostly because they do not want their individual problems exposed to others(62.9%), and they feel sorry because pastors do not have specialty in counseling. Sixth, the recognition rate of family counseling(family therapy) is high(76.3%), need is 60.5%, and women and the subjects with low education level tend to feel the necessity of family counseling more. Seventh, the recognition rate of family counseling center is 15.5%, experience of using family counseling center. Problems in using family counseling center are effectiveness, time, distance and financial problems. Eighth, plans for activating family counseling(family therapy) in church include establishing a counseling room, developing, various programs, publicity and relation to family counseling (family therapy)in church, pastors specialized in counseling, and believers training. Based on this need, I suggest plans for improvement. 1) The aspects of service contents We should make efforts to strengthen, maintain and integrate the function of home by developing a special family counseling program for each object of counseling. 2) The aspects of service deliverer First, there should be expert counselors such as pastors in charge of counseling. Second, plans for using voluntary workers for sub problems of family counseling(family therapy) should be made. 3) The aspects of service expertise First, subjects related to family counseling should be included in the curriculum of theological college, and family counseling training should be given to believers by holding a seminar on family counseling in training pastors. Second, pastors in charge of counseling should be systemized, family counseling room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scope of voluntary workers should be expanded by training counselors. Third, the number of family counseling centers should be increased, and accessibility to them should be elevated by permanently establishing publicity of the centers and related programs. Generalizing these results, christians expect more convenient and effective counseling that secures secrets, and have a strong desire for as expert counselor or a professional family counseling center. To satisfy fellow church members' various needs, counseling pastors who have effective family counseling(family therapy) through connection with professional family counseling center are required. The activation of family co counseling(family therapy) in church should be pursued by making plans such as establishing and operating a special family counseling center by uniting 1-2 presbytery units(there are 4 presbytery units in Seoul).;본 연구는 서울시의 한국기독교 장로회에 소속된 旣婚者 4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돌려 기독교인의 가족문제와 가족상담 수혜현황을 파악하고 욕구를 조사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가족문제의 내용과 상담욕구를 파악하고 욕구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는 가족문제의 내용과 상담욕구를 파악하여 가족관계 회복과 가족문제의 해결 능력을 고양시키기 위한 한 방법으로 가족상담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교회의 가족상담 활성화를 촉구하여 예방적 개입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기독교인이 고민하는 가족문제는 자녀문제, 경제문제, 신앙·가치관 문제, 부부문제, 원가족 문제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문제의 우선순위는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20대는 신앙·가치관 문제를, 30대는 경제문제를, 40대 이상은 자녀문제를 가장 중요한 문제로 생각하고 있었다. 둘째, 가족문제의 주상담 대상자는 가족, 혼자해결, 친구, 목회자, 교인, 가족상담 전문기관 순으로 나타났다. 가족이나 친구, 또는 혼자 해결하고 있는 사람이 89.5%였고, 목회자, 교인, 가족상담 전문기관을 이용하고 있는 사람은 9.4%에 불과했다. 그러나 바람직한 가족상담 담당자로는 상담목사(40.8%)와 가족상담기관 (31.8%)을 제시한 사람이 72.6%나 되었고, 가족(16.2%)이나 혼자 해결(5.8%), 친구(4.3%)에 답한 사람은 26.3%에 불과한 점을 볼 때 가족상담 전문가에 의한 상담욕구가 매우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가족문제의 하위 5개 영역별(신앙·가치관문제, 경제문제, 자녀문제, 부부문제, 원가족문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영역별 주상담 대상자는 가족, 혼자해결, 친구, 목회자순이었는데, 신앙가치관 문제에 있어서는 목회자가 세 번째로 나타났다. 상담결과 만족도는 자녀문제, 원가족문제, 신앙·가치관문제, 부부문제, 경제문제 순으로 나타났으며 만족율은 27%에서 34%사이로 전체적으로 상담만족도는 낮았다. 넷째, 교회의 가족문제 상다 현황은 상담실이 있는 교회가 24%에 불과 했고, 상담방법은 면접상담과 전화상담을 주로 이용하고 있었다. 다섯째, 가족 위기시 목회자와 상담정도는 38.9%, 상담결과 만족도는 47.9%였다. 목회자와 상담하기 어려운 문제로는 부부문제와 경제문제, 원가족문제, 신앙·가치관문제, 자녀문제 순이었다. 목회자와 상담하기 가장 어려운 문제를 부부문제라고 답했는데 가족상담기관 이용도는 부부문제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런 결과를 볼 때, 부부문제는 가족상담 기관에서 비밀 보장하에 더욱 전문적으로 다루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보여진다. 목회자와 상담을 부담스러워 하는 이유는 개인문제가 노출되는 것을 싫어서(62.9%)로 비밀보장에 대한 욕구가 가장 높았고, 목회자가 너무 바쁘기에 미안해서, 친밀감이 없어서, 전문성부족 순이었다. 여섯째, 가족상담 인지도는 76.3%로 높았다. 필요성은 60.5%였으며, 여자가 학력이 낮을수록 더 필요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일곱째, 가족상담기관 인지도는 15.5%였다. 가족상담기관 이용여부는 상담경험이 있는 사람은 9.5%에 불과했지만, 상담기관의 이용을 원하는 사람은 54.8%나 되었다. 가족상담기관 이용시 부담되는 문제는 효과성, 시간·지리적 문제, 경제문제 순이었다. 여덟째, 교회가족상담 활성화 정도에 대한 인식은 8.7%만이 활성화에 답했다. 가족상담 활성화방안으로는 상담실 설치, 다양한 프로그램개발, 교회가족상담 기관에 대한 홍보와 연계, 상담전문목사, 교인교육 순이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들이 교회 가족상담 활성화를 위한 정책 및 서비스 개선방안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1) 서비스내용 측면 주요 서비스 대상에 따른 전문화된 가족상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가정의 기능을 강화, 유지, 통합하는 데에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 2) 서비스 전달자 측면 첫째, 상담전담 목사등 전문적인 상담가 양성과 배치가 필요하다. 둘째, 가족상담 하부 프로그램에 대한 자원 봉사자 활용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3)서비스 전문성 측면 첫째, 가족상담과 관련된 학과목을 신학대학원 교과과정에 포함시키고, 목회자 재교육시 가족상담 세미나를 개설하며, 교인들에게 가족상담 교육을 실시한다. 둘째, 상담목사의 제도화와 가족상담실을 설치 운영하고, 상담요원을 훈련시켜 자원봉사자의 폭을 넓힌다. 셋째, 가족상담 기관을 증설하고, 기관에 대한 홍보와 연계프로그램을 상설화하여 접근성을 높인다. 연구결과를 종합해 보면, 기독교인들은 보다 이용하기 쉽고 비밀이 보장되며, 효과가 있는 상담을 기대하고 있었고, 전문 상담가나 상담실에 대한 높은 욕구를 가지고 있었다. 교유들의 가족상담에 대한 다양한 욕구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한국교회에 전문성을 가진 상담목사의 양성과 확보 및 상담실 설치가 필요하고, 전문적인 가ㅓ족상담 기관과의 연계를 통한 보다 효율적인 가족상담이 요청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개 노회(서울시에 4개 노회가 있음)가 연합하여 노회단위의 전문가족상담실을 설치·운영하는 방안등을 마련하여 교회가 가족상담 활성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 - |
dc.description.tableofcontents | I. 서론 1 A. 문제 제기와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의 목적과 내용 2 C. 연구의 제한점 3 D. 주요 용어 정의 4 II. 이론적 배경 5 A. 가족에 대한 이해 5 1. 가족의 일반학적 의미 5 2. 가족의 기능 6 3. 한국사회의 변동과 가족구조의 변화 7 4. 한국의 가족문제 8 B. 가족상담 10 1. 가족상담의 개념 10 2. 가족상담의 발전배경 12 3. 가족상담의 주요 이론적 모델 13 C. 서비스 이용 15 1. 서비스 이용의 7가지 모델 15 2. 엔더슨의 종합적 체계모델 17 3. 서비스이용의 특징 18 III.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20 B. 자료수집 20 C. 자료분석 방법 21 IV. 자료분석 결과 22 A.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22 B. 가족문제의 주요내용 23 1. 가족문제의 우선 순위(주요 가족문제) 23 2. 가족문제시 주요 상담자 26 C. 가족문제의 하위 5영역별 주요 고민내용과 주상담 대상자, 상담결과만족도 26 1. 신앙ㆍ가치관의 문제영역 26 2. 경제문제 영역 29 3. 자녀문제의 영역 31 4. 부부문제 영역 34 5. 원가족(origin famliy)문제 영역 37 6. 가족문제의 주요내용 요약 40 D. 교회 가족문제 상담현황 42 1. 상담실, 상담장소, 상담방법 42 2. 주요 상담담당자와 상담만족도 44 3. 목회자와 상담내용 45 1) 가족위기시 목회자와 상담정도 45 2) 목회자와 상담하기 어려운 문제 45 3) 상담을 부담스러워 하는 이유 46 4. 교회 가족문제 상담 요약 47 E. 가족상담 현황 47 1. 가족상담 인지도와 필요성 47 2. 가족상담기관 인지도와 이용도 49 3. 교회 가족상담 활성화 방안 53 4. 가족상담에 관한 요약 54 V. 결론 56 A. 요약 56 B. 제언 59 참고문헌 61 [설문지] 64 ABSTRACT 70 | - |
dc.format | application/pdf | - |
dc.format.extent | 2769511 bytes | - |
dc.language | kor | - |
dc.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 |
dc.title | 기독교인의 가족상담 수혜현황과 욕구에 관한 연구 | - |
dc.type | Master's Thesis | - |
dc.title.subtitle | 서울시의 한국기독교장로회에 소속된 旣婚者를 중심으로 | - |
dc.format.page | x, 74p. | - |
dc.identifier.thesisdegree | Master | - |
dc.identifier.major |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 |
dc.date.awarded | 2000. 8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