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인구교육과 가정과교육에 관한 일연구

Title
인구교육과 가정과교육에 관한 일연구
Authors
정영옥
Issue Date
197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인구 및 가족계획 교육과 가정과 교육과의 관련성을 좀 더 분명히 규명하고 가정과 교육 분야에서 다룰 수 있는 인구 및 가족계획 교육의 내용과 한계를 찾아보고 일부 장래 가정과 교사들의 인구 및 가족계획에 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함으로서 앞으로 가정과 교육지침에 도움이 되고저 한 것이다. 문헌연구로 인구 및 가족계획 교육의 목표 및 내용을 파악하고 이를 가정과 교육과 비교 분석하여 동질 내지는 연관분야를 발견하고 가정과에서 다룰 수 있는 인구 및 가족계획 교육내용을 확인하여 이를 포함하는 가정과 교육내용을 알아보았다. 조사연구로 장래 가정과 교사가 되기 위한 준비를 하고 있는 일부 학생들의 인구 및 가족계획에 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하므로서 가정과 교육분야의 인구 및 가족계획 교육에 따르는 문제점을 조사하였다. 조사방법은 질문지법을 사용했으며 그 내용은 조사대상자의 배경 및 기본적 특성, 인구 및 가족계획교육 내용에 대한 기본지식과 인구 및 가족계획 교육에 대한 태도였으며 조사기간은 1973년 9월 2일에서 9월 30일에 걸쳐 실시되었고 조사대상자는 이화여자대학교 가정대학4학년 학생으로 질문지 120매 배부한 가운데 74.1%인 89매가 회수되었다. 본 연구에서 발견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말사스의 인구론 이래 경제적 측면에서 수많은 접근방법이 모색되었으나 인구문제는 이제야 가족계획 등 실천적 수단을 통해 현실 생활화 했고 또 교육의 과제로 대두된 것이다. 인구문제 교육은 인구문제 해결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성인을 대상으로 한 방법론에 치중하는 것 보다는 전반적인 학교교육을 통해 다루어져야 한다고 보며 일반적인 교육과정의 한 분야로서 실시되어야 한다는 것인 세계적인 추세이다. 현 교육체계 속에 인구 및 가족계획을 반영시키기 위한 방법으로 “인간생태학(Human Ecology)""이라는 새로운 교과목을 포함시키는 방법과 기존 교과목 속에 통합시키는 2가지의 방법이 있으나 현 단계에서는 새로운 과목으로 반영되기 보다는 현 교과과정에 통합되어 인구교육의 광범위한 내용을 여러 교과목 속에 반영시키고 학생들의 발달과정에 따라 학년별로 반영되는 것이 더 효과적이라고 본다. 그리고 가정과 교육과 인구 및 가족계획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은 개인, 가정 및 지역사회 자원의 합리적인 이용방법에 삶의 가치를 확립하므로서 항상 변천하고 있는 사회에서의 가정생활의 복지 및 향상을 도보하는데 있으므로 가정과 교육 분야에서의 인구 및 가족계획 교육의 반영은 가능할 것으로 본다. 중, 고등학교 현행 가정과 교육내용과 국내 외에서 제안된 인구 및 가족계획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한 결과 가정과 분야에서 다룰 수 있는 인구 교육내용은 대략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었다. I. 식생활 분야 A. 인구 증가와 식량공급의 상호 연관성 1. 식량부족의 원인 2. 현재 세계의 식량 필요량 3. 인구증가와 식량 사정 4. 식량 절약과 식생활 개선 B. 인구성장과 건강 1. 균형 잡힌 식사와 영양상태 2. 영양실조와 이로 인한 건강문제 3. 음식물 부족과 국민 건강의 악화 C. 가족의 규모와 가족의 건강 1. 가족 수와 식품의 질과 양의 관계 2. 인구증가와 세계인구의 영양실조 3. 인체에 필요한 영양소와 영양소 필요량 II. 주생활 분야 A. 인구급증과 주택부족 1. 주택부족의 원인과 영향 2. 도시인구 집중으로 인한 주택난 B. 인구의 급증과 공해 1. 공해의 원인과 영향 2. 하수도 및 오물처리 3. 수질오염, 대기오염, 주택의 채광문제 III. 가족관계 및 아동보육 분야 A. 인구급증과 인간관계 청소년 선도 및 노령 인구보호 소홀 B. 가정, 가족, 가족규모에 대한 정의 1. 가족의 크기(수) 결정요인 2. 가족의 규모와 가족제도 3. 이상적인 가족의 크기 C. 국가 발전과 가정의 역할 D. 가족의 규모와 인구성장 출산율 증가요인과 남아 가계 계승 E. 건강과 인구 1. 유유아의 질병 및 원인과 증세, 예방, 치료 2. 유유아의 성장발달과 유아 영양의 중요성 IV. 가정 간호 분야 A. 인간생식 생리 B. 국가발전 저해 요인으로서의 질병 C. 공중보건 위생의 개선 D. 가족계획의 의미와 필요성 V. 가정관리 분야 A. 인구조절과 사회제도의 개선 B. 가정생활의 향상과 가족의 규모 C. 인구성장과 생활수준과의 관계 이상의 교육내용이 중? 고등학교 가정과 교과서에 포함된다면 가정과 교육내용과 의미있는 연관성을 갖고 다루어 질 수 있다고 보며 학년별 발달과정에 따른 교과내용은 앞으로 계속 연구되어야 할 과제라고 본다. 일부 장래 가정과 교사의 인구 및 가족계획에 관한 지식과 태도를 조사해 본 결과에 의하면 대부분의 학생들이 중? 고등학교 교육과정에서 인구 및 가족계획 교육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가정과 분야에서 이를 담당하는 주제에 대해서도 찬성의 의견을 표명하였으나 인구문제나 가족계획에 과난 학습자 앞에서의 강의문제에 대해서는 매우 소극적인 반응을 보였고 인구 및 가족계획 교육에 관한 교재의 필요성을 강조하였다. 그 이유는 이 학생들의 과거 학습교육에서 이에 관한 교육활동이 부족하였으므로 체계 있는 지식을 갖추지 못하고 있을 뿐 아니라 인구문제에 대한 이해와 책임이 충분치 못한 형편에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또한 가족계획에 관한 지도문제는 필연적으로 성과 관련되는데 우리나라의 경우 성애 대한 대화의 금기성으로 인해 작용된 반응이라고 본다. 따라서 이에 대한 보다 지속적인 연구와 교사훈련이 병행되고 효과 있는 학습에 필요한 인구 및 가족계획에 관한 교재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본다.;A study was carried out to cla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education and home economics education through relevant literatures. Also a survey was conducted on knowledge and attitudes of potential home economics teachers towards 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education, stressed mainly at middle and high school level. The results are as fallows: 1. The problem of population has now become not only a part of everyday life but a problem of education. It is now the worldwide trend that the education on demographic problems should be carried out as a part of general school education, rather than limiting to adult education program. 2. As a means of including 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education in the present educational system, a new course, "Human Ecology", is introduced; or sometimes it is simply integrated as a part of the existing courses. However it is my contention that the latter method will be more efficient. 3. As the ultimate objectives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family planning education are identical in that they consist in aiming at enhancing and promoting the welfare of family life in society, ever in flux,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values of life on the rational utilization of the resources of individuals, families, or regional socities, 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education can be properly reflected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education. 4. The population education which can be dealt with in the field of home economics is summarized as follows; A. In the filed of food and nutrition: a. The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growth and the supply of food. b. Malnutrition and consequent health problems. c. Population growth and malnutrition of the world population. B. In the field of housing: a. Rapid growth of population and shortage of houses. b. Pollution of water and air, and the problem of light. c. Sewerage and garbage disposal. C. In the field of family relations and children care: a. Rapid growth of population and Human relations. Neglect in guiding the youth and protecting the aged. b. National development and the role of home. c. Size of family and the growth population. D. In the field of health and sanitation: a. Human reproduction and physiology. b. Meaning and necessity of family planning. c. Improvement in public health and sanitation. E. In the field of home management: a. Population control and improvement of social institution. b. Quality living and the size of family. c. Relationship between population growth and standard of living. 5. According to the survey research of a group of potential home economics teachers, most of them did admit the necessity of 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educat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curriculum and approved of dealing with it in home economic course. They showed very negative responses to the problem of lecturing on the subjects before the students, however, emphasized the necessity of tests on population and family planning. This, I believe, stems from the fact that owing to the lack of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past, the students are not equipped with systematic knowledge in this filed and fall short of desirable level of understanding and sense of responsibility in this field. Besides, taboo on sexual subject in conversations in our society must have also played a role. Therefore, the urgent tasks facing us are on the one hand unremitting research on the subject, combined with simultaneous training of the teachers, and the development and increase of texts necessary for the effective study on the othe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