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2 Download: 0

무용수의 image와 움직임 (힘)과의 상호관계

Title
무용수의 image와 움직임 (힘)과의 상호관계
Authors
서영희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Systematic rules in human behavior are, obviously, not naturally endowed but heavily affected by the environment. Today the environment of human beings is rough and rapidly changing. With regard to the correlation between human beings’ environment, lives, and dance, the environment controls the life in general as a major factor, while the dance is ceaselessly changing through the insight and reactions viewing the life. The environment affecting dance may be, in a broadsense, universal and geographical, but covers, in a narrow sense, variations ranging from stage, lighting, dress, music and property for dance to space, technique, expression for dancer, incluging spiritual and emotional considerations. Inside human life conditions are seated dual factors; spirit and body. Both the spirit and body are expressed by the human behavior and belong to its environment. Human beings’ spiritual world has a sense of spirit, while their bodily world endow a form. These two factors are directly distributed and selected by the function which grasps the related objects, harmonized with art, seek physical freedom and satisfy subjective desire. Art leads man to come to experience in a new dimension his own self, and serious expression in art is recognized as a fundamental phase in his life. Expressing or manifesting myself through behavior in this world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attribution of mankind. Thebehavior deriven from self-expression affects the formation of self, and self-formation, interweaving the wari and woof ? perceiver’s continuous existence and experiences continues to proceed its way. Man’s perception is his own characteristics, and can exist specifically in the universe in compliance with abstracting expression or with corresponding to the reality. The creation of dance covers a wide range of spheres. It makes external images to express the thought of subjectivity in the deep inside of man. Dance is a created objective expression of images of feeings of life, human living, and emotion. This study intends clarify how to harmonize between the dancerand audience on basis of body, spirit, and emotion, thus accomplish a perfect dance. This study, based on the dancer, synthetically deals with space, expression, and symbo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space with which a dancer encounters on stage, is one that is created by the dance. Dance is formed by the expression of the dancer’s body in a visually perceptible moving and imaginative space. An image express thing that do not really exist, and the audience also synthetically create in their perceptive action the objects correlated with things of different conditions. A dancer makes four kinds of imaginative spaces on stage, and the audience, based on things they have seen and on their judgements in their perception, distinguishes the following: 1) Lines made by a connection of traces that the dance has moved on stage. 2) Lines made by the body of the dancer on stage 3) Lines made by a connection of spatial movement of the dancer. 4) The dancer’s physical attitudes in space. The space of dancer should be formed through the mind’s eye of the dancer, and constituted of sensory perception, not of visual perception. Second, expression on stage is not a material misture but a created form. The meaning of dance is related with or direct expression of, feelings, such as agony, love, and fear, but the audience does not interpret the related dance solely on the basis of feeling. What they see may be recognized as being systematic and dynamic. Third, symbols are classified into symbols in art and artistic symbols. Symbols in art the audience can directly feel, and pass over the highest degree of complexity as symbols for symbol, while artistic symbols with a expressive form is a literally unpredictable image of things, such as feeling, emotion, and life. Pliably constituted of real factors of power with the image coming to be created into a symbolic form. Summarization of these indicated that since the dance is not seeing but feeling, and the experience of movements should be properly distributed to every member of the audience, so that it could give an excellent communication. It is desired that futuristic dance should turn its head to and felt in, internal side. That is to say, if the dancer’s body is successful of communicating her internal feeling to the audience, futuristic audience could have an attitude as if they were a dancer as a observer.;인간행동의 조직적 규칙은 타고난 것이 아니라 환경의 커다란 영향을 받는다. 오늘날의 환경은 거칠고 빠르게 변해간다. 이러한 환경과 인생, 무용의 관계에서 환경은 인생전체에 커다란 요소로서 지배를 하며 무용은 인생을 보는 통찰력과 반작용을 통해 변해간다. 무용에 미치는 환경을 크게는 우주적이거나 지리적, 작게는 무용을 위한 무대나 조명, 의상, 음악, 소도구, 혹은 무대 위의 무용수를 중심으로 한 무대 위의 공간이나 기교, 표현, 그리고 정신적이며 감성적인 내부의 문제가 있다고 하겠다. 인간의 생활 상태에는 영혼과 육체라는 이원적 요소가 자리 잡고 있다. 영혼과 육체 양쪽 다 인간의 행동 속에 표명되고 환경 속에 속해있다. 인간의 영혼적인 세계는 정신적 의미를 갖고 그의 육체적인 세계는 형체를 부여한다. 이들은 대상을 직접 파악하는 작용에 의해 배열, 선택되어 예술 속에서 조화를 이루며 육체적으로 익숙한 자유를 찾게 하고 주관적 욕구를 만족시킨다. 이러한 예술은 인간이 새로운 차원에서 그 자신을 경험하게 되며 심오한 예술속의 표현을 삶의 가장 기본적인 양상들로 인정하게 되었다. 이 세상의 행동을 통하여 나를 표현하고 명시하는 것은 참으로 인류의 속성으로부터 구별되어져야 한다. 나의 표현을 통한 행동은 나를 형성하는데 영향을 주며 나를 형성하는 것은 지각하는 자의 계속적인 실존과 경험이라는 씨와 날을 꼬아서 뻗어 나가는 것이다. 그러므로 한 인간의 지각은 그의 개인적인 특성이며 지각은 표현을 추출한다거나 현실에 응함으로서 커다란 우주 속에서 고유하게 그 자신이 존재할 수 있다. 무용이 창조되는 것은 상당히 광범위 하다. 그것은 인간내부의 주관적 진행의 사상을 표현하기 위해 외면적 image를 만드는 것이다. 무용은 느끼는 생활, 인생, 생명, 감정의 창조된 image의 객관적 표현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예술로서의 무용이 무용수가 갖는 image와 움직임을 통하여 그들이 갖는 공간과 표면이 어떻게 관객과 일치되어 완전한 무용을 이룰 수 있을 것인가에 그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는 무용수의 공간, 표현, 상징을 무용수를 중심으로 복합적으로 진행시켰다. 그 결과 첫째, 무대 위에서 무용수가 갖는 공간은 무용으로 인해 창작된 공간이다. 그것은 시각적으로 움직이는 상징적 형태로 무용수의 신체가 갖는 힘의 표출로서 이루어진다. image는 존재하지 않는 사물을 표현하며 관객은 그의 지각작용 속에서 무한한 상태의 다른 사물들과 상호관계를 갖고 있는 목적물을 종합적으로 창조한다. 무용수는 무대 위의 공간에서 4가지 유형의 상징적 공간을 만들어 관객은 그의 마음의 눈으로 본 것과 그의 지력 속에 판단에 의해 (1) 무대 위의 무용수가 움직이는 형적을 연결하여 이루어지는 선들, (2) 무대 위의 무용수 신체로 이루어지는 선의 모습, (3) 무용수의 공간적 움직임을 연결한 선, (4) 공간속에서의 신체의 모습으로 구별할 수 있다. 무용수의 공간의 무용수의 정신의 눈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하며, 그 공간은 시각적 지각이 아닌 감상적 지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무용에서의 표현은 물질적인 혼합물이 아닌 창작되어진 모든 형태이다. 무용의 의미는 고뇌, 사랑 혹은 두려움과 같은 느낌과 관계가 있거나 이러한 것들의 순수한 표현이며 관객은 그 어떤 것들이든 느끼는 범위 안에서는 무용을 해석하지 않는다. 그들이 보는 것은 조직적이고 동적인 흐름을 본다. 셋째, 상징은 예술 속의 상징과 예술 상징으로 구분될 수 있다. 예술 곳의 상징은 관객이 직접 느낄 수 없으며 상징을 위한 상징으로 모든 복리의 정도를 통하며 표현적 형태의 예술상징은 감정, 느낌, 생명 등 문학적으로 형용할 수 없는 불합리한 image이다. 이것은 힘의 실제적 요소들로 유연하게 되어 상징적 형태로 창조되어진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해 볼 때 무용은 보는 것이 아닌 느끼는 것으로서 움직임의 경험을 관객과 상호분배를 통한 전달이 되어야 하겠다. 내일의 무용은 내부의 표현으로 돌려지고 느껴져야 하겠다. 즉, 신체가 내적느낌을 전달한다면 내일의 관객은 마치 관찰자로서의 무용수가 되어야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