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6 Download: 0

환경의 미적 경험과 장소성 형성을 위한 디자인 연구

Title
환경의 미적 경험과 장소성 형성을 위한 디자인 연구
Authors
박은진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new concept for environmental design could be found through the epistemological shift the defines the concept newly and creates the meaning with understanding the stream of socio-cultural phenomena and seizing the relationship with various sectors. Accordingly, this study is to find the stream of phenomena through interdisciplinary approach first and to provide the frame of recognition for the environmental design through the seizing of relationship with the environmental design of phenomena. And this study aims to provide the related theory to be the basis of the validity of phenomena, and to try to concrete the design concept found through such process by the case study of design. Looking for the streams of interdisciplinary issues such as ecological paradigm, thinking of randomness and uncertainty, the era of image, and the discussion of bodiness, I paid an attention to the concept such as value oriented recognition, relation oriented thought, diversified structure and logical connection, creation and probability, the integrated relation of perceiver and object. In addition, I could analogize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design that such concepts contain and its meaning. As a result, I could find that environment is a system that we should consider the environment with a relating thought, but not as an object, and that the aesthetic experience in the environment, that is, the field of daily life is important. Though the study of literature such as the phenomenology of environmental aesthetic experience, environmental aesthetic, theory of perception, I could find that aesthetic experience of environment is made by the participation to environment meaning aesthetic field through direct sensing of body, as its effect, it makes environment meaningful, and the sense of place is formed, which makes people who live in there to restore their egos. I have established the concept of landscape as an aesthetic experience field of ordinary lives with associating such value, concept, and theories, as an environment of cultural nature, and as a concrete place, tried to concrete such concept into physical setting through the design process for the aesthetic experience of environment and the sense of place. The case study of design objecting Mountain Nam indicates the process that the concept become visualized and possesses practical sense through the substantive design process, by solving the found problem in the realities of life through direct investigation and observation as well as taking shape of concepts discussed. The design process, if we design the physical setting that is a medium of relation among nature, human environment, and human, was wet under the assumption with environment directly, as its effects, a sensing landscape becomes formed, besides, people would acquire the symbol and sense of Mountain Nam, and the sense o f place becomes formed in the Mountain Nam. In addition, I would try to design with probability that can admit the possibility of behavior the park users would show and the possibility of the occurrence of accidental event to the maximum for the creation of more diversifying experience and sense. This study would represent the cultural and creating sense of environmental design solving the found problem in the realities of life thorough representing new value as well as discovering the meaning that the reality possesses in the realities of our life and reflecting the meaning. In addition, this study consists of systems view representing the relationship of concept with logical connection and progress ranging many classifications, based to the whole, from the discovering of value and the forming of thought to the process of design as a groping of means of settling for the concrete problem of environment.;환경디자인을 위한 새로운 개념은 사회 문화적 현상의 흐름을 이해하고 제분야와의 관계성을 파악하여 새롭게 정의하고 의미를 생성시키는 인식론적 전환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먼저 다학문적 접근을 통해 현상에 대한 흐름을 발견하고 그것의 환경디자인과의 관계성 파악을 통해 환경디자인을 위한 인식의 틀을 마련하고자 했다. 그리고 그것의 타당성의 근거가 되는 관련이론을 제시하고자 하였으며, 그러한 과정을 통해 발견한 디자인 개념을 디자인 사례연구를 통해 구체화시키고자 했다. 생태학적 세계관, 임의성과 불확실성의 사고, 이미지의 시대와 신체성의 담론과 같은 다학제적 이슈들의 흐름을 살핌으로써, 가치중심적 인식과 관계중심의 사고, 다원화된 구조와 맥락, 생성과 개연성, 지각자와 대상의 통합적 관계 등의 개념에 주목하였다. 그리고 그러한 개념들이 내포하고 있는 환경디자인의 개념들과 그 의의를 유추할 수 있었다. 그 결과 환경은 대상이 아닌 관계적 사고로 보아야 하는 하나의 시스템이며, 일상생활의 장인 환경에서의 미적 경험이 중요함을 알 수 있었다. 환경의 미적 경험에 대한 현상학, 환경미학, 지각이론 등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환경의 미적 경험은 신체의 직접적 지각을 통해 미적 장인 환경에 참여함으로써 이루어지며, 그 결과 환경에 풍부한 의미를 갖게 하고, 그 곳에 사는 사람들에게 자아를 회복하게 하는 장소성이 형성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가치와 개념, 이론들을 종합하여 일상의 미적 경험의 장으로서, 문화적 자연인 환경으로서, 또한 구체적 장소로서의 경관의 개념을 확립하였으며, 환경의 미적 경험과 장소성 형성을 위한 디자인 과정을 통해 그러한 개념을 물리적 환경으로 구체화하고자 했다. 남산자연공원을 대상으로 한 디자인 사례연구는 논의된 개념들의 구체화와 동시에 직접적 조사와 관찰을 통해 현실에서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함으로써, 개념이 실질적 디자인 과정을 통해 가시화되고 실천적 의의를 갖게되는 과정을 보여준다. 디자인 과정은 자연과 인간환경, 그리고 인간 사이의 관계의 매개체가 되는 물리적 장치를 디자인한다면, 사람들이 움직이며 신체의 직접적 지각을 통해 환경에 참여함으로써 미적 경험을 하고, 그 겨로가 하나의 의미 있는 경관이 형성되며, 사람들은 남산에 대한 상징과 의미를 획득하고 남산에 장소성이 형성된다는 가정 하에 이루어졌다. 그리고 보다 다양한 경험과 의미생성을 위해 공원이용자들이 보일 행태의 가능성, 우연한 사건 발생의 가능성을 최대한 수용할 수 있는 개연성 있는 디자인을 하고자 했다. 본 연구는 우리가 살고 있는 현실에서 그 현실이 갖는 의미를 발견하고, 그것을 반영함과 동시에 새로운 가치제시를 통해 현실에서 발견한 문제를 해결하는 환경디자인의 문화적․창조적 의의를 제시한다. 또한 본 연구는 가치의 발견과 사고의 형성에서부터 환경의 구체적인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의 모색으로서의 디자인 과정까지, 전체성에 입각하여 여러 층위에 걸쳐 맥락적이고 과정적으로 개념의 관련성을 제시하는, 시스템적 관점을 바탕으로 하여 이루어졌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