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0 Download: 0

도시 수변(水邊)의 자연친화적 공간조성에 관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연구

Title
도시 수변(水邊)의 자연친화적 공간조성에 관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연구
Authors
최희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대학원 장식미술학과실내환경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is study is a case study of environment design model to show the necessity of natural compatible space configuration in an urban waterfront due to conversion of new paradigm. The researcher tried to handle waterfront environment in a holistic view, and was going to present the direction that could support the behavior of citizens who are suitable to an ecological urban environment system and diversifying. The functional side of urban waterfront stressed in this study emphases natural function in the range that the function of irrigation and river improvement could solve. And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ek the balance point of development and maintenance so that urban waterfront is more affluent ecologically and become a vital urban space, and is to represent an urban waterfront space concretely. Urban waterfront gives a number of benefit and development to a city economically, historically, and culturally, besides, it is also a face of city creating the images of urban landscape separately. However, urban waterfront has lost the value on account of overpopulation, traffic jam, environment pollution, this while. Thus, this researcher gives a meaning in showing an experimental example in order to turn an attention back to urban waterfront, to regain that natural value, and to convert to the real eco-city that human and nature live commensally. Han river, the typical waterfront space of Seoul has developed with the urban waterfront styles of civil oriented develop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orienting for the function of irrigation and river improvement in the course of modernization. As a result of this development, the existing Han river is deteriorating the access of citizens due to environment creation centering round drive ways, and results in being degraded to the affected part having problem that this river becomes very dried ecologically and is not a heart of the city already. According to the increasing of concerns of environment recently, various development and maintenance plans for Han river passing through the center of Seoul have announced, but almost of them are the cases objecting tributaries running next to the main river and no the main stream, and the methods are similar to each other, so it is thought the environment design access of different level at all is necessary. Accordingly, this researcher has progressed the study like following courses, having what should be an ecological outlook on the world and the recognition of systematical environment. In the first chapter, we represented a general outlook for the existing environment problem, especially urban environment problem, and showed the problems concretely in the aspect of environment design. And deciding theoretical scope and research space object scope on the ground of ecology oriented behavior science, we made the system of general research course. In the second chapter, disclosing the conversion of environment recognition by a new paradigm, and representing a new environment aesthetic value and its reference, we identified a normative framework of research. Besides, we looked for reform measures with finding landscape side and ecological problem capable of recognition experience I the urban environment. In the third chapter, we found the meaning and features of urban waterfront. We disclosed what should be for the natural compatible waterfront development by studying the functional side of waterfront and the element of design development and by analyzing their types. In addition, limiting the field of the object of research to the waterfront of Seoul, we found its characteristics, the value, and the existing problems, and investigated and took shape of improving measure of natural compatible waterfront space. In the forth chapter, deciding the objecting space of study, we disclosed the propriety of selecting and the whole design. And we showed the final scheme through the analysis of objecting site condition, space programming process, and design inducing process. In this course, we groped for the realistic design scheme with analyzing and applying the record of site visiting, photos, literature cited, and questionnaire. And also, we represented the direction of urban waterfront new space creating by introducing ecological design concept. In the fifth chapter, evaluating the model case of environment design in the new urban waterfront space, we arranged the result and meaning decided through the whole process of study. The result of study being undergone such process could be arranged as followings. As environment is a system, it is required to implement a new environment design depending on the holistic and life oriented esthetic standard. In particular, the urban environment, in which diversifying behavior of human is existed and dried environment and natural environment are not harmonized, should be designed in accordance with more systematic and ecological access. We can found that the urban waterfront space should not be recognized as a separate space too, and accessed at the angle of holistic view that the part and the whole are interacting. Besides, we found the development should be performed so that nature-preservation and nature restoring, and development would keep in equilibrium for the natural value of waterfront space and the harmony of city function. Through the analysis of urban waterfront type and seizing of its characteristics, the researcher could find it is difficult Seoul Han riverside would be restored completely, and the value of Han river is not maintained. Accordingly, we decided Han riverside should be prepared as a nature compatible space and it is important to have a meaning as a vehicle space between citizens and nature. In addition, we concluded it is respectable to make the Han riverside as a sustainable and sound ecological space with decreasing the range of artificial environment.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have an significant meaning of study in that natural compatible space creating model case of urban waterfront submitted as a resulting substance would return back the concerns for the lost Han river ecology, and in providing a momentum for representing environment design case suitable to the waterfront space of Seoul, the ecological city.;본 연구는 새로운 패러다임의 전환으로 인한 도시 수변공간의 자연 친화적인 공간 조성의 필요성을 보여주기 위한 환경디자인 모형사례 연구이다. 본 연구자는 전일적 시각에서 수변공간의 환경을 다루려고 노력했으며, 생태적 도시환경 체계에 적합하고 다양한 도시민의 행태를 지원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려 한다. 본 연구에서 강조되는 도시의 수변공간의 기능적 측면은 이수(利水)와 치수(治水)의 기능이 해결 가능한 범위에서 자연적 기능을 강조하는 것이다. 또한 도시 수변공간이 보다 생태적으로 풍부하고 도시의 활력적인 공간이 되도록 개발과 보전의 균형점을 찾고, 생태도시의 수변공간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도시의 수변은 도시를 경제적으로 역사적, 문화적으로 많은 이득과 발전을 가져오며, 각기 다른 도시 경관의 이미지를 창조하는 도시의 얼굴이기도 하다. 하지만 그 동안 인구의 과밀화와 교통의 혼잡, 환경의 오염에 의해 도시 수변공간은 그 가치를 잃어버렸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도시 수변공간에 관심을 되돌리고, 그 자연적 가치를 회복하고, 인간과 자연이 공생하는 진정한 생태도시의 공간으로 전환하기 위한 실험적 사례를 보여주는 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 있다. 서울의 대표적인 수변공간인 한강은 근대화 과정에서 치수와 이수를 위한 토목위주의 개발이나 조경 일색의 도시 수변의 형태로 발달되어왔다. 그 결과 지금의 한강은 자동차 전용도로의 위주의 환경조성으로 도시민의 접근성이 떨어지고, 생태적으로 메마른 도시의 심장이 아닌 문제 있는 환부로 전락하였다. 최근 환경에 대한 관심의 고조로 서울 도심부를 지나는 한강에 대해 여러 가지 개발과 보전의 방법들이 나오고 있지만, 한강의 본류가 아닌 샛강을 대상으로 한 사례들이 많고 그 방법들이 유사하기 때문에 전혀 다른 차원의 환경디자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생태학적 세계관의 당위성과 시스템적인 환경의 인식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1장에서는 현재의 환경문제, 특히 도시환경 문제에 대한 전반적인 견해를 제시하고 환경디자인 입장에서 본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제시한다. 또한 연구의 생태 지향적이며 행태과학에 입각한 이론적 범위와 연구의 공간적 대상 범위를 정하고 전반적인 연구과정의 체계를 정한다. 2장에서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의한 환경 인식의 전환을 밝히고 새로운 환경의 미적 가치와 그 기준을 제시하여 연구의 규범적 틀을 확인한다. 또 도시환경 중 지각경험이 가능한 경관적 측면과 생태적 문제점을 찾아보고 그 개선방향에 대해 살펴본다. 3장에서는 도시 수변공간의 의미화 그 특성을 알아본다. 수변공간의 기능적 측면과 디자인 개발요소에 대한 고찰과 그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자연친화적인 수변 개발에 대한 당위성을 밝힌다. 그리고 연구의 대상을 서울의 수변공간으로 좁혀 그 고유의 특징과 가치, 당명한 문제점을 찾고, 자연 친화적인 수변공간의 개선방안을 살펴 구체화시킨다. 4장에서는 연구의 대상공간을 정하고 선정의 타당성과 디자인 전제를 밝힌다. 그리고 자연친화적인 도시 수변개발의 환경디자인 모형사례를 제시하기 위한 대상지 현황의 분석과 공간 프로그래밍과정, 디자인 도출과정을 거쳐 최종안을 제시한다. 이 과정에서 현장방문 기록과 사진자료, 문헌자료, 설문자료 등을 분석, 응용하여 현실적인 디자인안을 모색한다. 또한 생태적 디자인 개념을 도입함으로써 도시 수변의 새로운 공간 조성의 방향을 제시한다. 5장에서는 새로운 도시 수변공간의 환경디자인 모형사례의 평가를 내리고 연구의 전과정을 통해 내리는 결과와 의의를 정리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거쳐 내린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환경은 하나의 시스템이므로, 전일적이며 생명 중심적인 미(美)적 기준에 의한 새로운 환경디자인의 시도가 필요하다. 특히 인간의 다양한 행태가 존재하고 건조환경과 자연환경의 조화가 이루어지지 않은 도시환경은 보다 체계적이고 생태적인 접근에 의해 디자인 되야 한다. 도시의 수변공간 역시 개별의 공간으로 인식하지 않고 부분과 전체가 상호작용 하는 전일적 시각에서 접근해야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변공간의 자연적 가치와 도시 기능의 조화를 위해 자연보전과 복원, 개발이 균형을 이루도록 개발돼야 함을 알았다. 본 연구자는 도시 수변의 유형분석과 그 특성파악을 통해 서울 한강변은 완전한 자연복원이 어렵고 그 가치가 유지되지 않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도심을 지나는 한강변을 자연친화적인 공간으로 조성하여 도시민과 자연의 매개공간으로서 의미를 두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하였으며, 인공환경의 범위를 축소하여 지속 가능한 건강한 생태공간으로 만드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결론 내렸다. 본 연구자는 결과물로 제시한 도시 수변의 자연친화적 공간 조성 모형사례가 잃어버린 한강 생태에 대한 관심을 되돌리고, 생태도시 서울의 수변공간으로 적합한 환경디자인 사례를 제시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연구의 의의를 두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