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3 Download: 0

동양화의 추상성 연구

Title
동양화의 추상성 연구
Authors
박용자
Issue Date
1978
Department/Major
대학원 순수미술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It has been said the beauty of the Orient is subsumeded under nature part of which even man is, and cannot be expressed only technique of art. Just as the character of the Oriental painting is natural and intuitive, so the artist expresses nature according to an abstract view. In the West, comparing to the Orient, they made much of understanding human itself. It built the development of human anatomy and made attempt perspective in the Renaissance, which advanced descriptive and realistic expressness. The appearence of abstract paintings in the West seen as a standard of revolt against materialism began with attaching the importance af human mind, when it was toward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he concept of Oriental abstract originated in the Zen priest influenced by Taoism from Lao-tzu and Chung-tau, and Zen Buddism. Lao-tzu. who denied all of the artificialities said the Tao was the recovery of nature and the pursuit of absolute liberty. He emphasized the natural based on the universal essential principles saying what made lose nature are colors, sound, smells, taste and to distinguish good from bad. Chung-tzu said man's inquiring spirit was the principles of all creatures as universal essence. In his thought we have learnt the liberal and resistible spirit against the world, which artists always keep in mind. He also said people couldn't realize the real truth only through forms, colors and sound. Such Taoism by Lao-tzu and Chung-tzu was foundation of movement that Oriental artists broke themselves from authority. At least we can see the birth the abstract paintings in the Ui-Jin-Northern and South Dynasty. The landscape painting is traced to Taoism and the life in seclusion. In many old painting-theories, we can see their claims there were an inspiration and a spirit in the mountain and their anxiety to seek freedom as having harmonize them with the object of beauty. Chongbeong, Wangmi and Wangyu's theories, and Heongho's 'An essay to write and draw'(Pilpuki) mainly consisted of Taoism, too, Heongho said six main point; energe, elegance, thinking, prospect, touch and ink(Ki, Un, Sa, Kyong, Pil, Muk), which was the spirit and techniques to be with when one represented the natural figures on canvas. His essay on atmosphere-animation(Ki-Un saengdong) has influenced deeply the painting, and now it is asked for living art. Early landscape came from Taoism was descrived graphically with decorative touch, but changed gradually into normaterically, Such a development, gave to the four great painters in the end of Won Dynasty, and informal painting in Myong-Chung Dynasty. All the changes are reflexion of liberal and resistible spirits asked in a given epoch, and cannot be denied their base on Taoism and Zen. The Oriental calligraphic school, which peaked at Ohchangsuk and Jaibaksuik in the end of Chung Dynasty, was declining when it's value was recognised newly in Western painters. They are Mark Tobey, Hans Hartung, Jacken Pollock and etc. We can feel something corresponding to the Oriental Calligraphy and Zen in their works. The Orientalism realized through the modern Western abstract works gives us the turning point to look back ours. Like this, the Western method spirit by the Western calligraphy painters suggest Korean oriental painting's vision.;서양의 미가 자연미와 아울러 예술미를 나타냈다고 할 때, 동양의 미는 자연에 지니고 있어서 인간까지도 자연의 일부로 보며, 기술적인 예술만으로는 진실된 미를 파악할 수 없는 것으로 보았다. 이러한 가운데 동양회화의 성격은 자연적, 직관적이라 하겠으니 자연 속에서 깨달은 인간의 원숙한 경지를 dcn상적 관에 따라 표현했던 것이다. 이러한 동양회화에 비해, 서양에서는 인간에의 파악을 중요시하여 르네쌍스에 이르러서는 인체해부학의 발달이나 원근법이 시도되어 묘사적, 사실적인 표현이 발달해 왔던 것이고, 서양에서 추상회화가 나타남은 물질문명의 반기로서 인간의 내면을 중요시 하자는 데서 시작되었으니 서양추상의 발생은 19C 말엽에서나 비롯되었던 것이다. 동양추상의 정신은 노자? 장자의 도가, 그리고 불교에서 영향받은 단가사상으로부터 기인된다. 노자의 「무위자연」은 모든 인위적인 것을 부정하면서, 인간 본연으로의 회복, 절대적인 자유의 추구라고 말할 수 있는 사회적인 구속으로부터 벗어난 「도」를 말하고 있다. 장자도 인간 이상의 본질을 우주의 근본과 천지만물의 원리로서 보면서, 극한 상황 속에서의 인간의 자유를 말하였으니, 여기서 우리는 예술가가 늘 지녀야 할 자유해방에의 정신, 세속으로부터 초탈한 저항정신을 배우게 된다. 장자는 세상 사람들이 형과 색과 성으로서 진실을 일깨울 수 있는 것처럼 생각하고 있으나, 이것은 참된 것을 모르는 까닭이라고 하였고, 노자는 사람의 본성을 잃게 하는 색깔과 소리와 냄새와 맛, 그리고 좋고 나쁜 것을 가리는 다섯가지를 말하였으니 이는 모두 자연성을 중시하고 우주의 근본 원리에 따를 것을 권고함에서라 하겠다. 이러한 노? 장자의 도가사상은 회화가 권계주의로부터 벗어나려는 운동의 근원이 되었고, 위진? 남북조시대의 외래불교의 영향에 의한 단가사상에 따라 추상적 성질의 회화를 낳게 하였다. 산수화는 도가적 사상으로 인한 현풍적 태도와 은일사상에 따라 나온 것이다. 우리는 여러 「화론」에서, 산에 영감과 산이 있다고 하고 있음을 볼 수 있는데, 이는 도가 사상을 통해 나타난 관념으로 자연 속에서 자기의 정신을 미의 대상과 융합시켜 자유해방을 얻게 된다고 함이다. 종병, 왕징, 왕유의 화론에서 우리는 그러한 정신을 읽을 수 있고 형고의 필법기도 도가적 사상이 그 주축을 이루고 있다. 형고는 육요, 즉 기? 운? 사? 경? 필? 묵으로 대자연의 모습을 화면에 옮길 때의 표현정신과 기법을 말하고 있다. 여기서 기와 운은 사혁의 「고화품록」에 나타난 기운생동에 해당되는데, 기운생동론은 시대마다 그 해석을 달리 해가며 회화에 지대한 영향을 끼쳐왔으며, 오늘날에도 새로운 의미의 기운생동론이 살아있는 회화정신으로 요구되는 바이다. 산수화가 도가사상의 영향으로 발생하여 초기에는 장성식이 짙고 사실적인 표현이었으나, 차차 사의적인 방향으로 변하여 유명한 원미사대가를 탄생시켰고 명?청에 오면 비형상의 정신을 지닌 표현적인 회화를 탄생시킨다. 이렇게 시대에 따라 회화양식과 표현방법은 변하였지만, 그것은 각 시대마다 새로이 추구해야 할 자유정신, 저항정신에서 나온 것으로 도가, 단가 사상과 연결된다. 청조말의 오창석, 제백석을 기점으로 별 발전없이 쇠퇴의 길을 걷던 동양의 문인화류는 그 가치를 서구화단에서 재인식받았다고 볼 수 있으니, Mark Tobey, Hans Hartung, Jackson Pollock 등의 회화에서 동양의 서예나 선사상과 상통하는 면을 느끼게 된다. 이렇게 현대 서양의 추상화가들의 작품을 통해 만나는 동양 정신에의 접근은 우리에게 동양정신을 재인식케 하는 계기를 마련해 주었다. 한국 현대 동양화의 방향에도 이와 같은 서구작가들의 방법정신은 귀중한 시사를 던져주고 있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