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4 Download: 0

길에서 사는 사람들을 위한 모뉴멘트

Title
길에서 사는 사람들을 위한 모뉴멘트
Other Titles
A Monument for Street People
Authors
조은지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조소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종구
Abstract
오늘날의 인간은 20세기의 비약적인 기계문명의 발전과 매스 커뮤니케이션의 발달로 인해 역사상 그 어느 시기와도 비교할 수 없을 만큼 급변하는 시대를 살아가고 있다. 20세기는 사회 상황이라는 측면에서 특징 지을 때 대중사회(mass society)라고 정의하기도 한다. 대중사회란 대중이 정치·경제·사회·문화의 모든 분야에 진출하여, 그 동향을 좌우하는 사회 상황 또는 사회 형태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러한 사회에서는 흔히 개개인의 존재 가치가 가볍게 여겨지기도 하며, 사회가 인간의 의식과 행동양식을 규격화, 획일화하기도 한다. 나는 이와 같은 규격화, 획일화의 경향이 사회가 표준화된 하나의 모형을 제시하여 모두가 그것에 따르도록 강요하는 다수성의 논리에서 기원한다고 보았다. 다수성은 우리가 순응해야 하는 어떤 모델이다. 따라서 다수자는 이와 같은 하나의 모형을 소수자에게 부과하여 그것에 따르도록 압박한다. 즉 다수성은 개인의 개별적인 특이성이나 차별성을 존중하지 않으며, 그러한 개인의 개성을 억압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에서 권력은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나는 권력이 강요하는 표준화, 규격화에 대한 저항적 자세로서 작업을 진행하였다. 근본적으로 인간은 개성이 말살된 채 통합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각각의 개별적인 다양성으로 존재하기 때문이다. 즉 인간은 그 자체로서 획일화될 수 없고, 각각의 고유함을 갖는 개성체인 것이다. 우리는 사회에서 이러한 인간의 의식과 행동양식 등의 다양함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집단을 발견할 수 있는데, 이들이 바로 중심에서 벗어나 있는 비주류적 존재들이다. 중심에서 벗어나 있다는 것은 권력으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하고, 동시에 대다수의 사람으로부터 소외되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도 한다. 작업을 진행하는 데에 있어 나는 이와 같이 소외되어 있는 사람들을 그 대상으로 하였는데, 그들은 분명 소외된 존재이지만 나는 그들을 그와 같은 시각으로 바라보지 않았다. 그들은 분명 존재론적 가치 이상의 내면적 가치를 가지고 있으며, 그들 나름대로의 방식을 통해 세상과 소통하고 있다. 그들은 사회에서 우리가 순응해야 한다고 요구하는 표준화된 모형에서 끊임없이 벗어나고자 하는 특징을 가진다. 질 들뢰즈(Gilles Deleuze)와 펠릭스 가타리(Felix Guattari)는 그들에 대해 권력이 부과하는 다수자의 모델을 거부하고 욕망의 탈주선을 따르는 자라고 정의한다. 이것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다수성(majoritaire, majority)에 반대되는 개념으로서의 ‘소수성(minoritaire, minority)’에 그와 같은 의미를 부여한 것이다. 나는 그들이 주장하는 소수성 논리를 통해 중심에서 벗어나 주변에 존재하는 존재자들에 대한 긍정적 가치를 발견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논문의 작업들은 들뢰즈와 가타리가 주장하는 소수성 개념에 의거해 비주류적 존재를 표현 대상으로 하여 전개되었다. 나는 그들을 표현하는 데에 있어 초상화(portrait)와 초상조각(portrait sculpture)의 개념을 도입하였다. 초상화는 고대 이집트 시대로부터 권력자뿐만 아니라 일반인을 대상으로도 그려져 왔으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권력자나 국가의 영웅, 또는 역사적으로 중요한 인물들을 기억하거나 기념하기 위해 주로 그려졌기 때문이다. 본 논문의 작업을 통해 나는 이와 같은 초상화와 조각상(statue)의 역할을 새로이 구축해보았다. 우선적으로 초상조각의 모습은 갖추고 있으되, 본 논문의 초상조각에 등장하는 인물은 그가 누구인지를 뚜렷하게 알려주던 기존의 초상조각과는 달리 익명성을 가진다. 기념되거나 기억될만한 존재로서의 대상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들은 기존 초상화나 초상조각에서의 주인공들과 같이 특정한 포즈를 취하고 있다. 그들은 자신이 주인공임을 인식하고 있으며, 그것을 통해 자신의 존재를 떳떳이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나는 석고를 깎아 그 위에 드로잉을 하는 방식으로 작업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작업은 석고의 겉 표면을 거칠게 하여 완성되지 않은 듯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계속 진행되며 생성되고 있는 소수성의 특징을 더욱 강조하고 있다. 이것은 깎거나 그린다는 전통적인 작업 방식에서 출발하였지만, 미완성적 요소를 갖는다거나, 강한 색채의 사용으로 인해 낙서화나 만화와 같은 특징이 나타난다. 이것은 초상화나 초상조각의 권위적 표현을 거부하는 방식을 통해 권력과 권위에 대한 저항적 자세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이처럼 본 작업에서 보여지는 다듬어 지지 않은 거친 표현 방식은 전통적 초상화나 조각상(statue)에서 극도의 완성을 통해 묘사되는 대상들의 권위와 위상을 무너뜨린다. 전통적 초상조각에서 보여지는 대상들은 과도하게 포장되고, 미화되어 그들의 이면적 행실들은 가리워진 채 주류적 도상으로서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나는 본 조각상 작업을 통해서 그와 같은 포장을 벗겨내고자 했다. 미화된 도상으로서가 아닌, 존재하는 구체적인 비주류적 인물을 제시함으로써 권력과 권위에 저항하고, 궁극적으로는 인간의 존재 가치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자 하였다.;Due to the dramatic growth of machine civilization and mass communication of the 20^(th) century, human beings of this era have gone through unprecedented change. In the light of social conditions, the 20^(th) century is defined as ‘mass society,’ where the masses not only participate in every field of politics, economy, society, and culture but also take the lead. Under this condition, the masses are counted more than an individual and the society sometimes standardizes human mind and behavior. In this thesis, I put forward that our tendency towards standardization has been resulted from a logic of ‘multiplicity.’ Multiplicity is a model we should accommodate ourselves to. The majority imposes a certain model on the minority. Multiplicity doesn’t respect individuality and differences; moreover, it represses different personalities. As a result, power comes into being. Therefore, I’ve done my work, having a resisting attitude towards the standardization that is forced by that superfluous power. Human beings exist as individual diversities, not as a uniformed body deprived of a variety of personalities. They can never be standardized. They have their own unique way of existing. I find non-mainstreamers to be those who best show the diversity of human consciousness and behavior. Being a non-mainstreamer means being out of the centre, which, in other words, is being far away from power and isolated from the majority. I take these isolated people as my objects but not in the same way as they used to be seen. From my point of view, they surely have their inner value which even goes beyond their ontological value, and are communicating with the world in their own way. They keep trying to deviate from the model our society imposes on them. Gilles Deleuze and Felix Guattari define these people who oppose the model of the majority as the followers of the escaping trail of desire. Deleuze and Guattari suggest the concept of minoritaire or minority here in contradiction to the one of majoritaire or majority. With their concept and logic of minoritaire or minority, I could find positive value of these non-mainstreamers. Therefore, on the basis of Deleuze and Guattari’s concept of minority, all my works in this thesis have non-mainstreamers as their objects for expression. Expressing them, I brought in the concept of ‘portrait’ and ‘portrait sculpture.’ From the time of ancient Egypt, not only powerful people but also ordinary men and women had been the objects of portraits; however, we have to admit that portraits have mainly been drawn to remember and commemorate powerful people, national heroes, or historic figures. I tried to re-construct this stereotypical role of portraits and statues in developing this thesis. Different from other existing portrait sculptures that clearly point to whom all they are about, my sculptures are anonymous despite the fact that they maintain the form of a portrait sculpture. This anonymity comes from the fact that my objects have no specific reason to be remembered or commemorated. However, I had them take their own poses just as conventional ones did. The people in my portraits are aware that they themselves are attracting attention and they are openly showing what they are. I carved statues out of plaster and did drawing on them: this is how I’ve done my work. This way of working leaves the surface of plaster rough, which gives an impression of being incomplete. The incompleteness is related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nority, for never-ending on-going process is typical of the minority. My works began with traditional ways of carving or drawing but still have such incomplete factors and strong colors that they are like graffiti or cartoons in a way. By this way of rejecting authoritative expressions in portraits and portrait sculptures, I intend to reveal a resisting attitude toward power and authority. The roughness and coarseness shown in my way of expression break down the authority that is typical of completely refined traditional portraits and statues. An object of a traditional portrait is so exaggerated and beautified that their behavior is hidden behind to put forward an icon of mainstreamers. However, I tried to strip off those empty formalities. In presenting concrete existing non-mainstreamers, instead of beautified icons, I resist power and authority, and eventually question the value of human exist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