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4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숙희-
dc.creator박숙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6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6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64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03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643-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여성의 사회활동의 확대, 상업적 성문화의 발달, 남녀평등주의, 청년기의 연장 등은 젊은이들의 성에 대한 가치관에 영향을 끼치고 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젊은이들은 올바른 성윤리에 대한 습득이 결여된 채 원치 않은 임신과 출산을 하게 됨으로써 미혼모의 수가 점점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미혼모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시각 속에서 임신한 아기를 인공 유산하거나, 출산 후 입양을 의뢰하기보다는 사회복지기관의 도움을 받아 미혼 양육모가 되기로 결정하는 미혼모 역시 점점 늘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미혼 양육모의 문제는 가부장적인 남성중심 사회에서 한 여성의 행복 여부를 결정하는 개인의 문제로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사회적인 문제를 낳을 수 있는 여러 요인들을 함유하고 있다. 따라서 미혼 양육모가 소외된 사회 일탈자로서 머물지 않고 가족과 사회의 이해 속에서 부모로서, 또 사회인으로서의 역할을 정상적으로 담당할 수 있도록 사회복지 차원에서 미혼모 양육 문제가 다뤄져야 하며, 이를 위해 양육을 결정하는 미혼모들의 일반적인 특성과 양육 결정 요인들을 알아봐야 할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인 미혼 양육모들은 대부분 고졸 이상의 학력을 가진 자들로서 원만치 못한 가족 관계와 사회 경제적 지위가 낮은 가정에서 성장하였다. 그리고 혼전 성관계에 대해 비교적 허용적인 태도를 지녔으며, 임신과 출산 후의 어려움을 예측하지 못하고 피임에 대해서도 무지한 편에 속하였다. 현재는 원가족이나 친구의 집, 쉼터 또는 모자원에서 거주하면서 미혼부와 관계를 지속, 또는 끊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은 임신과 출산 전후에 인공유산이나 입양 등에 대한 주변의 권유를 뿌리치고 스스로 아이를 양육하기로 결정하였는데, 그 요인은 다음과 같다. 부모의 음주나 갈등, 가정 폭력과 대화의 결핍 등 원가족간의 관계가 미혼모들을 집으로부터 독립하게 하였는데, 아이를 출산한 후 아이에 대한 애정이 오히려 이러한 과거로부터 자신의 삶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킬 것이라는 기대를 갖게 하여 아동을 양육하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대부분이 원가족이나 미혼부의 거부적인 태도에도 불구하고, 사회복지 서비스의 수혜와 더불어 경제적 자립을 가능케 했던 출산 전의 직장 생활을 기대하면서 경제적 어려움에 대한 큰 우려 없이 양육을 결정하였다. 특히 여성의 호적에 아동을 입적시킬 수 있게 된 가족법의 개정이 양육을 결정하는데 한 몫을 하였다. 한편 이러한 양육 결정이 미혼부와의 결합을 가능케 할 것이라는 기대와 더불어 아이에 대한 애정, 그리고 만일 입양을 의뢰했을 경우에 찾아올 상실감과 죄책감에 대한 우려가 아이를 양육하도록 결정하는데 일조를 하였다. 이러한 결정 후, 미혼 양육모는 원가족간의 관계 회복과 어머니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자신의 삶에 대해 비교적 자신감을 갖게 되었다. 그러나 아동이 느끼는 아버지의 결손에 대한 염려, 경제적 자립의 어려움, 양육시간의 부족과 어린이 보육 기관의 의뢰 등의 문제가 미혼 양육모들의 신체적, 정서적 안정을 찾는데 제약 조건으로 남아있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한 몇 가지 실천이 이루어져야 한다. 즉 임신을 했을 경우, 입양 의뢰나 또는 양육 결정에 따른 여러 문제들의 발생 가능성과 겪게 될 감정의 변화 등을 숙지시킴과 동시에, 이것을 해결할 수 있는 다양한 실제적 방법들을 예시해주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국가는 구체적인 사회복지 정책의 수립으로 미혼모의 문제를 가시화시켜 무엇보다도 그들이 건전한 사회의 일원으로서 자신들의 삶을 영위해나가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e expansion of women's social activities, the development of commercial sex culture, the equality of men and women and the priolongation of the period of the youth in today's society are influencing the youth's values of sex. In this situation, young people lack the acquisition of desirable sex ethics, and the number of unwed mothers is increasing gradually. Also, the number of unwed mothers who have artificial abortion or decide to raise their children with help from a social welfare institute without applying for adoption is also rising. The problem of an unwed mother is not merely limited to an individual's happiness in the man-domination society, but it also includes various element that can cause social problems. Accordingly, the problem of unwed mothers should be seriously discussed in the aspect of social welfare so that they do not stay as an alienated deviate fro the society. For this, we should look at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unwed mothers and determinants of raising a child. The subject of this study, unwed mothers, are mostly high school graduates who suffer uneasy family relationship and were raised in economically low level family. Also, they allow premarital sex, and are ignorant of contraception, not expecting difficulties after giving birth. Staying in their family's of friends', they continue of discontinue relationship with putative fathers. They refused others' recommendation of artificial abortion or adoption, and decided to raise their children by themselves, and the following are the reasons for it. Bad relationship with family that includes parents' drinking or conflicts and lack of conversation makes unwed mothers independent of home, and they decide to raise their children, expecting it to charge their lives in a positive way. Also, despite family's or putative father's negative attitude, they decide to raise their children expecting work life they used to have, which enabled their financial independence. Especially, the reform of the family law that allows a child's entry into a mother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ir decision to raised a child. On the other hand, the expectation that raising a child will enable reunion with putative father as well as affection to child and feeling guilty of adopting their child play a part in their decision to raise their children. After making this decision, unwed mothers become confident of their life, playing the role of mother and recovering relationship with family. However, concerns of their children who may feel the absence of their father, difficulty of financial independence, lack of nursing time and the problem of consulting a nursing institute still remain as limitations. Accordingly, practices for preventing these problems should follow. That is, we should make unwed mothers understand the possible problems of adopting children or raising children when they are pregnant, and also suggest various practical ways of solving those problems, for this, the government should make the problem of unwed mothers visible by establishing specific social welfare policies, and change social recognition of unwed mothers and their children so that they live their own lives as the healthy members of socie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문제 제기 1 B. 연구의 목적 및 내용 4 C. 연구의 의의 5 II. 이론적 배경 6 A. 미혼모의 개념 (unwed mother, unmarried mother) 6 B. 미혼모의 아동 양육에 관한 선행연구 7 1. 아동을 양육하는 미혼모의 특성 7 2. 미혼모의 아동양육 결정요인 14 C. 미혼모의 아동 비 양육에 관한 선행연구 19 III. 연구 방법 23 1. 연구 대상자 23 2. 자료수집 방법 24 3. 자료분석 25 4. 신뢰도 26 5. 연구의 한계 27 IV. 연구결과 28 A. 연구 대상자의 기초 자료 28 B. 일반적 특성 29 1. 연구 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29 2. 미혼부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32 3. 연구 대상자와 미혼부와의 관계 특성 34 C. 연구 대상자의 양육 결정 요인 35 1. 개인 심리적 측면 35 2. 심리 사회적 측면 40 3. 사회의 태도와 가치의 변화 측면 48 4. 사회 문화적 측면 59 D. 아동 양육 결정 이후의 변화 및 과제 62 1. 변화 62 2. 과제 64 V. 결론 및 제언 75 A. 결론 75 B. 제언 76 참고문헌 79 부록 85 ABSTRACT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9926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c.title미혼모의 아동 양육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미혼모 보호 시설 이용자를 중심으로-
dc.format.pagevii, 9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dc.date.awarded2001. 2-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