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박윤정-
dc.creator박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24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52567-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200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52567-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비서의 전문직성(Professionalism)의 정도와 전문직성에 영향을 미치는 비서의 개인적 배경을 알아 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전문직을 일반 직업과 구분하는 기준으로서 몇 가지 특성들이 있다는 전문직 특성 이론을 기준으로 하여, 전문직의 구조적 특징인 이론적이고 체계적인 지식, 전문교육기관, 전문단체, 자격증, 윤리강령의 측면에서 비서직의 현황을 살펴 보았을 때, 비서직이 이러한 조건에 대부분 부합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전문직성의 구조적 측면에 해당하는 직종 분야의 대학에서의 전공, 자격증, 협회 가입 등의 비서의 개인적 배경을 살펴 보았을 때, 우리 나라 기업에 근무하는 비서들은 전문직으로 확고히 인정을 받고 있는 타 전문 직업인들에 비해 이러한 필수적인 배경적 특징에 부합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따라서, 비서의 전문직성은 비서들의 다양한 개인적 배경에 따라 살펴 보아야 할 것이다. 어떤 직업이 전문직이 되기 위해서는 이러한 전문직의 구조적 특징들이 충족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그 전문직 구성원들의 태도적인 측면에서 전문직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을 한다고 한다. 이러한 문헌연구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비서의 전문직성이 어느 정도인가를 검증하고자 하는 본 연구의 목적을 보다 정확하게 하기 위해서, 전문직성에 영향을 미치는 비서의 다양한 개인적 배경을 동시에 고려하여 측정하였다. 실증연구에서는 비서의 전문직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Hall과 Snizek에 의해 개발된 태도적 전문직성 지표(Attitudinal Professionalism Scale)를 우리 나라에 근무하는 비서직의 실정에 맞게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Hall의 태도적 전문직성 지표는 태도적 측면에서 전문 직업인들의 전문직성이 어느 정도인지를 측정하는 도구로서, 그 구성항목은 주요한 준거집단으로서 전문조직의 활용, 공공에 대한 봉사의 신념, 자기규제에 대한 신념,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자율성 등이다. 이를 위하여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위치한 기업에 근무하는 152명의 비서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방법을 실행하였고, 2000년 4월 19일부터 4월 29일까지 수집하였다. 자료분석방법으로 SAS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는 본 설문문항에 대한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을 위한 신뢰도 테스트와 요인분석을 하였으며, 응답 대상자들의 배경적 특성 및 비서의 전문직성의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학력, 전공여부, 근무경력, 자격증 소지여부, 비서협회 가입여부, 근무 기업 형태 등의 배경요인에 따른 비서의 전문직성의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test, One Way ANOVA를 분석기법으로 사용하였다. 본 논문의 실증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기업에 근무하는 비서의 전반적인 전문직성은 5점 만점에 3.20점으로서 비교적 중간이상의 긍정적인 수준이었다. 전문직성의 다섯 가지 하위 항목별로 세부적으로 살펴 보면, 공공(the public)에 대한 서비스의 신념이 가장 높았으며, 그 다음으로 자율성, 자기규제에 대한 신념, 직업에 대한 소명의식, 그리고 가장 낮은 점수로서 주요한 준거집단으로서 전문조직의 활용으로 나타났다. 둘째, 본 연구가설인 학력, 전공여부, 근무경력, 자격증 소지여부, 협회가입여부, 근무기업형태 등 비서의 개인적 배경에 따른 전문직성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비서학의 전공여부와 비서 자격증 소지여부와 비서협회 가입여부에 따라 비서의 전문직성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설명하자면, 비서학을 전공한 비서가 타 전공을 한 비서보다 전문직성이 높았고, 현재 비서협회에 가입한 비서가 가입하지 않은 비서보다 전문직성이 높았으며, 비서 자격증을 소지한 비서가 소지하지 않은 비서보다 더 전문직성이 높았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비서의 전문직성을 높여서 전문직의 기반을 확립하기 위해서 비서의 배경적 특성으로, 비서학 전공의 자격이 요구되며, 비서들이 적극적으로 협회에 가입하여 참여해야 하며, 비서자격증을 취득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일반적으로 전문직으로 인식하고 있는 의사, 법률가, 교직 등의 타 전문직의 배경적 특성은 대부분 이러한 조건에 일치하는 점을 생각해 볼 때, 비서직에 있어서도 이러한 자격요건의 부족한 부분들의 개선이 요구된다고 하겠다. 하지만, 현재 우리나라 기업에서 근무하는 비서들의 절반 이상이 비서학을 전공하지 않은 현실적 상황을 고려해서, 보다 우리나라 기업의 비서의 전문직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비서학을 전공하지 않은 현직에 근무하는 비서들이 실무를 바탕으로 하여 체계적인 이론정립을 할 수 있도록 이들을 대상으로 한 대학의 부설기관 등이 주축이 되어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고, 도한 기업 차원에서도 이를 적극 지지하는 여건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우리나라 비서들의 준거 집단으로서의 전문조직의 역할을 담당하는 한국비서협회를 보다 홍보하고 활성화 시켜서 많은 비서들의 협회의 참여를 높여서 한국비서협회를 비서들의 준거 집단으로서의 전문조직으로서 적극적으로 활용하게 하여 비서들의 전문직성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비서 자격시험을 활성화 시키고 시험내용과 기준을 전문화시킴으로써 비서자격증의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모색되어야 할 것이다. 그래서 비서들 스스로도 자격증을 취득함으로써 전문 직업인으로 자부심을 지니게 되고 결과적으로 비서직의 전문직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degree of the secretaries' professionalism, to find out the background factors influencing their professionalism. For this purpose, In the first approach, the secretaries' professionalism was examined through Hall's Attitudinal Professionalism Scale including a belief in service to the public, a belief in self-regulation, a sense of calling to the field, and a autonomy in work. The scales were developed by use of the likert technique. In the second approach,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ecretaries' professionalism and their background factors including age, experience, academic degrees, major, attending association, certification, and kinds of companies they work was conducted. For this survey, the data were collected by 152 samples of Korean domestic and foreign companies. The major result of this study were found as follows. First, secretaries' attitudinal professionalism is 3.2 out of 5, which is considered to be acceptable. In detail, the degree of a belief in service to the public is the highest, which the degree of use of the professional organization as a major reference is the smallest. Second, there is relationship between secretaries' professionalism and their background factors including major, attending the association and certification. According to the survey results, those three ways to improve the secretaries' professionalism can be suggested. First, KAAP(Korean Association Administrative Professional) should be recognized and the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 should be made clear to secretaries and coordinated in making certain criteria for membership and its responsibility. Second, the qualification of the secretary should be limited by certain standards. Especially, secretarial science majors should have some privilege. Third, the level of CPS(Certified Professional Secretary) Examination needs to be raised and acknowledged as a license for professionals. In conclusion, this study attempts to find some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 in the area of the secretaries' professionalism providing a basis for further studi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II. 이론적 배경 6 A. 전문직과 전문직성 6 1. 전문직의 개념 6 2. 전문직의 이론 7 3. 전문직성의 개념 15 4. 선행연구의 고찰 19 B. 비서직의 전문직 특성 25 1. 비서의 개념 및 역할 25 2. 전문직으로서의 비서직 현황 27 3. 비서직의 전문직성에 관한 연구 39 III. 전문직성의 측정 43 A. 연구모형 설계 43 1. 연구모형 43 2. 가설의 설정 45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46 B. 분석절차 및 방법 49 1. 사전조사 49 2. 표본의 구성 54 3. 설문지의 구성 57 4. 자료분석방법 58 IV. 비서의 배경과 전문직성 분석 59 A. 전문직성 실태 59 B. 비서의 배경에 따른 전문직성 평가 60 1. 가설의 검증 결과 60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전문직성 69 V. 결론 72 참고문헌 76 부록 81 ABSTRACTS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4518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비서의 전문직성에 관한 실증적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ix, 8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비서학과-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제사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