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tle
- 청소년들의 가출충동 및 가출행동에 관한 연구
- Authors
- 최은숙
- Issue Date
- 2000
- Department/Major
-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The problem of Juveniles' Runaway from home is just limited to that behavior itself, and it is one major factors of creating various kinds of social problem and misconduct.
That is, this problem itself is not misconduct or problematic behavior, but it can cause several social problems, so there should be studies and preventive plans for juveniles' runaway from home.
Based on thoughts of problem, this study examines juveniles' impulse to runaway from home, the actual state of runaway behaviors that affect the impulse to runaway from runaway behaviors to make a basis of groping for preventive plans for away from home.
The following are details of study.
First, this study analyzes the actual state of juveniles' impulse to runaway from home and their runaway behavior.
Second, this study analyzes relationship among factors in individuals, home, family abuse and school, and third, examines the influence of factors in individuals, home, family abuse and school on juveniles' impulse to runaway from home and their runaway behaviors.
This study has a research with the subject of 340 middle school students & high school in their second year in the area of Eunpyung gu.
In analysis, SPSSWIN 8.0 statistics program, Cronbach's salpha(α), Frequencies, descriptives, Crosstabs, Correlations, Logistic Regression are applied.
First, self respect and the impulse to runaway from is analyzed to have a statisitically meaningful relation with each other, but there are no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self-respect and the impulse to runaway from home and in the influence of juveniles impulence to runaway from home and their runaway behavior.
Second, home factors affecting juveniles' impulse to runaway from home and their runaway behavior are proven not to have behavior.
Third, home abuse affecting juveniles' impulse to runaway from home and their runaway behavior is found linguistic abuse to influence of juveniles' to influence to runaway from home and physical abuse to influence of their runaway behavior.
Fourth, among school factors, satisfaction with grades affect the impulse to runaway from home, and observing school rules and school identifying factors their impulse runaway behavior.
According to results as above, juveniles who experienced physical abuse or have low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grades cannot control their impulse to runaway from home, and it mean social welfare workers should inspect juveniles' experience in physical abuse at home or low satisfaction with their school grades in assessing the problem of juveniles' impulse to runaway from home and their runaway behavior.
The problem of observing school rules and school indentifying factors that affect runaway behaviors can be connected to exam-based education system. That is, these factors that give the biggest stress to juveniles and cause their runaway behaviors are created by the problem of education system and exam based education policy.
In this situation, social welfare workers should consider factors in school in assessing the problem of juveniles showing runaway behaviors, and we should group for another plan escaping the one to help juveniles adapt to the existing school system. For example, a variety of alternative education system should be searched in the aspect of social welfare.;청소년들의 가출문제는 단순히 가출이라는 행동에 머무르지 않고 각종 사회문제와 비행을 만들어 내는 주요한 요소 중 하나다. 즉 이러한 청소년들의 가출문제자체가 비행이나 문제 행동은 아니지만 그로 인해 여러 가지 사회문제가 발생될 수 있기 때문에 청소년들의 가출문제에 대한 연구와 예방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하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가출충동과 가출행동 실태에 대해서, 그리고 이러한 가출충동과 가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알아본 후 청소년 가출에 대한 예방방안 모색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즉 가출행동의 위기를 가출충동의 수준에서 종지시키고 가출행동을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가출로 이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예방적이고 치료적인 사회복지 프로그램이 이루어져야 하는가를 모색하였다.
구체적인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로는, 가출충동과 가출행동의 현황과 실태에 대해 분석하였다.
둘째로는, 개인요인, 가정요인, 가정내 학대요인, 학교요인과 가출충동 및 가출행동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았고
셋째로는, 개인요인, 가정요인, 가정 내 학대요인, 학교요인 등이 가출충동, 가출행동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본 연구는, 서울시 은평구 지역의 중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 340명을 대상으로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시에는 SPSSWIN 8.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Cronbach's alpha(α), 빈도분석(Frequencies),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s), 교차분석(Crosstabs), 상관관계분석(Correlations), 로지스틱 희귀분석(Logistic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로 개인요인인 자아존중감과 가출충동과 가출행동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자아존중감이 가출충동과 가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가출충동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음이 분석되었으나, 자아존중감이 가출충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지 않았다. 결과적으로 청소년들 개인의 자아존중감은 가출충동이나 가출행동에 영향을 주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로 가정요인인 부부관계, 부모와의 관계, 형제관계, 훈육일관성등과 가출충동, 가출행동의 관계에 대해 알아보고, 각 요인이 가출충동, 가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았다. 먼저 각 요인과 가출충동, 가출행동의 관계성에 대해 알아본 결과 부보관계와 가출충동, 가출행동의 관계성에 대해 알아본 결과 부부관계와 가출충동, 가출행동의 관계, 그리고 부모의 훈육 일관성과 가출충동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발견되지 않았다. 그리고 이러한 가정요인들은 가출충동과 가출행동에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로, 가정내 학대요인인 신체적 학대, 성적학대, 언어적 학대와 가출충동 및 가출행동과의 관계에서는 성적인 학대와 가출충동의 관계 그리고 언어적 학대와 가출행동의 관계만이 통계적으로 별다른 관계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나머지 요인들과 가출충동, 가출행동의 관계는 유의미하게 분석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학대요인들이 가출충동, 가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신체적 학대가 가출행동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즉 가정 내에서 신체적 학대가 증가함에 따라서 청소년들의 가출충동과 가출행동이 매우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넷째로 학교요인들인 교사와의 관계, 학교성적만족, 학교규칙준수, 학교동일시, 교우관계 등과 가출충동 및 가출행동과의 관계에 관한 분석 결과 학교성적만이 가출충동에 영향을 미치며, 학교규칙준수정도가 가출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에서 가정내에서 신체적인 학대를 경험하게되면 청소년들은 가출충동을 억제할 수 없게 되는 것을 알 수 있는데 이것은 사회복지사가 청소년들의 가출충동에 대한 문제를 사정함에 있어서 반드시 가정내에서 이루어지는 학대요인 특히 신체적인 학대요인 등에 대해서 사정해야함을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제에 대한 개입이 없다면, 청소년들이 가출충동을 억제할 수 없을 시점이 되면 충동이 행동으로 이어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게 될 가능성이 많아질 것이다. 다음으로 가출행동에 영향을 주는 학교규칙준수정도와 학교에 대한 동일시에 대한 문제는, 현재 입시위주의 교육시스템에 대한 문제로 연결될 수 있는 사항이다. 즉 청소년들에게 가장 큰 스트레스와 가출행동에 이르게 하는 이러한 요인들은 제도교육의 체제가 잦는 문제와 입시위주의 교육 정책 등으로 인해 생기는 문제들이다. 즉 대중교육, 대량생산 교육 시스템에서 어쩔 수 없이 지켜야 하는 많은 형식적인 규칙, 경쟁 등은 학교동일시를 갖을 수 없게 만들고 결국 재미없는 학교로 인식하게 하는데 이러한 인식을 적절하게 표현하는 방식을 청소년들은 ‘가출’로 표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복지사는 가출행동 청소년들의 문제를 사정함에 있어서 반드시 학교에 대한 요인들을 고려하여야 하며, 이러한 청소년들이 무조건 기존의 학교체계 속에서 적응하는 방식이 아닌 다른 모색이 필요하다. 예를 들면 다양한 방식의 대안교육 체계에 대한 사회사업적 모색이 매우 필요함을 알 수 있다는 것이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