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8 Download: 0

항암화학요법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Title
항암화학요법 환자의 심리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Authors
이경숙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Cancer is an event that causes a very serious change from a patient in psychosocial sense, and separation from family, thought of having an uncurable disease, pains, prediction of death, on-going treatment and operations make a patient in huge shock. Patients tend to lose self-confidence, have depression, become dependent or nervous. Therefore, to examine patients' mental and social problem treated by chemotherapy, this study looks at the level of patients' psychosocial adaptation and analyzed what factor influences this and how influential the factor is. Based on this analysis, this study has a purpose to help medical social workers examine the level of patients' adaptation to chemotherapy, and suggest a basis of effectively meddling in improving patients' adaptation level. The following are the contents of this study. 1. Grasps the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s of chemotherapy patients. 2. Grasps the difference between general characteristics and clinic-related characteristics among the socio-demographical factors of hospitalized patients including psychosocial adaptation, social support, family cohesive force, depression level and spiritual interaction. 3. Grasps relation between before and after the spiritual interaction of chemotherapy patients. 4. Grasps relation between factors influencing patients' psychosocial adaptation. 5. Examines the general influence of each factor in the psychosocial adaptation. This study took a survey with the subject of patients hospitalized in the internal department of blood tumor in 2 hospitals affiliated with H medical center and a hospital affiliated with I medical center in Seoul, and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1. As socio-demographical characteristic, women are more exposed to cancer than men, the middle age group in 40-49 occupied 57.6%. In family support, the support of spouse was high, the patients recognized their disease mostly from the first to third month of the occurrence of their disease. The period of chemotherapy was mostly less than a year(17.8%). and the stomach cancer occupied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subject. 2. Patients' monthly income and the experience of operation had a meaningful relationship with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Married patients had higher social support form the society than unmarried patients, and there were no difference in cohesive force in the family. 3. There wa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being hospitalized in reading religion-related books or reading amount, but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in meditation, prayer, and attendance in religious service, which indicates that the patients tend to depend on the absolute. 4. In relationship between factors that affect patients' psychosocial adaptation of chemotherapy, the higher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is, the higher social support and cohesive force in the family. Also, the higher their psychosocial adaptation and cohesive force in the family are, the lower depression rate becomes, and there was a clos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 interaction and social support. 5. As a results if examining each factor of influencing psychosocial adaptation, the mostly influenced was depression rate, and the next one was cohesive power in the family. That is, individual depression and cohesive power in the family are proven to be the most important variable that explains patients' psychosocial adaptation.;암은 오늘날 우리사회의 모든 계층을 총 망라하여 발생한다. 예전에 비해 의학의 발달로 많은 인간이 생명의 연장을 가져온 것이 사실이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암에 대한 비관적인 견해는 여전하다. 암은 환자에게 있어서 육체적, 심리적으로 매우 심각한 변화를 일으키는 사건이며 불치의 병에 걸렸다는 생각, 통증과 죽음의 예감, 가족으로부터의 격리, 그리고 질병 그 자체보다 견디기 어려운 치료와 연속되는 수술 등으로 환자는 큰 충격에 휩싸이게 되며 자기 자신에 대한 자신감을 상실하고 우울증에 빠지기도 하며, 점차 의존적이 되거나 불안해 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러한 암 환자들에게 필수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들의 심리 사회적인 문제를 알아보기 위해 그 환자들의 심리 사회적 적응 수준을 알아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영향력은 어느 정도인지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의료 사회사업가들이 항암화학요법을 받는 환자들의 적응수준을 알아보고 환자들의 적응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효과적으로 개입할 수 있는 근거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심리 사회적 적응은 개인의 전반적 건강관리, 가정 내의 환경, 확대가족 관계, 직업적 환경, 사회적 환경, 심리적 고통의 하위 범주로 구성되었으며,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사회적지지, 개인적인 우울정도, 위기에 처한 가족의 응집력, 또 죽음과 관련된 영적 상호 작용, 그리고 일반적 특성과 임상 관련 특성으로 나누어진 인구 사회학적 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항암화학요법 입원 환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을 파악한다. 2. 항암화학요법 입원환자의 인구사회학적 요인 중 일반적 특성과 임상 관련 특성에 따른 심리 사회적 적응, 사회적지지, 가족응집력, 우울 정도, 영적 상호작용에 대한 차이를 파악한다. 3. 항암화학요법 입원환자의 영적 상호작용에 관한 발병 전?후의 관계를 파악한다. 4. 항암화학요법 입원환자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관계를 살펴본다. 5.심리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각 요인들의 종합적인 영향력을 살펴본다. 본 연구에서는 서울 지역의 3차 진료기관인 H의료원 산하 2개의 병원과 I의료원 산하 1곳의 혈액종양 내과에 입원중인 환자들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 하였고, 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1. 인구사회학적 특성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암 병변에 노출이 많이 되었고, 40세-59세의 중?장년층에서 57.6%를 차지하였으며, 가족 내의 지지는 배우자가 높았고, 자신의 병명 인지 시기는 1개월-3개월 사이가 가장 많았으며, 항암화학요법 치료기간은 1년 미만이 71.8%로 대다수를 차지하였으며, 암의 발병 부위는 위암이 가장 많았다. 3. 월수입과 수술경험의 유무에 따라 심리 사회적 적응에 유의미한 관계를 보였으며, 기혼자가 미혼자에 비해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으며, 가족 응집력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월수입에서 많은 관계가 있음이 나타났다. 우울정도에서는 여성과 나이가 어린 학생일 때 우울정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입원 횟수와 수술 경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영적상호작용에서는 남성보다는 여성이, 카톨릭 신자일수록 종교의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입원 전과 입원 후의 종교와 관련된 서적, 독서정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지만 명상, 기도, 종교의식 출석정도에서는 모두 유의미한 관계를 보임으로써 절대자에게 의존 하고자 하는 욕구가 높았다. 4. 항암화학요법 입원환자의 심리 사회적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관계에서는 심리 사회적 적응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와 가족 응집력이 높았고, 가족 응집력이 높을수록 심리 사회적 적은과 사회적 지지가 높게 나타났다. 또 심리 사회적 적응과 가족 응집력이 높을수록 우울정도는 낮았고, 영적 상호작용과 사회적 지지 간에는 긴밀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5. 심리 사회적 적응에 미치는 각 요인들의 영향을 알아본 결과 제일 높은 것이 우울의 정도였고, 그 다음이 가족 응집력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적인 우울정도와 가족 응집력이 심리 사회적 적응을 설명해주는 가장 중요한 변수로 설명되었다. 본 연구의 과정과 결과를 통하여 다음과 같은 제안을 하고자 한다. 1. 의료 사회사업가의 개입은 의료진들을 중심으로 하여 환자나 가족들에게 가장 가까이에서 심리적인 지지를 제공하는 전문인으로써,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는 환자들에게 절실한 것은 단순한 생명의 연장이 아닌 삶의 질 보장이라는 확고한 신념을 갖도록 하게하며, 이러한 환자들을 위한 좀 더 심도 높은 프로그램을 모색하여야 할 것이다. 2. 의료사회사업분야에서도 이론적인 사회의학 용어가 새롭게 연구되어 져야 하겠다. 대상자를 위한 사회사업 분야의 용어는 너무나 광범위하고 전체적인 것이어서 분야별 사업을 시행하기에는 통제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그러므로 구체적으로 정례화된 용어를 연구함으로써 의료사회 사업을 활성화시키고 의학적이고 사회적인 개념에 입각한 전문적인 용어 연구가 활성화 되어야 하겠다. 3. 항암화학요법을 받고 있다는 것은 죽음을 가장 가까이에서 예측하며 살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죽음과 직면한 상태에서 심각한 심리 사회적, 영적 요구가 높은 항암화학요법 환자들에게 종래의 기능적인 심리 사회적 개입보다는 개념을 초월한 전인적 개념과 호스피스가 시급히 의료사회사업 분야에서도 이루어져야 하겠고 이를 위한 후속 연구가 활성화되어야 하겠다. 뇌사가 우리나라에서도 인정되고 있고, 각 기관마다 차이가 있겠으나 의료 사회사업가가 뇌사 판정요원으로 배치되어 가고 있는 현 시점에서 “죽음”이란 개념에 대한 진지한 연구와 좋은 죽음을 맞게 하기 위한 호스피스 프로그램에 관하여 의료 사회사업 분야에서도 연구되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