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3 Download: 0
청소년의 약물남용과 내외통제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Title
- 청소년의 약물남용과 내외통제성간의 관련성에 관한 연구
- Authors
- 김정은
- Issue Date
- 2000
- Department/Major
-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청소년기는 발달 단계상 정서적, 육체적으로 과도기에 있으며, 발달과정에 따른 변화로 인해 혼란과 갈등을 겪기도 한다. 더불어 이 시기에 수행해야 하는 과업들로 인해 많은 심리적인 부담을 받기도 한다. 부모로부터의 독립, 자아정체감과 주체성의 확립에서 오는 심리적인 불안, 자기세계로의 도피, 등으로 욕구가 충족되지 않을 경우 심각한 소외감과 이질감을 느껴 비행을 가져올 수 있는데 이 중의 하나가 청소년의 약물 선택이다. 청소년들의 약물사용에 관계하는 요인들에 대한 연구를 보면 이들이 사용하는 약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대체적으로 개인의 통제부족, 인내심 부족, 낮은 자존감, 또래 집단의 압력 등이 있다. 이것은 청소년들이 약물남용을 하게 되는 심리, 사회적인 원인과도 연결 지어 생각해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원인들은 개인의 특성에 다라 다르게 지각되므로 개인이 지각하는 심리적인 환경이 약물남용을 하게 되는 큰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 이렇게 심리적 환경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주에 하나로 내외통제성을 들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의 약물남용을 하는데 많은 요인 중 '통제성'에 초점을 맞추고 약물남용 청소년의 효과적인 개입을 위해 청소년의 약물남용과 내외통제성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고자 하며 이를 위해 각 약물별 약물사용 여부에 따른 세 집단으로 구분하고(약물 경험이 없는 집단, 약물 경험은 있으나 현재 사용하지 않는 집단, 현재 사용하는 집단)이들 집단과 내외통제성 수준을 비교해 보고 어떠한 관련성이 있는지 조사해 보았다. 본 연구는 먼저 1차로 5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예비조사를 한 후에 서울 소재 3개 인문계고등학교에서 임의 표출한 남녀 고등학생 345명을 대상으로 2000년 4월7일부터 4월14일까지 일주일동안 자기 기입식 설문지로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대상 약물로는 청소년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술과 담배로 한정하였다. 약물남용의 기준은 한 달에 2회 이상의 빈도를 가지를 경우로 규정하였는데 1회 정도의 우연적인 약물사용을 배제하기 위해서 2회 이상으로 하였다.
본 연구에는 약물남용을 묻는 질문지와 내외통계성 척도를 사용하였다. 약물남용을 묻는 질문지는 기존에 약물남용 실태조사를 위해 제작된 설문지를 이용했으며 본 연구에서는 청소년들의 일반적인 사항과 약물경험유무, 최초사용시기, 빈도 등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내외통제성 척도는 Rotter가 개발한 Internal-external Scale: I-E Scale을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연구실에서 우리나라 실정에 맞게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다. 이 척도는 총 29문항으로 되어 있으며 조사대상자의 문항에 대한 성실성을 파악하기 위해 6개의 문항을 허구척도로 두고 나머지 23문항만 채점하도록 되어있다. 내외통제성 검사에서 채점한 23문항에 대한 점수는 1점씩 가산하여 0점(가장 내적 통제)에서 23점(가장 외적 통제)까지의 점수 분포를 가지며 중간점(11점)을 기준으로 해서 중간점 이상 점수를 획득한 경우는 외적통제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중간점 이하 점수를 획득한 경우 내적 통제성이 높은 것으로 본다. 수집된 자료는 SPSS/PC를 이용하여 Frequency, 백분율, 상관관계 분석, 일원량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인 성별, 연령과 내외통제성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기 위해 분석을 실시한 결과 성별에 따른 내외통제성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이것은 안영진(1987)이 내외통제성 수준에는 성차가 없다는 조사와 동일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학년에 따른 내외통제성 수준에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
2. 약물사용과 관련된 독립변수와 내외통제성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Person's 적률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는데 최초 흡연 시기, 최초 음주 시기, 최근 한 달 동안의 하루 평균 음주량, 최근 한 달 동안의 하루 평균 흡연량과 내외통제성간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최근 한 달 동안의 음주 횟수와, 최근 한 달 동안의 흡연 횟수와 내외통제성간에는 각각 유의미한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3. 약물사용 여부와 내외통제성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조사대상자들을 각 약물별로 과거 약물에 대한 경험이 있는 집단, 경험은 있으나 현재 사용하지 않는 집단, 현재 사용하는 집단으로 구분한 후 일원량 분석을 한 결과 먼저 약물중 알코올에 관한 항목에서 음주 경험이 없는 집단의 내외통제성 점수는 11.33, 경험은 있으나 현재 사용하지 않는 집단은 11.09, 현재 사용하는 집단은 13.80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담배에 관한 항목에서 흡연경험이 없는 집단의 내외통제성 점수는 11.12, 흡연 경험은 있으나 현재 사용하지 않는 집단이 11.66,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집단이 14.02로 나타났다. 약물 경험이 없는 집단과 약물 경험은 있으나 현재 사용하지 않는 이 두 집단과 현재 사용하고 있는 집단의 내외통제성 점수는 각각 공통적으로 평균 2점 이상의 차이를 나타냈는데 이것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p<.000)
이러한 결과는 경험이 없는 집단과 경험은 있으나 현재 사용하지 않는 집단은 일반적인 내외통제성을 가지고 있고 현재 약물을 사용하고 있는 집단이 약물에 대한 경험이 없는 집단과 약물에 대한 경험은 있으나 현재 약물을 사용하지 않는 집단보다 상대적으로 외적 통제성향이 높음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조사 대상자들인 청소년에게 있어 과거 약물에 대한 경험유무와는 상관없이 현재 약물을 사용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해 볼 수 있는데 현재 약물을 사용하는 청소년 집단의 외적 통제성향이 높다는 것은 다른 두 집단보다는 좀 더 비행이나 문제 행동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겠고 약물을 사용하고 있는 현 시점에서의 자기 자신의 비행 행동에 대한 통제성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살펴본 바와 같이 청소년의 약물남용과 내외통제성 간에는 서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는데 내적 통제성이 높은 것은 자신의 행동을 통제하고 책임 있는 행동을 이끄는 요인이 됨을 인지해 볼 때 약물남용 청소년들의 외적통제성을 줄이고 내적 통제성을 증진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내적 통제성을 증진하는 것은 훈련을 통해 가능한데 약물남용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하여 이들에 대한 약물에 대한 교육, 치료와 아울러 대인관계훈련, 자기주장훈련과 같은 프로그램들을 통해 자아정체감을 확립하고 자기 자신에 대한 강화를 높이는 효과적인 개입이 필요하리라 생각한다.;Adolescence is a transition period for both emotional and physical development stages, of which changes along the developmental course may cause confusion and conflicts. In addition, tasks imposed on adolescent during the period may act as psychological burden.
Furthermore, due to the independence from parents and anxiety stemming from establishing self-identity and selfhood and escape to the his/her own world, once their wants are not met, it can result in juvenile delinquencies from severe alienation and disparateness; among those delinquencies often found is substance abuse. Literature review on studies of factors related to adolescent substance usage, reveals common characteristics such as lack of personal control, low level of acceptability, low self-esteem, and pressures from peers although there are variances depending upon the substances patronized.
These are in line with psychological and social cause that adolescents are driven into substance abuses. However, these environmental factors are perceived somewhat differently, subject to his or her individual characteristic.
Therefore, perceived psychological environments on individual basis can act as a major factor in substance abuse. Psychological environments that each adolescents perceive can be further tracked down to identify the internal-external control as one of the factors that affect perceived psychological environments. Thus, this thesis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adolescent substance abuse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through the level of internal-external control among test group of substance addicted adolescent and comparison group of non-addicted adolescent, in the hope of effective intervention in substance abusing adolescent. the data for the thesis were collected through preliminary survey on 55 students followed by self-answering type questionnaires on randomly sampled in Seoul for the time span of April 7th to April 14th, 2000.
Substances for research were limited to alcohol and cigarette, most widely consumed by adolescents. Other substances were excluded as there ha not been established an accepted and definite classification criterion to measure the degree of substance abuse.
Substance abuse if defined, for the analytical purpose, as the usage above 2 times monthly on a rationale that accidental and/or trial usage of substance that do not persist be excluded.
Research topic included relationship between the record of past substance usage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and also relationship between current-meaning recent one month period-substance abuse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Research method deployed is internal-external control scale. The Scale used in this study is I-E Scale originally developed by Rotter and translated to reflect Korean peculiars by College of Education, KyungBuk University. The scale consists of 29 questionnaires, 6 of which are dummy variables to determine respondent's fidelity and only the remaining 26 questions are counted.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Frequency, Percentage-Method, on-way ANOVA, Correlation Analysis all using SPSS/PC.
Scoring for 23 questionnaires if I-E Test are such that each answer to "External" is counted one point; consequently its distribution ranges from 0(most internally control) to 23 (most externally controlled). Any score above a midpoint, is considered high on external control. Major findings of analysis are as follows:
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eneral characters of sex, age in subjects and internal-external controls a result, it is shown that among substances, experience of smoking is correlated to I-E control and, more specifically, adolescents with past smoking experience depicts higher external control than those without experience. Considering the past studies that show internal control is a significant factor in controlling one's behavior and leading to responsible actions, it is importance to decrease external control of substance abusing adolescents and enhance their internal control.
2. The analysis between independent variance related with drug-use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average rate of smoking during a recent month and the average rate of drinking during a recent month.
3. To know the correlation between drug-use and internal-external control the subjects were divided under each kind of drugs such three groups as group who had experience of drug-use, group who had experience of drug-use but don't have presently drug-use, and group who have had drug-use until now.
In analysis of these three group by one-way ANOVA about drinking of alcohol,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of drinking was 11,33,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drinking but no present use of it was 11.09. and the control-score of the group with present use of drinking was 13.80.
In analysis about smoking, the control-score of the group without experience of smoking was 11.12, the group with experience of smoking but no present use of smoking was 11.66, and the group with present use of smoking was 14.02. these results were significantly correlated.
These findings mean that the level of external control of the group with present use of drug is relatively higher than the other two groups.
Considering the results above, the present use of drug can be stressed as important factor in subjects of adolescence, irrespective of the experience of use of drug.
The higher level of external-control in adolescent group with present use of drug can be considered to be related with higher risk of delinquent or troublesome behavior, and lack of control of their delinquent behavior by themselves.
Internal control can be enhanced through training. Therefore, it is the author's opinion that such programs as education providing appropriate knowledge of each substances, socializing training along with therapy, and learning how to speak out one's own voice are needed to establish self-esteem and enhance himself/herself.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