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662 Download: 0

한국민속 인형극, 꼭두각시 놀음에 대한 일연구

Title
한국민속 인형극, 꼭두각시 놀음에 대한 일연구
Authors
김청자
Issue Date
1974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시청각교육분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When one think Education as the receiving and giving of the heritage of culture one can say that it is also the harmony and the settlement in Korean culture and the western culture. The true harmony can only be achieved by the growth of creativity and the settlement too can be realized by the re-creation of its own culture. Today puppet show has become one of the most popular program through the mass media such as television. The aim of this thesis in studying the folk puppet show is to analyze the points of the potential development to help the recreating it in order to serve the audiovisual aspects in our culture. In the main part of this paper, it is dealt with its origin, the form of the play, and the structure of the puppets, techniques in operating them and the social educational value through AV by the contents of the play in its historical, concrete points of developmental analysis. 1) It is a popular Art based on the idea of equality. It is a collective expression of the spirit of resistance in satire and commedy which were the outlet and the progressive spirit of the citizens in Lee dynasty. 2) The play has many-sided structures. This play consists of seven scenes, but having an omnibus form, the transition of one scene to the next is very simple but fantastic. The main cast is the narrator and has a person in the audience who respons and carries the dialogue with the main cast so as to express the idea of the whole audience. These techniques are adopted Into the modern plays. 3) All the ways of operating puppets of the world are taken into this puppet show and the structure of the sectional instruments are mechanic and various in its kind, yet there are much room to develop still. 4) They went around the whole provinces in order to re-create the puppet show into a traditional folk puppet show, because it has the possibility of changing as it has been handed down by mouth to mouth followings are suggested. a. Plots and the contents for the play must be reorganized. b. Puppets and their dresses must be made artistically. c. Actor's voice must be reconsidered. d. The stage and lighting materials must be kept in a special folk theatre designed by the folklorIst. Thus the rediscovered theory of the traditional puppet show should be applied to the realistic modem fantasy which is a step higher artistic achievement. The use of puppet show: 1) On TV; Although it loses some of the nuances of the puppet show it has the advantage of getting popularity among the people. 2) As class teaching aid; It offers in artistic, symbolic points a deep experiencial impression and it will be profitable in Social studies. 3) Use in national movement and campaigns; It has instructive role and one can use as an efficient tool for national compaign, Therefore the rediscovery and re-creation of traditional puppet show will accomplish the new life in the future where the materialistic culture has reached its dead-end. At the same time, the use of puppet show in the modem audiovisual education will serve a definite part in human education.;교육을 문화의 전승이라 할 때 우리 고유의 문화와 서구문화의 관계를 조절하는 두 개념은 조화와 토착이다. 참다운 조화는 더욱 창조적인 성장에서 이루어질수 있으며 참다운 토착 역시 새롭게 재창조되지 않으면 안되는 것이다. 오늘날 세계 각국이 텔레비전의 보급과 더불어 인형극이 가장 인기있는 프로그램의 하나가 되었고 한때 자취를 감추었던 인형극이 Mass Media와 함께 다시 부활하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한국의 꼭두각시 놀음을 연구하는 목적은 민속 인형극의 발전적인 요소를 분석해서 재창조를 꾀하고 오늘의 시청각 분야에 기여하도록 함에 있다. 본론에서는 그 기원과 계통, 극형식, 인형의 구조와 조종기술, 극 내용에 대하여 AV를 통한 사회교육적인 가치 측면으로 고찰하므로써 역사적 구체적으로 그 발전적 요인을 다음과 같이 분석하였다. 1. 평등 사상을 바탕으로 한 민중예술이다. 피압박층의 단결된 저항정신이 해학적인 풍자와 희극정신으로 나타나 이조의 폐쇠성에서 방출구 구실을 했으며 이것은 서민이 지니고 있던 진보의 정신과도 상통한다. 2. 극형식이 다양하다. 각 7장이 Omnibus 형식으로 되어 장면 전환은 단순하고도 환상적이다. 주인공이 해설자가 되고 관객석속에 양식화된 대화자가 있어 관객의 의지를 표시하는 특이한 극성을 보여준다. 현대극에서 그 수법을 도입하기도 한다. 3. 세계적인 인형 조종법의 종류를 모두 갖추고 있다. 조립식인 소도구의 구조는 메카닉하고 종류가 다양하나 섬세한 발달을 보이지 못하였다. 4. 지방 곳곳을 순회 공연하였다. 구전으로 내려와 변질의 가능성이 있는 꼭두각시 놀음을 전통 지향적인 민속 인형극으로 재창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1) 대사와 극내용은 정리 되어야 한다. 2) 인형과 인형 의상은 미술적으로 제작되어야 한다. 3) 배우의 음성적인 성격에 대한 재검토가 있어야 한다. 4) 꼭두각시 놀음의 무대와 조명은 민속학자에 의해 특설된 민속극장에서 보존되어야 한다. 그렇게 하므로써 재발견한 전통적인 인형극의 이론 위에 현실의 본질을 보다 높은 차원으로 무대화하여 현대의 환타지를 창조하는 인형극으로 발전 시켜야 하겠다. 인형극의 활용방안으로는 1) TV를 통한 인형극 인형극 자체로서 갖는 뉘앙스는 충분히 발휘될 수 없으나 TV를 통해 대중에게 보급될 수 있다. 2) 학습에 활용되는 인형극 인형극의 희극적, 예술적, 상징적인 요소는 학습자의 경험영역에 깊은 인상을 주고 특히 사회과에 큰 효과를 나타낸다. 3) 국민운동으로서의 인형극 설득적인 Communication의 역할을 하여 국민운동을 촉진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전통적 인형극의 재발견과 재창조로 물질 문명의 막다른 골목에서 새로운 미래의 생명을 구현하고 아울러 현대 교육 및 시청각 교육방법에 있어서 인형극의 시청각적 활용은 인간 교육에 공헌하게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시청각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