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무용 탈진의 구인(構因) 탐색 및 측정도구 개발

Title
무용 탈진의 구인(構因) 탐색 및 측정도구 개발
Other Titles
An analysis of definition and inventory of burnout in dancing which will be applicable in Korea
Authors
유현미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체육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기웅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a definition of burnout in dancing and to develop a reliable and practical questionnaire to measure burnout in dancing effectively and efficiently. At first, an open-ended questionnaire with 17 questions was presented to 100 dancers (25 in Jazz dance, 25 in contemporacry dancing, 25 in Korean traditional dancing, and 25 in ballet) at Study I, and in-depth interviews with four dancers (1 in Jazz dance, 1 in contemporary dancing, 1 in Korean traditional dancing, and 1 in ballet) who have experienced burnout were followed. In Study II, a preliminary questionnaire with 65 questions related to symptoms in burnout in dancing which were discovered in Study I was prepared and tested with 700 dancers (370 at the first trial and 330 at the second trial) in order to develop a more reliable and practical version of inventory to measure burnout in dancing after statistical analyses such as discriminant validity, exploratory factor analysis,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nd validity test. The results of qualitative analysis of Study I were as follows: 1. the cause of burnout in dancing can be categorized into 5 subgroups, physical limitations, circumstantial and social problems, limitations on professional dancing techniques, unsatisfactory coaching style, procedure); 2. physical symptoms of burnout in dancing include running out of stamina, depression, physical uncomfortableness, physical pains; 3. psychological symptoms of burnout in dancing include demotivation, depression, negative emotional exhaustion; 4. effects of burnout on dancers can be categorized into nine sub-categories, giving up, negative outlook of future, confusion, steadiness, being more conservative, making future plans, self-evaluation, positive outlook of future, and rest; 5. effects of burnout on dancing performance can be explained with four subgroups, negative, selective, giving up, and no effects; 6. methods which have been used to overcome burnout by dancers include rest, aggressive efforts, stimuli, and nothing; and 7. plans in case of experiencing another burnout include aggressive efforts, rest, giving up, and others. These findings imply that dancers generally do not have a clear understanding of burnout and have not built effective and efficient methods to overcome burnout. Thus, it is suggested that methods to reduce negative impacts of burnout in dancing such as burnout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should be developed and provided to dancers as well as coaches as soon as possible. The results of statistical analyses of Study II suggest that: 1. 65 questions which were included in the preliminary questionnaire were reduced into four factors and 23 questions after th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2. internal validity were verified a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Q value -.92, GFI-1.00, CFI-.97, RMSEA-.00, and RMR-.029) and eventually four factors (emotional exhaustion, lack of improvement, demotivation, and misgivings) and 15 questions were finally selected; and 3. external validity of the final version of inventory to help determine the degree of burnout in dancing with four factors and 15 questions was verified by a satisfactory level of ABQ.;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수의 탈진에 대한 내용을 조사하여 개념적인 구조를 탐색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무용 탈진의 정도와 강도를 측정할 수 있는 도구를 개발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연구Ⅰ에서는 개방형 설문지와 면접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분석하여 무용수들의 탈진에 관련한 내용을 파악하였다. 연구Ⅱ에서는 연구Ⅰ의 자료를 토대로 무용 탈진을 측정 할 수 있는 예비 검사지를 제작하고 이에 대한 통계적인 검증을 거쳐 무용 탈진 측정 도구를 개발하였다. 연구Ⅰ에서는 국내 무용수들의 탈진에 대한 전반적인 개념과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탈진 경험 여부와 경험시기, 탈진 경험 횟수, 탈진의 신체적 증상, 탈진의 정신적 증상, 탈진 시 무용수의 생각, 탈진 지속기간, 탈진 원인, 탈진의 영향, 탈진에 대한 견해, 탈진 극복방법 등을 묻는 개방형 설문지를 무용수 100명(재즈댄스25명, 현대무용 25명, 한국무용 25명, 발레 25명)에게 실시하고, 심층면접을 무용수 4명(재즈댄스 1명, 현대무용 1명, 한국무용 1명, 발레 1명)에게 실시하였다. 연구Ⅱ에서는 무용 탈진 측정 도구를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Ⅰ에서 얻어진 원자료 중 탈진의 증상(신체적 증상, 정신적 증상, 탈진 시 무용수의 생각)에 관련된 내용들을 바탕으로 65문항의 예비 검사지를 제작하였다. 제작된 예비 검사지를 무용수 총 700명(1차 370명, 2차 330명)에게 실시하여 문항의 기술통계와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어 측정도구의 요인구조를 탐색하기 위하여 탐색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고, 밝혀진 요인구조의 적합성을 파악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운동 탈진 검사지(Athlete Burnout Questionnaire)를 사용하여 본 검사지와의 수렴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고 교차 타당도 및 각 하위 요인의 전공별, 연령별, 경력별 차이를 검증하였다.. 연구Ⅰ의 자료 분석 결과 무용탈진의 원인으로는 5개(신체적 문제, 환경적 문제, 기술의 한계, 스타일, 과정)의 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무용 탈진의 신체적 증상은 고갈, 저하, 불쾌감, 통증의 4가지 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으며, 무용 탈진의 정신적 증상으로는 동기저하, 우울, 부정적 감정의 3가지 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무용 탈진 시 무용수의 생각은 9개의 일반영역(포기, 부정적 사고, 혼란, 정체감, 소극적, 미래계획, 자기성찰, 긍정적 사고, 휴식)으로 분류되었다. 탈진이 무용 수행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 선별적, 포기, 지장없음의 4가지 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다. 탈진이 무용수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은 부정적, 소극적, 긍정적 시도의 3개 영역으로, 탈진이 일상생활에 미치는 영향은 긍정적, 부정적, 기타 의 3가지로 분류 되었다. 또한 무용 탈진에 대한 견해는 긍정적, 부정적, 변화의 3가지로, 탈진의 극복 방법은 휴식, 자기노력, 자극방법, 자연적의 4가지 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다. 마지막으로 탈진이 재발 한다면에 대한 원자료는 극복의지, 휴식, 포기, 기타 의 4가지 일반영역으로 분류되었다. 연구Ⅱ를 위해 연구Ⅰ의 결과 중 무용탈진의 증상에 관한 문항을 제작 한 결과 총 7개요인, 65문항이었다. 예비 검사지 65문항에 대한 기술 통계치와 신뢰도는 적합하게 나타났으며, 탐색적 요인 분석 결과 총 4개요인, 23문항으로 축소되었다. 확인적 요인 분석결과 적합도 지수 값들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내적 타당성이 검증되었으며, 총 4개요인 15문항으로 최종 결정되었다. 또한 수렴 타당도, 교차 타당도가 모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남으로써 개발 된 무용수 탈진 검사지의 외적 타당성이 검증 되었다. 연구Ⅰ과 연구Ⅱ의 과정을 통해 나타난 무용 탈진 측정도구의 하위요인은 정서적 고갈, 수행저하, 의욕상실, 의구심의 4가지로 나타났으며, 4가지 하위요인은 전공별, 연령별, 경력별로 차이가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