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4 Download: 0

어머니의 양육태도변화에 관한 세대간의 비교 연구

Title
어머니의 양육태도변화에 관한 세대간의 비교 연구
Authors
김윤희
Issue Date
198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어린이의 인성발달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시대적인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있는가를 세대간의 차이를 중심으로 분석 고찰하였다. 특히 해방이후 급변하는 사회속에서 가족구조의 변화와 여성역할의 변화등으로 어머니들의 가치관에도 많은 변화가 있었을 것이라는 가설 아래 젊은 어머니세대와 나이든 어머니세대간의 양육태도의 변화와 그 차이를 비교해보고 바람직한 양육태도에 대한 기초자료로 삼고자 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자녀의 양육태도에 관한 사항들을 자녀중심성, 애정의 표시, 행동규범순응에 대한 태도, 부모로서의 역할에 대한 태도, 훈련에 대한 태도, 상벌에 대한 태도의 6개영역으로 구분하여 영역별분석과 각 문항별 분석을 하였고 이를 위하여 질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내의 가정주부를 대상으로 20대어머니 세대와 40대어머니 세대로 분류하였으며, 세대별 양육태도의 차이를 알기 위하여 z-test를 실시하였다. 결과분석에 의한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같은 세대내에서의 태도분포에는 서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생활수준이나 교육정도가 다르다 할지라도 동일세대내에서의 양육태도는 서로 비슷하다는 것을 말해주고 있다. 2. 양육태도를 영역별로 크게 구분하여 보면 두세대간의 태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난 영역은 자녀중심성과 행동규범순응에 대한 태도에서 40대어머니 세대가 20대어머니 세대보다 더 자녀중심적이면서 사회규범훈련을 더 많이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3. 세대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는 영역에서 보면, 20대어머니세대가 애정표현에 있어 40대보다 더 솔직하게, 자녀양육에 있어서 더 갈등이 심한 반면에 40대어머니 세대는 훈련에 대한 중요성을 크게 인식하여 상벌에 대한 효과를 높게 평가하며 신체적 벌에 대해서는 젊은 어머니세대가 더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영역별 분석에서 세대간의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영역도 영역내의 문항별분석에서 세분하여 보면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는 경우가 많았다. 이것은 유의한 차이가 서로 상쇄되어 영역별, 세대별 분석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새로히 영역을 세분한다면 세대간의 차이가 더 많이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 위의 결론에 비추어 보면 시대의 변천에 따라 어머니의 양육태도도 많이 변화하여 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자녀를 훌륭히 키우려는 어버이의 마음은 어느시대, 어느누구를 막론하고 공통된 마음일 것이다. 그러므로 양육이론을 실제로 자녀를 기르는데 적용시킬 수 있는 이 분야의 연구가 앞으로도 계속되어져야 하겠다.;The present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tically investigate how the maternal attitude in bringing up children, which has a significant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personality, changes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centering around the difference two different generations. It is especially intended in this paper to compare the differences of rearing attitude between young and oldmaternal generations on the assumption that there might have made significant changes in the maternal view of values due to the transformation of family structure and women's roles in a rapidly changing society after the liberation of our country in 1945, thereby obtaining such basic data as may be considered necessary to determine the most desirable pattern of maternal attitude in rearing children. A questionnaire was prepared to contain those items concerning the maternal attitude in bringing up children which covered six areas; i.e. children-priority, expression of affection, adaptation to behavioral standards, parental roles, training and praise and blame. This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the housewives in their twenties and the forties, respectively, living in Seoul city. Data collected were analyzed by applying Z-test in order to get firsthand knowledge of what differences are there in the attitude in rearing children between these two different generations. The results obtained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distribution of attitude among the same maternal generation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is fact implies that the maternal attitude in rearing children is generally similar to each other among the same generation, though their standards of living and education vary. 2. Analyzing further the maternal attitude in rearing children by classifying it into the six areas as indicated above, significant difference was shown in the area of "children-priority" and "adaptation to behavioral standards". These areas were more emphasized by the maternal generation of the forties than that of the twenties. 3. The maternal generation of the twenties was more straightforward in expressing affection and more at odds in bring up children than that of the forties. On the other hand, the importance of training was recognized and the effect of praise and blame was highly evaluated among the maternal generation of the forties, while younger maternal generation showed more positive attitude toward physical punishment. However, detailed analysis of each area showed, in many cases, significant difference even in those areas where no difference was revealed between the two maternal generations. Though the analysis by area and generation showed no difference because of such significant difference was offset each other, it may be presumed that much more differences will be revealed should areas be additionally subdivided. It can be fully seen that the maternal attitude in rearing children is greatly changing with the changes of the times. However, regardless of the times and individuals, it is common desire of all mothers to bring their children up to have them get on in the world. Therefore, it is felt absolutely necessary to continue studies in this field which can be practically applied to the rearing of childre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