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5 Download: 0

디지털 공간의 리얼리티

Title
디지털 공간의 리얼리티
Other Titles
the Reality of Digital Space
Authors
신주영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조소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인종
Abstract
우리는 스스로의 의사와 관계없이 수많은 이미지를 접하며 살고 있다. 이미지(image)란 ‘모방(mimesis)하다’라는 뜻의 이마고(imago)에서 유래한 단어로 실재와 유사하지만 실재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발전은 이 둘 사이의 경계를 허물었고 이는 가상과 현실의 관계에 대한 전통적인 관념을 전도시켰다. 이제 이미지는 실재의 재현에 그치지 않고 하나의 새로운 현실로 등극하였다. 인간이 리얼리티를 지각하는 과정은 단순하지 않다. 지각은 감각기관을 통해 전달 받은 정보를 개인적 경험을 바탕으로 새롭게 해석하는 과정이다. 따라서 우리를 둘러싼 ‘실재’는 모두 주관적으로 ‘지각된 것‘이며, 물리적 사물을 포함한 추상적 개념까지 모든 존재에 대한 믿음과 신념은 무의미하다. 최근에는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달로 다중 감각적 삶이 강조되어 인간의 감각은 서로 충돌, 융합되는 변화를 겪었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의 IP 네트워크를 통한 커뮤니케이션은 사람들에게 창작자, 배포자, 수용자 사이를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인터렉티브한 환경을 제공했다. 이로 인해 어떠한 사실이나 정보의 생성, 공유, 변질과 왜곡의 가능성은 크게 확장되었다. 본인은 바로 이러한 점에서 흥미를 느끼고 본 연구를 시작하였다. 애초에 리얼리티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결국 우리가 실재라 믿는 것은 모두 창조된 것이고, 그것은 그에 대한 믿음으로 진실성을 갖게 된다. 본인은 이 과정을 작품으로 드러내고자 했다. 작품의 소재와 표현 방법은 모두 무한한 상상력의 표출까지도 가능하게 한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바탕으로 한다. 본인은 이러한 배경 안에서 자유롭게 본인이 원하는 바를 이루고 그것을 유희하며 작업에 임한다. 이는 시대의 변화에 거스르기보다 그 안에서 즐거움을 찾고자 하는 본인의 바람을 담는다. 작품에서 사용하고 있는 형식과 매체는 크게 세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 번째는 전통적 회화기법을 이용하여 본인의 감각으로 느껴진 미디어의 빛을 아날로그적 공간 안에 시각화 한 것이다. 그리고 두 번째는 빛과 소리의 파장을 이용하여 시각과 청각, 촉각이 복합적으로 융합된 공간을 만든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현실 공간과 디지털 미디어의 가상적 공간이 합성된 새로운 공간을 창조하여 그 안에서 본인의 리얼리티를 실현시키는 과정을 표현한다. 이렇게 다양한 방식으로 작품을 표현한 것은 아날로그에서 디지털 세상으로의 변화를 유년기의 추억으로 간직한 본인의 감각을 가장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는 방법이기 때문이다. 또한 회화를 제외한 나머지 작품들의 경우 대중음악에서 모티브를 얻거나 작품의 전달 방식으로 유튜브를 사용하고 있는데 이것은 기존의 예술이 가진 위계적 통념에 도전하고자 했던 많은 예술가들의 고민, 그리고 여러 예술 장르간의 경계를 무너뜨려 더 많은 에너지를 담고자 했던 시도들과 맥을 나란히 한다. 본인의 작품은 디지털 미디어로 변화된 본인의 감각을 정확히 파악하여 그 안에서 즐거움을 찾고 꿈을 실현시키는 방법에 대한 가능성과 잠재력을 실험해보고자 하는 시도이다. 따라서 본인에게는 스스로의 정체성과 가치관, 능력을 확인하는데 도움을 주고 나아가서 본인과 비슷한 또래, 혹은 같은 세대의 특성을 파악하여 앞으로 그들이 만들 미래를 짐작하도록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연구는 현 시대를 살아가는 모든 이들이 급변하는 세상에 혼란을 느끼기 보다는 현재의 변화 가능성을 깨닫고 자신만의 진정한 유희를 찾아 자아를 실현할 때, 세상을 보다 긍정적 방향으로 이끌 수 있음을 전달한다. 창조된 가상의 것은 실재와 연관성을 갖는다. 음악이 자연의 소리를 모방하는 것으로 시작했던 것처럼 허구는 현실의 반영이고 그 둘 사이의 연결성은 많든 적든 긴밀하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멋진 신세계를 예견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술의 역사도 마찬가지다. 차용과 모방, 패러디와 재창조를 넘나들며 새로운 것을 창조한다. 아방가르드나 포스트, 네오라는 단어로 꼬리를 문 급진적 시도는 언제나 그것에 힘입은 보다 혁신적이고 더 획기적인 무엇이 나타나게 하는데 이바지 한다. 본인 역시 본인이 현재 추구하고자 하는 예술의 방향과 이에 대한 고민이 결코 완벽히 신선하거나 영원할 것이라 생각하지 않는다. 하지만 이전의 숫자 조합을 통해 그 다음 숫자를 예상할 수 있는 수학의 수열처럼 본 연구에서 다루고 있는 새로운 리얼리티에 대한 욕구와 그 안에서 벌어지는 창조의 열망이 시대의 단면을 담고 미래에 대한 가능성과 예술의 방향을 예견한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We are living with numerous images regardless of our own intent. Image comes from the word of imago in the implication of ‘mimesis’ that it implies the similar to the actuality but not the actual matter. However, the advancement of the science technology has collapsed the boundary of the two and this has transcended the traditional perception on the relationship of virtual world and real world. Image is no longer a simple reproduction of actual presence but has emerged as new reality today. The process that a human perceives reality is not simple. Perception is the process of information delivered through the sensory organ to the new interpretation on the basis of personal experience. Therefore, the 'actual presence' surrounding us would all be subjectively 'perceived one' and the belief and conviction on all beings, including the abstract concept or physical objects. With the recent advancement of the digital technology, the multi and sensible lives are emphasized to have the senses of human has experienced for mutual and repeated collision and fusion. In addition, communication through the IP network of digital media provided the interactive environment for free movement for people with respect to creative workers, distributors and accommodators. Because of the above, the possibility of generating, sharing, deforming and distorting certain fact or information has been greatly expanded. This writer has felt a great interest in this point and began this study. If there is no presence of reality in the beginning, what we believe as actual thing would have been created consequently and it would bring the truth on its faith. I attempted to display such a process in the work outcome. The subject of work and its expression method are based on the digital technology with the expression of unlimited imagination. I worked on the job with the accomplishment of what I wanted on this background. This would contain the desire to find the joy within rather than going against the change of undeniable time. The style and medium used in this work would be divided largely in three-fold. First is to use the traditional painting technique to visualize the light of media felt in my own sensitivity within the analogous space. And, the second would be made for space mixed in integration with visual, hearing and touching senses by using the light of media and wavelength of sound. And, lastly, it would create new composite space with the virtual space of reality space and digital media in a way of expressing the process to realize the reality within. Expressing the works in such various ways is that it is the method to most effectively deliver the sensitivity of the artist who kept the change of analog to digital world as her reminiscence of youth. In addition, in the event of the rest of works, excluding the painting works, the motive was obtained from the popular music or the U-tube was used as the method of delivery for works, and this would be consistent with the attempts to contain more energy by collapsing the boundary of several art genres as well as the agony of many artists who have challenged to the hierarchical concept shown in the existing art. My works attempted to experiment the possibilities and potential strengths on the ways of accurately find out the senses changed into the digital media to find the joy within and realize the dream thereto. Therefore, the purpose for me is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ame generation of the artist as well as confirming the identity, value point and competency in a way of forecasting the future for them to build on. In addition, this study would deliver the message to lead the world in more positive ways when realizing the self-ego by finding true amusement of its own with the understanding of present change rather than feeling the confusion in the drastically changing world for all people living in the present time. Matter of created virtual reality would have relativity with the actual matter. As music started from imitating the sound of nature, mimesis is the reflection of reality and connectivity between the two is very intimate whether it is more or less. Because of the fact, it is possible for us to forecast a great new world. The history of art is the same. New creation is forthcoming by transcending back and forth with borrowing, imitation, parody and re-creation. The progressive attempts with a word leading to a word in avant-garde, post and neo would always contribute to show something more innovative and remarkable thereto. This artist also does not think that the direction of art that she pursues and the agony on such a direction would be perfectly refreshing or perpetual. However, the desire on new reality handled in this study and the passion for creativeness occurring within would have a part of the time, possibility on future and forecast the direction of art for its implication as in the series of mathematics that may forecast the ensuing number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previous numb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