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5 Download: 0

눈물을 통한 존재의 승화

Title
눈물을 통한 존재의 승화
Other Titles
Sublimation of Existence through Tears
Authors
소우정
Issue Date
2009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한국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숙환
Abstract
우리는 누구나 인생에서 고통과 시련의 시기를 거친다. 고통은 인간이 피할 수 없는 실존적 현상이기 때문이다. 본인 역시 그러한 고통의 시기를 거치면서, 또한 가까운 사람들의 경우를 보면서 인간 고통의 한 가지 주된 원인이 되는 인간 내면의 '감정'에 대해 관심을 갖게 되었다. 본인이 느끼기에는, 많은 사람들이 감정의 고통으로 괴로워하면서도 해결에는 속수무책인 경우가 많았고, 바쁜 일상을 핑계로 고통의 감정을 무시하려 하지만 고통에서 헤어 나오지는 못하고 있었다. 이에 본인은, 고통이라는 실존적 감정으로부터의 해방, 즉 승화된 내면을 희망하며 이를 시각적으로 연구하게 되었다. 먼저 본 연구의 Ⅱ장에서는, '고통'이라는 '감정'의 상위 개념인 '감정'에 대하여 여러 심리학자들과 감정 연구자들의 이론을 바탕으로 연구하였다. 감정이 인간의 실존과 어떤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지를 살펴 본 후, 고통의 감정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감정은 개인의 실존을 확인시켜 줄 뿐 아니라 개인의 인지 작용 방식과 결합하여 일어나는 과정으로서 한 존재의 어떠함을 보여주는 총체적인 것임을 고찰하였으며, 감정 대처 방법으로 특히 억제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어서 살펴본 고통의 감정은 인간의 실존적 감정으로 모든 부정적인 것과 악을 그 반대의 것들로부터 구별하는 전제가 된다. 또한 고통은 사적私的인 경험이지만 역설적으로 인간은 고통을 표출하고 타인과 공유하고자 하는 강렬한 욕구를 지닌다는 점에서 고통의 감정을 억제하는 것은 또 다른 고통을 낳는다고 보았다. Ⅲ장에서는 고통 하는 존재로서의 인간이 고통을 표현하는 방법 중 하나인 눈물에 대해 살펴보았다. 먼저 눈물의 종류를 간략히 살펴보았으며 정서의 표출과 관련한 눈물에 대해서는 사람들의 경험과 문학 작품들 가운데 보여 지는 눈물의 사용을 발췌하여 근거로 제시함으로써 경험론적으로 접근하였다. Ⅳ장에서는 프로이트와 라캉의 승화이론을 살펴본 후 일반적으로 통용되는 승화의 의미를 기술하고 예술 작품에서 보여 지는 승화의 예를 프리다 칼로, 장 프랑수와 밀레, 귄터 위커 등의 작품을 통해 살펴보았다. 또한 조선 백자 달 항아리가 보여주는 내면적 승화미를 설명함으로써 인간 본성으로부터 승화를 꾀하는 본인의 연구에 이론적 토대와 함께 예술작품으로서의 선례를 제시하였다. Ⅴ장에서는 최종적 주제인 존재의 승화를 표현하기 위한 작품의 전개과정을 서술하였다. '1. 감정캐릭터와 그 확장'에서는 실존을 암시하는 감정 캐릭터를 만들어 감정을 시각적으로 규정하고자 했다. '2. 복합적 감정-내면세계-존재'에서는 사회화된 고등한 인지적 감정과 내면세계를 묘사함으로써 고통 하는 존재를 암시하였다. '3. 눈물을 통한 존재의 승화'에서는 먼저 고통의 눈물을 흘리는 존재를 1번과 2번에서 다룬 감정과 심리상태를 차용하여 표현하고, 눈물의 과정을 통해 부정적 감정이 승화되는 것을 '시각화된 감정'의 해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현하였다. 최종적으로는 절대자의 개입으로 해체되어 빛 가운데로 사라져 버린 감정의 잔상과 승화의 존재 상태를 표현 하였다. 방법적으로는, 전개1에서 나타내고자 하는 감정의 특징에 따라 다양한 재료로 드로잉 하여 감정을 연구하고, 먹과 분채 등을 사용하여 좀 더 세밀하고 밀도 있게 감정을 그렸으며, 포토샵을 통해 그 크기를 줄여 감정 캐릭터로 만들었다. 큰 감정 캐릭터 그림은 유성 페인트를 사용하여 감정이 주는 강한 느낌 까지 전달하고자 했으며 전개2의 복합적 감정과 내면세계는 한지에 분채와 아크릴을 사용하여 여러 감정 이미지를 원 안에 나열하거나 겹쳐 그림으로써 밀도를 높여 복합적인 감정들과 거기에서 비롯되는 고통을 표현하였다. 또한 전개3에서는 그림위에 물을 떨어뜨려 번지게 함으로써 존재에서 배어나오는 속울음을 나타내거나, 고통의 눈물을 상징하는 먹이나 짙은 물감을 감정 이미지 위에 떨어뜨렸으며, 본인의 눈물을 직접 사용하여 승화된 감정 상태를 표현하였다. 그리고 포토샵의 필터링 기법을 사용하여 고통을 유발하는 감정 캐릭터를 빛으로 승화시켜 표현하였다. 본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존재의 승화는 결국 고통의 과정을 거쳐 아름다운 존재로 변화하는 것이며, 이러한 아름다움은 표면적 아름다움이 아닌 내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의 아름다움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아직 가야할 길이 멀고 인격적, 예술적으로 미진한 본인에게 이 연구가 앞으로 정진할 작품세계를 향한 발전적 기반이 되기를 기대한다.;Everyone goes through a phase of pain and tribulations in his or her life. Pain is an existential phenomena which is inevitable for human beings. As a member of the human race, I began to harbor an interest in 'emotions' within the human mind, which is one of the main sources of human agony by going through this painful phase myself and also by witnessing cases of close acquaintances. In my opinion, although many people suffer from pain they often do not have a clear solution to it, and although they try to ignore the painful emotion by construing their busy life as a pretense, they could not extricate themselves from pain. Thus I was driven to study a visual version of the hope for the liberation from the existential emotion of pain, or the sublimation of the inner soul. First of all, in the second chapter of this study, I investigated the concept of 'emotion', which is a super-ordinate concept of the emotion of pain based on theories of many psychologists and emotion scholars. I first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 and human existence and then concentrated explicitly on the emotion of pain. I found that emotion not only validates an individual's existence but also a comprehensive demonstration of an existence as a process in conjunction with the individual's perceptual mechanism. I also investigated into the concept of control as a method of dealing with emotion. Subsequently, the emotion of pain as an existential emotion of human beings is a prerequisite for discerning all negative things and evil from those opposite from them. I also observed that withholding the emotion of pain begets another form of pain because although pain is a personal experience, human beings ironically have an intense desire to express and share their pain with others. The third chapter explains tears as a mode of a suffering human being expressing pain. I first examined various types of tears and regarding the tears related to the expression of emotion, I adapted an empirical approach using excerpts from people's experiences and literary works as evidences. In chapter four, I examined the sublimation theory of Freud and Lacan and described the popular version of the meaning of sublimation. I then researched examples of sublimation in art works through the works of Frida Kahlo, Jean-francois Millet, Gunter Uecker. The fifth chapter is about the developing process of an artwork that aims to express the sublimation of existence which is the subject matter. In '1. The character of emotion and its expansion', I attempted to visually conceptualize emotion by creating an emotion character that implies existence. '2. Compound emotion - inner world - existence' intimates a suffering existence by depicting a socialized, high-level perceptual emotion and inner world. In '3. The sublimation of existence through tears' I initially tried to express the existence shedding tears of pain by adapting the emotion and psychological status dealt with in 1 and 2. Then visually depicted the sublimation of negative emotions through the process of tears by deconstructing visualized emotions. Finally I expressed the trace of emotion which was dismantled by the intervention of the absolute being, evaporating in the midst of light and the existential condition of sublimation. Method-wise, I examined emotion by drawing with various materials, depicted elaborate, dense emotion by using Chinese ink and paint powder, and created a emotion character by decreasing the size via photoshop. The big character work aims to convey the ardent feelings that oil painting can portray. Regarding the compound emotion the inner-world of 'artwork #2', I depicted various complex emotions and pain derived from them by arranging various images of emotions in a row or overlapping them, using paint powder and acrylic paint on Korean paper. In the artwork #3, I depicted the inner tears derived from existence by dropping water on the artwork and letting it spread, dropped Chinese ink or dark paint which symbolize painful tear on the image of emotion, expressed the state of the sublimation of emotion by using my own tears. I also depicted the emotion character sublimed by light, using the filtering technique of photoshop. Ultimately, the sublimation of existence which I attempted to express is a process of changing into a beautiful existence through the painful phase, and such beauty is not external but rather internal and substantial beauty. Therefore as a person who has yet a long journey ahead and not yet fully mature in terms of character and art, I am hoping this research would serve as a progressive foundation of my future world of a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