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3 Download: 0

리시버의 동작 특성에 따른 기술수준별 농구 패스의 제어 및 시간적 정확성

Title
리시버의 동작 특성에 따른 기술수준별 농구 패스의 제어 및 시간적 정확성
Other Titles
The Effects of Receiver's Movement Characteristics on Passer's Movement Control and Temporal Accuracy as a Function of Skill Level
Authors
홍승분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체육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리시버(자극)의 이동속도와 이동시간(거리)이 패서의 기술수준별로 정확한 패스 동작을 수행하는데 필요한 동작계획시간과 동작실행시간, 그리고 볼의 속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성된 볼이 시간적으로 얼마나 정확하게 목표지점에 도달하는지 그 차이를 밝히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초보자 15명, 숙련자 15명의 대상에게 자극의 이동속도와 자극의 이동시간이 다른 패스 과제를 수행하도록 하였다. 자극의 이동속도는 느린 속도(1.5m/s), 중간 속도(3.0m/s), 그리고 빠른 속도(4.5m/s)로 조작하였으며, 자극의 제시기간은 2m와 4m로 조작하였다. 총 여섯 가지의 자극 조건은 무선으로 제시되었으며 각 조건 당 5회씩 총 30회의 패스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이때 패스동작을 계획하는데 사용한 시간, 즉 추정반응시간과 동작을 실행하는 데 소요된 동작시간을 측정하여 분석하고, 볼의 속도를 제어하는 형태를 확인하기 위해 손목관절의 각도-각속도 도면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동작제어를 통해 발현된 볼의 속도와 패스 타이밍의 정확성을 측정한 시간오차를 측정하였다. 이러한 측정변인을 기초로 각 독립변인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자극속도와 자극제시기간 요인이 반복측정된 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자극의 이동속도가 증가할수록, 자극제시기간이 짧아질수록 피험자가 자극에 대한 정보를 관찰할 수 있는 시간적 양은 감소하며, 이에 따라 패스의 시간적 정확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로 한 동작의 생성과정과 제어과정, 볼 속도, 그리고 최종적으로는 패스의 시간적 정확성에 각각 또는 상호작용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보자는 자극의 이동속도가 증가하고 이동시간이 짧아질수록 볼의 속도를 제어하여 반응하기 보다는 추정반응시간과 동작시간을 조절하여 패스의 시간적 정확성을 높이려고 하였다. 반면, 숙련자는 자극의 이동속도가 빠르고 제시기간이 짧아질수록 패스의 시간적 정확성을 위해 자극에 대한 탐색과 동작계획시간을 충분히 가진 상태에서 동작실행에 필요한 시간은 최대한 짧게 고정시키며 볼의 속도를 제어하여 패스 동작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effects of ball receiver's moving speed and moving time(in distance) on passer's movement planning(measured as estimated RT), ball control pattern(angle-angular velocity diagram), ball velocity, and ultimately on temporal accuracy(timing error) of passed ball were experimentally investigated in 2×3×2(skill levels × receiver's moving speed × receiver's moving time) factorial design with repeated-measures on the second and third factors. Fifteen novice players along with fifteen expert players were required to make a total of 30 passes in coincidence with an experimentally manipulated moving light signal in randomly presented six different conditions, i.e., in three differing light speed(1.5m/s; 3.0m/s; 4.5m/s) and in two differing moving time(operationally manipulated in moving distance: 2m or 4m). Analyses of data disclosed that moving stimulus velocity and stimulus duration had differential effects on eRT(estimated reaction time), MT(movement time), ball velocity, and ultimately on timing error as a function of skill level, respectively. Analyses of eRT and MT data using three-way ANOVA with repeated measures revealed significant main effects for moving velocity, moving duration, and skill level along with two-way interaction effects for moving velocity × moving duration, moving velocity × skill level, and moving duration × skill level, respectively, and finally three-way interaction effect for moving velocity × moving duration × skill level. Significant main effects for moving velocity and skill level along with two-way interaction effects for moving velocity × skill level and moving duration × skill level were found for ball velocity. Also found were three main effects for moving velocity, moving duration, and skill level as well as two-way interaction effects for moving velocity × moving duration and moving duration × skill level in the analyses of absolute timing errors. In particular, eRT and MT were smaller when there was less time available as resulted from increasing stimulus velocity with reduced moving duration. However, ball velocity was affected only when stimulus velocity increased at medium speed. Timing error was greater when stimulus velocity was faster and duration was shorter, but expert were more accurate than novices in the all stimulus conditions. These results were interpreted to mean that moving velocity and moving duration served as the major determinants of temporal accuracy of ball passing, antecedently affecting the passing movement control patterns adopted by the experts and novices as revealed by estimated reaction time, movement time, and ball veloc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