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7 Download: 0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복합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체력, 보행, 근전도 및 fMRI에 미치는 영향

Title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복합 운동이 뇌졸중 환자의 체력, 보행, 근전도 및 fMRI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ore Stability Exercises with Aero-Equipment on Fitness, Gait Development, EMG, fMRI in Stroke Patients
Authors
박은경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부사회체육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bstract
Ⅰ.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effects of a core exercise program utilizing both the aerostep and air dome on fitness, gait development, EMG (electromyography), fMRI (functional magnetic resonance imaging) for stroke patients. Ⅱ. Methods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sisted of twenty men capable of walking independently although they had all been diagnosed with a stroke by neurologists. Pati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N=10) performed a core stability exercise program in bare feet with aero-equipment (aerostep and bosu). The control group (N=10) exercised on an unelevated treadmill. Walking speed set according to the comfort level of each patient. Both groups exercised three times a week for one hour over a 12 week period. Fitness, gait, EMG, fMRI were tested pre and post exercise program. Fitness was evaluated by tests of flexibility, muscle strength, muscle endurance, agility, and balance. Gait parameters of angle and angular velocity were analyzed in the sagittal, coronal, and transverse plane at the ankle, knee, hip and pelvis via Motion analysis (Eagle digital 6-camera system). EMG readings were taken at the tibialis anterior via TeleScan (ver2.0). The fMRI was used to evaluate brain activity as subjects flexed their toes in response to a blinking overhead light. SPSS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The paired t-test was used to compare pre and post test results within the same group was performed, while results between different groups was examined via independent t-test. III. Results and Disccusion A. Fitness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pre-post test results. However, the control group on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strength, whereas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increased all physical fitness elements. Furthermore, the rate of improvement for all of these physical fitness elements was greater for the experimental group than the control group. B. Gait Analysis Although maximum and minimum angle and angular velocity were similar between the control and experimental group at the beginning of the test period,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Furthermore, although all test subjects experienced diminished physical capacity in one hemisphere of the body as a result of the stroke, pre-test results showed irregular gait patterns for both sides of the body.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the most improvement in intra-joint coordination at the ankle and knee in the sagittal plane. In contrast, pelvic and hip coordination showed the least improvement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The control group showed no improvement in intra-joint coordination. C. Electromyography (EMG)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electromyography for static balance and dynamic walking at the tibialis anterior for the test group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more improvement in muscle contraction than the control group. D. fMRI Analysis fMRI results for the experimental group show activation of the brain in the submotor area, an area responsible for unilateral involuntary motor movement and posture control.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only showed activation in the somatosensory area. IV. Conclusion and Suggestion By the end of the test period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fitness, gait variables, electromyography, fMRI. Conversely, the control group showed only a trend for improvement in those four catagories. Ultimately the control group had only on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 grip strength in the left hand. The improvement of all physical fitness variables showed that aeroequipment with bare feet can not only strengthen muscles, but it can also affect ligments, tendons, and proprioception. Since exercises on aeroequipment with bare feet involve the whole body from fingers to toes and are multidirectional, with varying loads and velocity, users can improve their neural muscular efficiency. Although the control group only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left-handed grip strength, there was a trend for improvement in the physical fitness variables with no patterns of deterioration amongst the patients. Even though stroke patients suffered damage to one side of the brain (and thus one side of the body was affected), gait analysis showed abnormal patterns on both sides of the body. This is probably due to the fact that the unaffected side of the body had to compensate for the affected side of the body. Although the control group did not show improvement in their gait variables, there was a visible difference in the intralimb coordination of these patients. The patients went from dragging the affected legs behind them to walking in an irregular bow-legged pattern. So although the control group did not improve, change was noted, and this change indicates a change in gait patterns, gait strategy, and it is a potential indicator of future improvement. For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ment appeared in ankle and knee intrajoint coordination, but hip and pelvic coordination did not improve. This could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during the aeroequipment exercises, patients maintained a completely upright posture, thus neither the hips nor pelvis were not engaged very much. On one hand, since the stroke patients had difficulty maintaining upright posture, exercises that fully activated the hips or pelvis could possibly compromise the patient's center of gravity, causing them to fall. Another possible solution to activating the hip and pelvic muscles in the transverse plane would be core mobility exercises. The twisting motion of various core mobility exercises would help activate the hip and pelvic muscles of patients and these movements can be performed seated or lying down to ensure the subject doesn't fall. These results allude to the fact that all core exercises are not the same. Core mobility exercises are not core stability exercises and vice versa. Thus while aeroequipment exercises caused significant activation of muscles in other planes of movement, muscles in the transverse plane require different types of movement to be activated. Increased physical fitness, intrajoint coordination, and greater muscle activation all allude to improved proprioception and neuromuscular efficiency. These conclusions were validatded the fMRI results. Core stability exercises with Aero equipment utilizing bare feet stimilate the body in multiple ways with multidirectional movement, varying loads, pressure and velocities. Even the textured surface of the aeroequipment stimulates the users bare feet and hand. Furthermore, the unstable surface of the aeroequipment also works to activate various deep and fine muscles associated with posture and stability from the neck to the tailbone. This diverse stimuli is extremely important to stroke patients because it creates greater activation of neural motor pathways associated with balance and movement.;본 연구의 목적은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Core) 안정성(Stability) 복합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체력, 보행, 근전도 및 fMRI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이다. 피험자는 A와 B병원 재활의학과에 내원하여 치료를 받고 있는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20명 중 10명은 air가 들어 있는 에어로 스텝(airostep)과 에어 돔(Bosu) 위에서 코어 안정성 복합 운동과 자세 및 보행 훈련을 실시하였으며(실험집단), 다른 10명은 단일 방향의 편평하고 딱딱한 바닥(트레드밀)에서 걷기운동(비교집단)을 하는 사람으로 무선배정 되었다. 운동은 주 3일 1시간씩 12주 동안 점진적으로 운동의 강도와 시간을 증가시키면서 실시하였다. 운동 프로그램 처치 전과 후에 체력, 보행분석, 근전도, fMRI를 측정하였다. 체력은 유연성, 근력, 근지구력, 민첩성, 균형을 측정하였다. 보행분석은 Motion Analysis(Eagle digital 6-camera system)를 이용하였다. 보행 속도는 피험자의 편한 속도로 하였고, 하지에 국한하여 골반, 엉덩이, 무릎, 발목 관절 내 관계와 운동량의 전이를 통해 본 협응과 제어를 분석하였다. 근전도는 TeleScan(ver 2.0)과 BatchPro(ver 1.0)을 이용하여 양 하지의 전경골근(Tibialis anterior :TA) 상·하 부위(2~3cm)에 전극을 각각 부착하였다. fMRI는 Achieva 3.0(R 2.13T)을 이용하였으며, 자체 제작한 발판에 동일한 공기압을 제공한 공위에 발을 놓고, 자발적으로 발가락으로 움직일 때의 뇌의 활성화 정도를 촬영하였다. 실험을 통하여 획득한 fMRI 영상의 확률 통계 처리는 SPM5‘(Statistical Paramatric Mapping, UCL)를 이용하였다. 뇌졸중 환자들은 개별적인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각각의 결과를 사례별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실험집단과 비교 집단의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와 같다. A. 체력검사결과 트레드밀 걷기 훈련의 결과 악력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t=-2.38, p<.05)가 있었으며, 다른 체력 요인은 변화가 없었다. 반면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화 훈련 후 악력(t=-3.58, p<.05), 유연성(t=-2.13, p<.05), 균형(t=-1.49,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가 있었으며, 다른 체력 요인도 모두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단일방향의 딱딱한 지면을 제공하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보다, 다방향, 다압력, 다부하를 제공하는 공기압을 이용한 지면에서의 코어 안정성 및 자세 및 보행 훈련이 체력 향상에 더욱 효과적이라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B. 보행분석 결과 1. 양적분석 결과 1) 시상면 시상면에서 발목관절 각도의 변화를 보면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에서는 건측에서 입각기(t=-5.536, t=-9.587, p<0.05), 유각기(t=-2.166, t=6.532, p<0.05), 환측에서도 입각기(t=-4.776, t=3.148, p<0.05), 유각기(t=-3.923, t=-2.198, p<0.05) 모두 최대값과 최소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평균값도 입각기(t=-5.544, p<0.05), 유각기(t=-7.143, p<0.05)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딱딱한 지면에서 단일 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집단은 건측에서 입각기(t=-7.328, t=-5.379, p<0.05), 유각기(t=-2.053, t=-4.234, p<0.05), 환측에서도 입각기(t=-2.670, t=-5.767, p<0.05)와 유각기(t=-2.369, t=-6.305, p<0.05) 모두 발목관절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평균값은 건측에서는 입각기(t=-3.358, p<0.05), 유각기(t=-2.569, p<0.05)에서, 환측에서는 유각기(t=-2.569,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즉, 두 집단 모두 시상면에서 발목관절 각도의 최대값과 최소값, 평균값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처치 집단의 증가율이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보다 매우 높아 발목 관절의 배굴, 저굴 능력이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무릎관절 각도의 변화에서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은 건측에서 입각기(t=-2.153, p<0.05), 유각기(t=-2.106, p<0.05) 모두 최소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딱딱한 지면에서 단일 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집단은 건측에서 입각기(t=-2.059, p<0.05)에 무릎 관절의 최대값, 최소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유각기(t=-2.106, p<0.05)에는 최소값만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환측에서는 유각기(t=-2.106, p<0.05)에 최소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집단은 건측에서 신전각이 증가하였고, 딱딱한 지면에서 단일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집단에서는 신전과 굴곡각이 증가하였다. 따라서, 트레드밀 운동이 무릎관절의 신전과 굴곡운동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엉덩관절 각도의 변화를 보면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에서는 환측에서 유각기(t=4.576, p<0.05)에 최소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딱딱한 지면에서 단일 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집단은 건측과 환측 모두에서 엉덩관절의 굴곡, 신전 움직임 각도에 유의한 증가가 없었다. 즉, 공기압을 이용한 실험처치 집단에서는 환측의 엉덩 관절의 신전각이 유의하게 증가하였으나, 트레드밀 걷기 운동 처치 집단에서는 엉덩 관절의 신전, 굴곡에 유의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 공기압을 이용한 운동이 엉덩 관절의 신전운동에 더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골반관절 각도의 변화는 두 집단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시상면에서의 하지 관절의 각도변화를 보면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에서는 발목관절에서의 배측, 저측 굴곡 움직임과 무릎의 신전각과 엉덩관절의 굴곡각이 증가하였고, 딱딱하고 단일 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에서는 무릎의 굴곡, 신전 움직임 각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2) 관상면 관상면에서의 하지 관절 각도 변화를 보면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에서는 건측에서 입각기(t=-2.566, t=-3.861, p<0.05)에 발목 관절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증가하였으며, 유각기(t=-2.098, p<0.05)에는 최소값이 증가하였다. 평균값은 입각기(t=-2.462, p<0.05), 유각기(t=-3.581, p<0.05)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환측에서는 입각기(t=-6.753, p<0.05), 유각기(t=-6.632, p<0.05) 모두 발목관절의 최대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평균값은 입각기(t=-5.618, p<0.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딱딱하고 단일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에서는 건측과 환측 모두에서 발목 관절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그러므로 공기압을 이용한 운동는 관상면에서의 발목 관절의 내전, 외전의 움직임을 증가시키는데 기여함을 알 수 있다. 무릎관절 각도의 변화에서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은 건측과 환측 모두에서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반면, 딱딱하고 단일 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에서 걷기 운동 집단에서는 환측에서 유각기(t=-2.197, p<0.05)에 무릎관절의 최대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딱딱한 지면에서의 단일 방향의 걷기운동은 환측의 무릎 관절의 내전각을 증가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엉덩관절 각도의 변화에서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집단은 환측에서 입각기(t=-2.518, t=-4.643, p<0.05)에 엉덩관절의 최대값과 최소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트레드밀에서 걷기 운동집단은 건측에서 입각기(t=-3.069, p<0.05)와 유각기(t=-2.240, t=-3.927, p<0.05) 모두 엉덩관절의 최대값, 최소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집단에서는 환측에서, 딱딱하고 단일 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운동 집단에서는 건측에서 엉덩관절의 내전과 외전 움직임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골반관절 각도의 변화는 두 집단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따라서, 관상면에서의 하지 관절의 각도변화를 보면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에서는 발목관절에서의 내번, 외번 움직임과 엉덩관절과 골반관절의 내전, 외전 움직임이 증가하였다. 그리고, 딱딱하고 단일 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에서는 무릎의 내전, 외전 움직임과 엉덩관절의 내전, 외전 움직임 각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3) 횡단면 횡단면에서의 하지관절 각도 변화를 보면,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에서는 건측에서 입각기(t=-3.039, p<0.05), 유각기(t=-5.824, p<0.05) 모두에서 발목 관절의 최소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유각기(t=-2.979, p<0.05)에는 발목관절의 최대값과 평균값(t=-2.956, p<0.05)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환측에서는 입각기(t=-2.821, p<0.05), 유각기(t=-2.810, p<0.05) 모두에서 발목관절의 최대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반면, 딱딱하고 단일 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은 건측에서 입각기(t=-2.331, p<0.05)에 발목관절의 최대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환측에서 유각기(t=-2.331, p<0.05)에 발목관절의 최대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공기압을 이용한 복합 운동 처치 집단에서의 발목의 내외회전 능력이 더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무릎관절 각도의 변화를 보면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은 건측과 환측 모두에서 무릎 관절의 움직임 증가가 없었다. 반면, 딱딱하고 단일 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에서는 건측에서 유각기(t=-5.237, t=-3.761, t=-2.564, p<0.05)에 무릎 관절의 최대값과 최소값, 평균값이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그러므로 트레드밀위에서의 걷기 운동은 무릎 관절의 내외회전 움직임을 증가시키는 것을 알 수 있다. 엉덩관절 각도의 변화는 두 집단 모두에서 나타나지 않았다. 골반관절 각도의 변화를 보면,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에는 골반 관절의 내, 외회전 움직임에 대한 유의한 증가가 없었다. 반면, 딱딱하고 단일 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은 건측에서 입각기(t=-3.378, t=-3.440, p<0.05)에 골반관절의 최대값과 최소값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환측에서 유각기(t=-3.378, t=-3.344, p<0.05)에 골반관절의 최대값과 최소값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따라서,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에서는 발목관절에서의 배측, 저측 굴곡, 내번과 외번, 내·외회전의 움직임과 엉덩관절의 굴곡과 내·외전 움직임 그리고 골반관절의 내전, 외전 움직임이 증가하였다. 딱딱하고 단일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에서는 발목의 배측, 저측 굴곡과 무릎의 굴곡, 신전, 내전, 외전 움직임과 엉덩관절의 내전, 외전 움직임 각도가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횡단면에서의 하지 관절의 각도변화를 보면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에서는 발목관절에서의 내, 외회전 움직임이 매우 증가한 반면, 딱딱하고 단일 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에서는 발목관절과 무릎관절, 골반관절에서의 내, 외회전 움직임이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를 종합해 보면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에서는 발목관절과 엉덩관절의 움직임을 많이 사용하는 반면, 딱딱하고 단일 방향으로 걷는 트레드밀 걷기 운동집단에서는 무릎관절의 움직임이 더욱 증가한 것을 볼 수 있었다. 2. 질적 분석 결과 넘어지지 않고 성공적으로 걷는 뇌졸중 환자의 보행은 정상 성인의 것과 비교했을 때 다른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다. 건측도 환측의 영향을 받아 정상 성인의 보행 전략과 다르게 나타나 환측에 대한 보상작용을 건측이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훈련과 자세 및 보행 훈련을 트레드밀에서 걷기 운동 훈련과 비교해 보면, 두 집단 모두 정상 성인과는 다른 보행 전략으로 보행하고 있었다. 그러나 코어 안정성 훈련 처치 후 하지 관절 내 관계는 정상 성인과 더욱 비슷하게 나타나 매우 고무적이었다. 그러나 코어 안정성 훈련 집단도 하지 관절 내 운동량의 전이는 다르게 나타나 관절 내 협응은 호전되었으나, 관절 내 제어는 아직 부족하여 훈련 기간이 더 필요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코어 안정성 훈련 집단의 경우 무릎 관절과 발목 관절 내 협응은 정상 성인의 그것과 유사하게 나타나고 있으나 골반과 엉덩 관절 내의 관계는 다르게 나타나 골반과 엉덩 관절의 협응을 도울 수 있는 프로그램의 보완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다. 또한 협응 기전이 먼저 회복되고 제어기전은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됨을 알 수 있었다. C. 근전도 분석 결과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훈련 전, 후 전경골근의 근수축력과 근피로도를 살펴본 결과 처치 전, 후 건측에서는 42.86±14.92로 30.22%가 증가하였으며, 환측에서 또한 23.46±3.78에서 40.64±5.96로 42.27%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또한, 운동 중 건측의 근피로도가 처치 전 53.41±14.95에서 60.92±15.47로 12.3%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5). 그러나, 비교 집단에서는 처치 전 건측에서 82.00±19.88에서 처치 후 61.43±18.10으로 1.81% 감소하였으며, 환측에서는 처치 전 23.46±3.78에서 처치 후 40.64±5.96으로 28.01%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하지의 마비로 인하여 하지의 근력 약화와 고유수용감각 기능의 감소가 있는 뇌졸중 환자들에게 있어서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훈련은 전경골근의 근수축력을 강화시킬 수 있는 운동으로 사료된다. 물론, 근수축력이 강화되면서 운동 중 근피로도가 증가하는 것을 고려할 때 훈련 후 빠른 회복력을 위해 하지의 이완 운동 프로그램을 포함시키는 것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D. fMRI 분석 결과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과 트레드밀 걷기 집단의 처치 전, 후 fMRI 분석 결과 두 집단간에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 집단에서 처치 후 수의적 운동에 관여하는 전운동영역과 자세와 균형에 관여하는 소뇌에서 많은 활성화가 나타난 것을 볼 수 있었다. 반면, 트레드밀 걷기 운동 집단에서는 전운동영역 일부와 시각에 관여하는 두정엽에서의 활성화가 증가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복합 훈련을 실시한 사례들에서 수의 운동과 관련된 전운동영역과 사지의 자세 조절과 관련된 보조운동영역이 더욱 활성화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훈련 전, 후 같은 부위의 운동영역이 더욱 초점(localization)을 맞추어 더 많은 활성화 정도를 나타내었다. 또한, 환측 부위를 담당하는 뇌의 영역에서의 활성화가 활발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그러나, 딱딱하고 평편한 트레드밀 위에서 걷기 운동을 한 비교집단의 사례들에서는 체성감각 영역을 담당하고 있는 두정엽에서 더욱 활성화되었으며, 환측보다는 편측과 관련된 뇌의 측면이 더욱 활성화되었다. 따라서, 코어 안정화 복합 운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편측부위를 담당하는 뇌의 운동 영역과 자세 조절에 관여하는 보조운동영역에서의 활성화시키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코어 안정화 복합 운동을 실시한 실험집단에서 훈련 전과 후를 비교하여 체력(한 발로 중심잡기, 좌악력, 유연성, 한손 앞으로 뻗기)에서 유의한 차이를 볼 수 있는 반면, 딱딱하고 평편한 트레드밀 위에서 걷기운동을 한 비교집단에서는 좌악력만이 유의하게 향상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보행검사의 양적 분석 결과 공기압을 이용한 복합 운동 처치 집단의 경우 시상면에서의 발목, 무릎 관절과 엉덩 관절의 움직임 증가한 반면, 트레드밀을 이용한 걷기 운동 처치 집단은 무릎 관절의 움직임이 증가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실험집단에서는 관절 내 움직임의 전이가 더욱 좋아진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관절내 협응은 아직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비교집단에서는 국소적인 관절 간 관계가 좋아지는 부분도 있었으나, 훈련 전과 비교하여 보행 패턴이 더욱 안 좋아진 것을 볼 수 있었다. 근전도 검사결과 실험집단에서만 운동 중 전경골근에서의 근수축력이 증가하고, 이로 인한 운동 중 근피로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기압을 이용한 코어 안정성 운동이 전경골근의 근수축력을 증가시킨다고 볼 수 있다. fMRI 검사 결과에서는 실험집단에서는 편측의 수의적 운동 영역과 자세 조절에 관여하는 소뇌의 활성화가 뚜렷하였으나, 비교집단에서는 체성감각 영역을 담당하는 부분이 더욱 활성화된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코어 안정화 운동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체력과 근수축력, 보행시 시상면에서의 발목, 무릎, 엉덩 관절 관절각의 증가, 관절 내 협응, 대뇌피질 활성화에 더욱 효과적인 것으로 보여 진다. 그러나 뇌졸중 환자들의 특성을 고려하여 뇌의 영역별 손상 범위에 따른 개별화된 맞춤형 운동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처치기간도 3개월 이상 필요하다. 3개월이 지나야 적극적인 엉덩이 전략 운동도 시도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3개월 후 균형능력이 향상되면, 코어 안정성에서 진일보하여 코어 운동성 운동도 첨가하여 강도를 높여나가는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며, 이에 대한 것은 추후 연구과제로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