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6 Download: 0

비만아동의 운동참여 지속요인 탐색

Title
비만아동의 운동참여 지속요인 탐색
Other Titles
Study of Factors Effecting Continuou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Among Obese Children's
Authors
최진선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체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비만 아동의 운동참여 지속력이 부진한 요인을 심층적으로 탐색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비만 아동 운동 프로그램 시범학교로 선정된 서울 소재의 S초등학교에서 비만 아동 운동 프로그램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아동 6명과 학부모 5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이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 비참여관찰, 관련문서 분석 등을 통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에 의한 결과 분석은 내용분석 방법을 사용하였고, 이것을 근거이론적 접근방법으로 도식화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검증하는 과정에서는 삼각검증법, 전문가협의, 연구 참여자 간의 검토를 통해 진실성을 확보하고자 노력하였다. 위와 같은 방법을 통하여 본 연구는 비만 아동 운동참여도의 부진 요인을 운동에 대한 인식과 참여, 부진한 운동참여, 운동 프로그램에서의 체험과 변화 요인으로 범주화하였으며, 각 요인을 다시 세분화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정리된 내용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운동에 대한 인식과 참여로 연구 참여자인 비만 아동과 학부모들은 전반적으로 외적인 체형 변화를 위한 운동의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었지만, 이 인식이 단순한 미적 활동 수준으로 인식됨으로서 지속적인 운동으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었다. 비만 아동의 경우, 겉으로 드러난 비만도를 줄이기 위한 방편으로서의 운동을 중요시 여기고 있었고, 학부모 역시 동일한 목적으로 자녀의 운동을 권장하고 있었으며, 자신의 운동 경험을 배경 지식으로 삼고 있었다. 또한 비만 아동은 주로 혼자 하는 운동 보다 단체로 하는 게임 형식의 신체활동을 선호하고 있었으며, 유희 활동으로 국한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었다. 운동에 함께 참여해 주어야할 학부모들은 신체의 움직임에 대한 부적응감, 지속적인 운동참여에 대한 의지 부족, 게으름 등을 이유로 아동의 운동에 지속적인 관심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사실 역시 장애요소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부진한 운동참여로 부모, 또래집단, 운동시간의 제약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부모는 비만 아동이 운동을 지속하는데 운동의 시작과 지속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만 아동의 운동은 부모에 의해 시작되지만, 부모로부터 운동 지속의 관리는 계속적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었다. 아동들은 운동에 대한 지루함이 느껴지는 순간에도 부모의 말과 행동에 따라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었다. 비만아동의 지속적인 운동에 영향을 미치는 또 다른 요인은 또래와의 어울림으로 비만 아동은 또래 친구들과 어울리게 되면서 자신의 존재감을 확인하게 되고, 그 과정에서 소외감, 즐거움 등을 느끼게 된다. 즉 또래집단 속에서 친구들과 함께 운동에 참여하는 것이 운동참여 지속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학업과 운동 프로그램의 병행, 심리적 부담 등의 운동 시간의 제약 요인도 비만 아동 운동 프로그램을 지속시키지 못하게 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셋째, 운동 프로그램에서의 체험과 변화는 운동 프로그램 참여 후 만족도, 인지된 효과에 따른 영향, 지도자의 영향, 그리고 참여 후 지속 여부 요인으로 구분된다. 참여 후 만족도의 요인은 비만 아동의 경우 체력 증진의 효과는 있으나 실질적인 체중조절 효과는 금방 가시적으로 나타나지 않는데 대한 실망감과, 자신의 운동 능력 부족으로 인한 스트레스 등의 심리적 측면에서 드러나고 있으며, 그 외에 다양한 프로그램의 부재, 프로그램 수준과 내용의 부실함, 시설의 미비, 지도자의 무관심 등도 프로그램 참여 후에 불만족을 가져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었다. 인지된 효과에 따른 영향 요인은 비만 아동 운동 프로그램 참여 후에도 자신이 기대했던 운동 효과가 만족할만한 수준으로 나타나지 않은 실망감의 측면에서 나타났다. 그러나 이와 같은 불만족 요인에 대해 학부모들은 비만 아동과 다르게 긍정적으로 인지하는 현상을 보였으며 이러한 시각과 견해의 차이는 학부모와 아동이 직접참여자와 간접참여자로 운동 참여 형태가 다르게 구성되어 있다는 점 때문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비만 아동들은 운동 참여 시간에 지도자와의 상호작용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비만 아동들은 지도자와의 교감을 의식하여 지도자의 관심을 받고 싶어 했으며 지도자의 말 한마디가 운동참여 지속에 많은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고, 반대로 자신이 관심 받지 못하고 있다는 부정적 인식을 가졌을 때에 운동 참여 의지를 상실한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다. 프로그램 종료 후에도 운동을 계속적으로 할 것인지에 대한 지속여부의 경우, 지속적으로 운동하는 것은 긍정적으로 생각하고 있었지만, 시간의 제한, 재미, 사교(또래집단 형성)등 운동 프로그램의 구성의 변화 등을 조건으로 제시하고 있다는 점은 프로그램 재참여에 대한 충분한 참여 의지는 형성되지 못하는 근거가 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볼 때, 비만 아동의 운동 프로그램 참여와 사후관리 과정에서 운동의 지속을 이끌어내기 위해서는 지속적인 운동의 중요성 등에 대한 교육이 시급히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학부모에게도 장기적이고 계획적인 건강교육이 시행되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비만 아동에게 체중감량의 목표도 중요하지만, 아동기라는 시기적 특성을 잘 이용하여 비만에서 오는 심리적, 육체적 질병을 극복할 수 있는 평생체육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올바른 운동 습관을 가질 수 있도록 학교와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지원이 필요할 것이며, 나아가 비만 아동을 위한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교육정책이 활성화 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This study focused in finding out the factor causing obese children from continuing participation in sports. For this research, 6 children and 5 of their parents from S elementary school in Seoul, who have participated in sports have been interviewed, observed, and documents have been reviewed. The result has been proved by triangulation, discussion with professionals, and investigation within researchers. First, participants who were obese recognized the need for sports activity depending on the physical change they experienced. However, participation in sports has not been continued. Obese children recognized the importance in sports activity depending on the physical change and strength while on the other hand parents were more based and focused on their experience, life style, and body form. This explains why sports are being treated as a simple activity for fun. As a form of participation, it is notice obese children prefer activity in group rather than alone which shows they are seeking fun and enjoyment. According to the parents, difficulty in adapting to movements, willingness to continue sports activity and laziness has been the major factor against the continuous participation. Second, parents, same aged friends, and time management has been the factors effecting the social aspects. The most powerful factor effecting children were their parents who influence them through conversation and action as they start and continue there physical activity. Obese children's participation in sports has been led by their parents, however continuous participation has not been effected by them. Another factor motivating obese children's participation was environment of being with peer friends. They were positively influence by each other through self recognition, companionship, and enjoyment. Hence, peers from same age group has positive effect on continuous participation. Next, problem with time management, obese children's sports activity class and academic study time was overlapping causing stress and mental pressure which prevents children from participating in sports activity. Third, we can mention satisfaction after participation, effects of recognized outcome, instructors' influence, and continuation after participating. Looking at satisfaction factor, obese children were satisfied with the change in stamina in everyday life, however, unsatisfied with their ability to control weight and performing sports activity followed by low interest in sports activity. On the other hand, parents' enthusiasm and indirect participation did influence the obese children's continuous participation. However this still had limited impact on the obese children's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Along with absence of programs, unreliable level and content of program, lack of facility, and apathetic instructors are some of the discontent factors among them. The outcome depending on the recognizable effect by obese children were the same as before participation. Right after participation, obese children lost their ideal belief which caused the motivation to be lost. Even with more than 3 months of participation in sports activity, children were still discontent with there physical appearance, strength, educational environment, and program. Opposing to the children, parents showed high satisfaction after the same period, meaning opinion and point of view differ depending on direct or indirect participation. According to the instructors, obese children were sensitive about interaction with the instructors which is also one of the factors in continuing sports activity. We can conclude through this study the obese children's participation and continuation of sports activity, the education on the importance of sports activity in relation with obesity and healthy life style is in urgent need. Because obesity in early age may lead to fixed permanent life style habit, it is important to educate children and parents to maintain active participation in sports. Weight control may be the main purpose for obese children's participation in sports however further more it should become a life time activity for healthy life. School and regional centers should support these educational program and further more, policies for systemized education in long term should be revitaliz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