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95 Download: 0

사회적 소통의 맥락 이해를 통한 고전소설 교육방법 연구

Title
사회적 소통의 맥락 이해를 통한 고전소설 교육방법 연구
Other Titles
The study on the teaching method of classic novels by understanding the societal interactive communication system : Focusing on
Authors
오지원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학습자가 우리 조상들의 능동적인 문학 향유 과정을 확인함으로써 고전소설에 담겨 있는 조상들의 삶의 모습과 사상, 정서를 이해하고 그 가치를 스스로 깨달아 내면화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전 소설 교육 방법을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고전소설은 당대 사회와 집단의 삶과 사상, 정서를 공유하는 공동체의 일원으로서의 작가에 의해 생산되었으며 이렇게 생산된 작품은 그것이 유통되고 수용되는 과정 속에서 수용자의 문학적 소양과 의식을 반영하는 다양한 이본을 발생시킴으로써 보다 널리 향유되었다. 이처럼 고전소설이 작가에 의해 생산되고 유통되며 독자에 의해 수용되는 일련의 과정은 고전소설이 우리 조상들의 삶의 모습과 사상, 정서를 농밀하게 응축시켜 문학적으로 형상화한 예술 작품임을 확인시켜주는 근거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고전소설의 특성에 주목하여 학습자에게 당위적인 차원에서 일방적으로 고전소설의 가치를 전달하는 것이 아닌, 학습자 스스로 고전소설 작품 속에서 가치를 찾아낼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관점에서의 고전소설 교육 방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서 먼저 문학이 사회적인 차원에서 생산·유통·수용되고 이를 통해 의미가 생산, 전파, 확대, 재생산되는 과정을 사회적 소통의 맥락이라 정의하였다. 그리고 공동 창작으로서의 성격 및 이본이라는 독특한 존재 양식 속에서 고전소설이 갖는 사회적 소통의 맥락을 확인하여 조선 후기 대표적인 역사소설인 <임진록>을 대상으로 사회적 소통의 맥락 이해를 통한 교육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절차로 진행되었다. 먼저 Ⅱ장에서는 고전소설의 발생 및 성장 과정과 유통 방식, 작품이 갖는 주제적 경향을 검토하여 고전소설이 갖는 사회적 소통의 맥락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와 같은 사회적 소통의 맥락을 고전소설 교육에서 활용하는 가치 및 의의를 확인하여 본 연구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가 대상으로 선정한 <임진록>을 사회적 소통의 맥락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작품에 드러나는 사회적 소통의 맥락을 역사의 문학적 형상화와 향유층에 따른 이본의 내용 변이로 보고 이를 중심으로 작품의 성격을 살펴보았으며 이를 토대로 사회적 소통의 맥락 이해를 통한 <임진록> 교육의 가치를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현재 <임진록>의 교과서 수록 양상을 분석한 후 이를 통해 드러나는 문제점을 확인하고 Ⅲ장의 분석을 토대로 사회적 소통의 맥락 이해를 통한 <임진록>의 교수-학습 방법을 4단계로 제안하였다. 이는 역사소설로서 <임진록>의 성격, <임진록>의 다양한 이본 변이 양상의 특성을 고려하여 학습자 스스로 작품 속에서 사회적 소통의 맥락을 찾고 이와 같은 경험을 통해 문학 소통 구조의 일원으로서 능동적인 문학 수용·생산의 태도를 갖출 수 있도록 구성한 것으로서 ‘<임진록> 이해를 위한 배경지식 활성화하기’ - ‘<임진록>의 문학적 소통 이해하기’ - ‘이본 비교를 통한 소통의 맥락 확장하기’ - ‘<임진록> 소통의 주체자로 참여하기’ 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이와 같은 교수-학습 방법의 단계를 적용하여 실제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자료와 함께 2차시의 <임진록> 교수-학습 지도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그동안의 논의를 요약,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에 대해 논하였다.;The author of this research aims to allow the reader to first learn about our forefathers’ active literary lifestyles and to discover the thoughts, values, and overall lifestyles of our ancestors. The study then seeks to allow the modern day reader to understand these findings and reflect them upon himself to eventually “internalize” these values of our ancestors as his own. Classic literature was produced across different periods in history by groups of people who shared similar thoughts and values that are distinct to that period. During the phases of creation and distribution of these literary works, they have been made more popular progressively as slightly different accounts of the story were developed to reflect different literary knowledge and beliefs of the audience that they reached. Consequently, this process of reception and modification is an evidence that classic novels carry their significance as literary works that reflect our ancestors’ cultural values and ways of life. This research seeks to suggest an educational approach that does not simply throw some conventional ideas on the reader but makes him responsible for focusing on these characteristics of classic literature and deriving their significance on his own. For this purpose, I have defined the process where the work gets created and circulated in the general population-and the subsequent birth, development and morphing of main ideas throughout this stage-as the main mechanism of communication at the societal level. One of the works that effectively demonstrates such mechanism of societal communication and interconnection is , a literary masterpiece from the late Chosun dynasty. is a great representative work that can demonstrate the proposed educational approach because it has as its unique characteristic the fact that it is a joint creation and an alternative vers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the following way. First, in chapter II, analysis has been made on several factors associated with classic literature-such as its creation, development, distribution, and thematic elements-and their consequent influence on societal interaction. The theoretical framework of the argument was thus established once this significance has been recognized for the purpose of education. Chapter III contains detailed argument on ’s “evolution” caused by its continuous travel through different layers of a given society, how this development influenced distinct versions, and the educational value of the work in helping to understand the societal interactive web. Chapter IV suggests four distinct stages of an educational approach based on arguments made in Chapter III for better understanding of this societal interaction. These four stages consist of-increasing background knowledge of , comprehending its cultural elements in communication, expansion of the degree of societal interconnectivity by comparing different versions, and actively participating as a subject of communication. Furthermore, a guidance plan has been suggested for application in the teaching lessons. Finally, in chapter V, summary of the research was discussed along with its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