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3 Download: 0

상자패러다임을 응용한 건축 이미지 도자 조형 연구

Title
상자패러다임을 응용한 건축 이미지 도자 조형 연구
Other Titles
Cardboard Boxes as an Architectural Paradigm in Ceramic Art
Authors
이희정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study researches on human living conditions as the main subject for using cardboard boxes as an expressive paradigm in making artworks in clay. The expressions presented here are one-off objects examining the architectural features of different habitations including African mud houses. It is an integrated study of both art objects and people's living conditions. The houses in urban and rural environments have been compared to search for effective aesthetical forms. Architecture is closely linked to environment and social changes, the formative aspects developed to have cultural characteristics that are inherent to individual nations. The main motifs comes directly from quadrilateral forms in architecture that are geometric, with ethnic characteristics, particular from those that use earth and bricks. The inspiration, coming from the above subjects, has been re-interpreted subjectively for this particular study. It focuses on the formative aspects of architecture rather than function, and it creates a paradigm with cardboard boxes. Artworks relating to this style of expression have been researched, examining both international and national works. Through this, a variety of different styles have been found to be incorporated into the same idea. Furthermore, instead of looking at Asian and Western architecture, the study seeks to understand the quadrilateral mud houses of Africa. Centered around this theme, the study has related its research on Sebastian Schutyser's photographs on 'Mud Mosques' and Jan Bertrand's aerial photographs of quadrilateral habitations. The origins of architecture begin with the need for shelter from natural conditions such as rain and so on. Caves and any protruding stone formations were used as sheltering spaces. Humans made adapted and altered caves to fix their needs. They flattened the ground inside caves and dug the cave deeper inwards. Later this developed into quadrilateral forms for functional purposes, which soon progressed to rectangular structures. As a result, habitation structures before the development of cities and urban spaces, harmonized with nature. They possess a distinct and prominent character made from mud leaving traces of human life. In the early days, when there lacked diversity in building materials, mud was the most durable material. This marks the beginnings to environmental and architectural ceramics, establishing the archetypical foundation for quadrilateral architecture which is comprehended universally. Many of the traditional buildings within a city are residential areas for people and they directly show how quadrilateral spaces have been applied. Therefore this particular structure has been continuously used throughout history and even today. With these factors in mind, quadrilateral houses were made applying natural expressions using stoneware clay bodies. Silica sand was added to stoneware clay in order to create a texture. On top of the clay works iron oxide was brushed on and wiped off randomly. Then glazes were applied on the surface. The first bisquit firing was conducted in a 1.5㎥ gas kiln and it took eight hours to reach 800℃. The glaze firing was done in a 1.5㎥ gas kiln, oxidized at 1250℃. The work using silica sand was glazed with transparent glaze and on some pieces, they were left without glaze. , Japanese color stains were used and a transparent glaze was applied on top. , have been decorated with the same glazes. These were fired in a 0.3㎥ electric kiln, built specifically for reduction purposes. The first firing was to 800℃ and it took eight hours, the second firing reached 1250℃, in ten hours. For this particular study, the clay works create an ancient habitation space using cardboard boxes in a paradigm. Ten pieces were made and they vary in terms of structure. Some pieces purposely depict broken down old mud houses. The study attempted to re-interpret existing mud houses to make one-off ceramic objects. Using this theme, limitations confronted by clay as a material were overcome and developed. Furthermore, it created a chance to examine architecture in more detail. The study was an observation on space, form and time, translated into the material, clay.;주변 환경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는 건축은 사회가 발전하면서 조형형태가 바뀌며, 문화적 특징이 다른 그들만의 색다른 건축을 세웠다. 토속적이며 자연적인 건축방식인 흙집을 가장 원초적인 물질이자 도자의 기본 재료가 되는 흙을 이용하여, 흙집을 재현한 클레이아크 김해미술관의 흙집퍼포먼스전을 보고, 아프리카의 신비한 흙집을 사진을 통해, 흙집의 다양성과 아름다움을 접하면서 사각형 주거형태의 외형이 상자의 사각형 틀과 유사한 기하학적 형상임을 깨닫고, 흙집과 상자에서 느낀 이미지를 새로운 도자 조형 언어로 시각화하는 것을 연구의 동기로 삼았고, 사각형 흙집 형상인 기하학적 형상에서 직접적인 모티프를 얻은 상자를 오브제로 적용해 건축의 이미지를 주관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도자조형으로 표현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론적 배경으로 상자 패러다임과 건축적 조형성을 강조한 흙집을 설명하였으며, 작품의 조형과정 중 디자인과정에서 상자패러다임을 오브제로서 상자를 차용하였다. 동·서양의 현대 건축이 아닌 아프리카 흙집에서 사각형 주거형태를 찾고, 더 발전된 도시집단 주거지를 통해 조형적 특징을 살펴보고, 아프리카의 건축인 흙집을 세바스챤 슈티제(Sebastian schutyser)의 '머드 모스크(Mud Mosques)'사진과 얀 아르튀스 베르트랑(Yann Arthus-Bertrand)의 항공사진 "하늘에서 보이는 땅"을 통해 집합주택의 건물들 중 사각형의 자료사진을 수집하여 상자오브제와 주거생활의 목적을 담은 일차원적인 건축을 접목시키고, 다양한 건축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상자패러다임을 응용한 이미지 디자인을 통해 구체적인 건축이미지를 제작하여 도자조형예술로 표현하였다. 제작방법으로는 타렴, 석고틀을 이용한 가압, 속파기, 석고판을 이용한 판작업을 부분적으로 사용하여 조형화하였다. 태토는 조형작업에 적합한 석기질점토를 사용하여 <작품1, 2, 4, 7>을 성형하였고, <작품1, 3>은 작품의 이미지를 자연스럽게 표현하고자 세인토로 성형하였다. 입자가 거친 흙을 만들기 위해 점차 백자토에 모래를 첨가해 <작품5, 6, 8, 9, 10>을 성형하였다. 석기질점토로 만든 <작품1, 2, 4, 7>과 세인토로 성형한 <작품1, 3>은 산화철을 칠한 후 닦아내고, <작품1>은 유약1, 2, 3을 시유하고, <작품2>는 유약1을 시유하였다. <작품3, 4>는 유약3, 4를 시유하였다. <작품5>의 작은 집모형은 안료(T-G Brown) 0.5%를 첨가하였고, 상자는 유약3을 분무 시유하였다. <작품6>은 일본제품의 고화도 색안료(M-33 Green) 0.5%를 백자토에 첨가해 좌측 기물을 만들고, 고화도 색안료(M-416Green) 0.5%를 첨가해 우측기물을 만들어 투명유로 분무 시유하였다. <작품7>은 흙물을 발라 무유로 하였다.<작품8, 9>는 투명유를 시유하였고, <작품10>은 전체적으로 투명유를 시유하고 유약5를 부분 시유하고, 부분 무유로 하였다. <작품1, 2, 3, 4 ,7>소성은 1.5㎥ 가스가마에서 마침온도 800℃로 8시간 1차 소성 후, 1.5㎥ 가스가마에서 1250℃를 마침온도로 10시간 산화염 소성하였다. <작품5, 6, 8, 9, 10>소성은 0.3㎥ 환원용 전기가마에서 마침온도 800℃로 8시간 1차 소성 후, 2차 소성은 0.3㎥ 환원용 전기가마에서 1250℃를 마침 온도로 10시간 환원염 소성을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살펴본 일상적인 오브제인 상자는 도자 조형과정에서 흙집과 접목해 흙집을 응용한 다양한 건축의 이미지로 표현 될 수 있음을 10점의 작품을 통해 발견하였다. 본 연구자의 조형언어가 진화되기를 바라며 건축의 이미지를 참고하였고, 다양한 건축을 응용한 작품사례를 살펴보며 건물이 군집된 건축의 이미지를, 흙집에 변화를 주는 시간을 더해 황폐해지고 무너지고 갈라진 두꺼운 흙집이미지로 그 각각에 주관적인 해석을 제시하여 재해석해보았다. 상자 오브제를 건축을 재현한 단순한 오브제로 파악하기보다 독창적인 표현으로 건축이미지와 연결된 사물로 접목하여, 고정관념의 한계를 벗어난 다양한 각도로 실험적인 조형활동을 통해 건축이미지가 나타난 도자를 바라볼 수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