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민정-
dc.creator김민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57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57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6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75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61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공격적 유아와 그 부모 각각을 대상으로 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공격적 유아의 공격성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친사회성,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기술을 향상시키는 것을,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부모의 양육행동의 긍정적 변화를 비롯하여 양육스트레스의 감소와 양육효능감의 증가를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도입 단계, 전개 단계 및 마무리 단계의 3단계로 구성된다. 1-2회기로 구성된 도입 단계를 통해 강사-유아 간의 라포를 형성하고, 3-14회기의 전개 단계에서는 인지, 정서 및 행동과 사회적 기술을 이해?훈련하도록 하며, 15-16회기의 마무리 단계에는 지난 14회기 동안 배운 내용을 정리한다.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총 8회기의 단계적 프로그램으로서, 크게 세 단계로 구성된다. 1회기인 도입 단계에는 강사-부모 간의 라포 형성과 더불어 공격적 유아에 대한 이해를 다룬다. 2-7회기의 전개 단계에는 부적절한 양육의 개선을 위해 민주적 양육행동의 다양한 양육실제에 대한 이해 및 기술을 습득하고, 실습한다. 8회기인 마무리 단계에는 이전 7회기에 걸쳐 학습했던 내용들을 정리하여, 일상생활에서 민주적인 양육을 일반화 할 수 있도록 한다.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은 1회기에 50분씩 주 2회, 총 16회기에 걸쳐, 부모교육 프로그램은 1회기에 2시간씩 주 1회, 총 8회기에 걸쳐 실시된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을 위해 사전-사후 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이용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서울시 N구에 위치한 C유치원에 다니는 128명의 만 4-5세 유아들 가운데 교사 및 또래보고에 의한 공격성 점수가 상위 20%에 속하는 20명의 공격적 남녀 유아들과 15명의 일반 남녀 유아 15명이었다. 공격적 유아는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 모두에 참여하는 중재집단 Ⅰ(6명),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만 참여하는 중재집단 Ⅱ(7명), 아무런 처치도 받지 않은 통제집단(7명) 등 3개 집단으로 구분되었으며, 일반집단은 공격적 유아들과의 비교를 위해 연구에 참여한 비공격적 유아들이었다. 빈도분석을 이용하여 각 유아의 교사 및 또래보고에 의한 공격성 점수를 기초로 백분위수를 산출하였고, 각 측정도구의 문항 간 내적합치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 α계수를 산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전 중재집단, 통제집단 및 일반집단의 동질성 확인을 목적으로, 아동관련 변인과 부모관련 변인 각각의 집단 간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각 집단별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 각 변인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대응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집단 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아동 및 부모 관련 변인 각각에 대해 일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양적 평가와 더불어,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을 실시하는 동안 촬영된 각 유아의 행동을 관찰?평가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사전 검사를 통해, 아동관련 변인의 대부분에서 공격적 유아 집단인 중재집단 Ⅰ, 중재집단 Ⅱ 및 통제집단이 동질적 집단임을 확인하였다. 사전-사후 검사 차이를 살펴보면, 아동관련 변인의 경우, 유아의 공격성은 중재집단 Ⅰ과 중재집단 Ⅱ 모두에서 프로그램 실시 전후에 교사보고 및 또래보고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반면, 통제집단에서는 유아의 공격성 점수가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유아의 친사회성은 중재집단 Ⅰ과 중재집단 Ⅱ에서 교사보고에 의한 점수만이 유의미하게 증가되었다. 유아의 정서조절 능력과 사회적 기술은 일부 변인이 중재집단 Ⅱ에서만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부모관련 변인의 경우, 중재집단 Ⅰ의 어머니들은 다른 두 집단의 어머니들에 비해 온정?수용적 양육행동이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프로그램 실시 후, 집단 간 사후 검사 차이를 살펴본 결과, 아동관련 변인 중 유아의 공격성과 친사회성을 비롯하여 사회적 기술 중 협력 요인에서 중재집단 Ⅰ, 중재집단 Ⅱ 및 일반집단은 통계적으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부모관련 변인은 온정?수용적 양육행동은 중재집단 Ⅰ이 다른 세 집단에 비해 가장 높았으며, 거부?제재적 양육행동과 양육스트레스 중 까다로운 기질 요인은 중재집단 Ⅰ, 중재집단 Ⅱ 및 일반집단 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 외에도 프로그램 진행 과정에서 유아의 공격성 감소를 비롯하여, 친사회성, 정서조절 능력 및 사회적 기술의 향상이 관찰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중재 프로그램은 공격적 유아를 돕기 위해 효과적임을 발견하였으며, 부모교육 프로그램과 비교해서 특히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이 유아의 행동 변화에 커다란 효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는 공격적 유아와 그 부모를 대상으로 한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개발?실시함으로써, 그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중재 프로그램은 유아기 당시의 공격성 감소를 돕는다는 점에서 중재적 의미가 있다. 동시에 본 프로그램은 유아기의 문제행동을 방치함으로써 훗날 발생될 수도 있는 보다 심각한 문제행동을 미연에 방지한다는 점에서 예방적 의미가 크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프로그램은 영유아 보육 및 교육 현장이나 지역 사회 기관에서 공격적 유아와 그 부모들을 도울 수 있는 보다 유익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nd parent education for aggressive young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he program. A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ims not only to decrease aggressive children’s aggressiveness but also to improve their prosocial behavior,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social skills, and a parent education program aims to cause positive changes in parents’ parenting behaviors, to reduce parenting stress and to enhance parenting sense of competence.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developed in this study is composed of 3 stages: Introduction stage, development stage and finishing stage. The introduction stage (Session 1-2) forms the rapport between the program executor and young children, the development stage (Session 3-14) gives the children understanding and training of cognitive, emotional, behavioral and social skills, and the finishing stage (Session 15-16) reviews what have been learned in the previous sessions.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is composed of 8 sessions and 3 stages. The introduction stage (Session 1) forms the rapport between the executor and parents and deals with the understanding of aggressive children. The development stage (Session 2-7) helps parents correct their inappropriate parenting behaviors, and acquire the understanding and skills of various parenting behaviors. The finishing stage (Session 8) reviews what have been learned in previous sessions in order to generalize the democratic parenting at home.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is implemented through a total of 16 sessions, 2 sessions per week and 50 minutes per session, and the parenting education program is executed through a total of 8 sessions, 1 session per week and 2 hours per session.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s of the developed programs, the pretest-posttest control group design was us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 aggressive children whose scores of aggressiveness based on teacher report and peer report belonged to the top 20% among 128 4-5-year-old children at C Kindergarten at N-gu, Seoul. The aggressive children were divided into Intervention Group Ⅰ(n=6) who participated in both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nd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Intervention Group Ⅱ (n=7) who participated only in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nd a control group (n=7) who did not receive any intervention. Ordinary Group of children was non-aggressive children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for comparison with the aggressive children. Using frequency analysis, percentiles were calculated based on each young child’s teacher and peer report, and Cronbach' α was calculated in order to test internal consistency among the questions of each scale. Before the programs were applied, one-way ANOVA was performed for each of child-related variables and parent-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confirm the homogeneity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s, the control group and the ordinary group. In addition, paired t-test was performed to see if each variable was significantly different in each group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After the programs were applied, one-way ANOVA was performed for each of child-related variables and parent-related variables in order to confirm the differences of the intervention groups, the control group and the ordinary group. Along with these quantitative analyses, each young child’s behavior videotaped during the social skills training was also observed and evaluated. The maj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Through the pretest implemented prior to the application of the programs, most of the child-related variables confirm the homogeneity of the intervention groups and the control group. According to the differences between pretests and posttests, as to child-related variables, Intervention Group Ⅰ and Intervention Group Ⅱ showed a significant decrease of aggression in both teacher report and peer report after the programs. On the contrary, the contro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score of aggression. Intervention Group Ⅰ and Intervention Group Ⅱ showed a significant increase of prosocial behavior only in teacher report. Only Intervention Group Ⅱ showed significant increase in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some of social skills after the program. As to parent-related variables, the mothers in Intervention Group Ⅰ showed significant increases in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and receptive parenting behavior compared to the mothers of the other two groups. As a result of posttest of four groups, children's aggression, prosocial behavior, emotion control ability and social skills weren'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Intervention Group Ⅰ, Intervention Group Ⅱ, and Ordinary Group. As to parent-related variables, the mothers in Intervention Group Ⅰ showed the most affectionate/receptive parenting behaviors compared to the mothers of the other three groups. The reject/control parenting behaviors and difficult temperament of mother's parenting stress weren'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Intervention Group Ⅰ, Intervention Group Ⅱ, and Ordinary Group. Furthermore, it was observed that decreases in young children’s aggression and improvements in their prosocial behavior, emotion regulation ability and social skill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programs. In conclusion, the intervention programs developed in this study were found to be effective in helping aggressive children, and compared to the parent education program, the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showed a particularly high effect on young children’s behavioral change. This study developed and implemented a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nd a parent education program for aggressive children and their parents, and found their own effects. The developed intervention programs are meaningful in that they have interventive effects on reducing children's aggression in their own early childhood years. Simultaneously, it could also prevent severe problem behaviors that might occur in the future when such behaviors are neglected without any intervention. Therefore, these programs are expected to be applied as useful materials that could help both the aggressive children and their parents in community centers and educational institutions such as child day care centers and kindergarten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Ⅱ. 이론적 배경 = 5 A. 공격성의 정의 = 5 B. 공격성의 관련 변인 = 7 1. 아동관련 변인 = 7 2. 부모관련 변인 = 12 C. 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고찰 = 16 1.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 = 16 2. 부모교육 프로그램 = 23 D. 연구문제 = 27 Ⅲ. 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 29 A.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절차 = 29 B.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 = 31 1.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 인지-행동적 접근 = 31 2.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 구성 및 내용 = 34 3. 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의 운영 = 40 C. 부모교육 프로그램 = 40 1.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이론적 근거: 인지-행동적 접근 = 40 2.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교육 목표, 구성 및 내용 = 42 3.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 48 Ⅳ. 연구방법 = 49 A. 연구 설계 = 49 B. 연구 참여자 및 집단 구성 = 50 C. 조사 도구 = 51 D. 조사 절차 = 55 E. 자료 분석 = 57 Ⅴ. 연구 결과 = 58 A. 예비 분석: 집단 간 아동관련 변인과 부모관련 변인의 사전 검사 차이 = 58 B. 집단별 아동관련 변인과 부모관련 변인의 사전-사후 검사 차이 = 61 C. 집단 간 아동관련 변인과 부모관련 변인의 사후 검사 차이 = 67 D. 아동 행동 관찰을 통한 내용 분석 = 72 Ⅵ. 논의 및 결론 = 77 A.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 77 B. 중재 프로그램의 효과 검증 = 84 참고문헌 = 93 부록 = 111 ABSTRACT = 1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0659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공격적 유아를 위한 중재 프로그램의 개발 및 효과 검증-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subtitle사회적 기술 훈련 프로그램과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for Aggressive Young Children : Focus on Social Skills Training Program and Parent Education-
dc.creator.othernameKim, Min-Jung-
dc.format.pagex, 184 p.-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