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최은영-
dc.creator최은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11:08:49Z-
dc.date.available2016-08-26T11:08:49Z-
dc.date.issued2008-
dc.identifier.otherOAK-0000000384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0168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38448-
dc.description.abstractThis study aimed to assess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use in adolescents and attachment to their mothers and peers. The relationship between mobile phone use in adolescents, motivation for achievement and academic achievements were studied. Gender difference was also considered. This study gathered data from 414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in Seoul. They completed five kinds of questionnaires. The devices of measurement were Jang Hye-Jin(2002)'s mobile phone addiction test that revised from Young(1996a)'s internet addiction test and the purpose of using mobile phone extracted from the KADO's research(2005) and Revision of Armsden and Greeberg's(1987, 1991)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IPPA) and Yun mi-sun(2003)'s revision of Amabile et al.(1994)'s 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WPI). The major result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inety two percent of respondents were using mobile phones. The majority agreed that life span of their mobile phones is about between two and four years. Their major purpose of using mobile phones was "to contact easily". This study also figured out that many adolescents use a fixed charge plan and spent between twenty and thirty thousands won per month for their mobile phones fee. In this study, most parents have paid their children's mobile phone bills and controlled their children's overuse. Many adolescents were using it in class and used text messages very frequently for maintaining their friendship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mother attachment as well as peer attachment and the purposes of using mobile phones. As adolescents have low close relationships with their mothers, they have a tendency to use mobile phones for the purpose of avoidance and information. The negative peer attachment has a relation with conspicuous purpose. When it comes to gender difference in the purpose of using mobile phones, male students show a tendency of using them for avoidance, information and conspicuous purpose when they are in low intimacy with their mothers. In case of female students, they tend to use their mobile phones for conspicuous purpose when they are not intimate to their mothers. Third, there were significant relations between mother attachment as well as pe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addiction. The purpose of mobile phone as a mediator on the course of mobile phone addi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The relation between mother attachment and mobile phone addiction was observed in both male and female students. As they develop low intimacy with their mothers, their chances of being addicted to their mobile phones get higher. Especially, female students get highly addicted to mobile phones even just when they do not communicate with their mothers frequently. Also, positive and negative peer attachment have a relation with mobile phone addiction. Male students with negative peer attachment get easily addicted to the phones while female do in both positive and negative peer attachment. Fourth,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ave a relation with the purpose of mobile phone. An internal motivation is inversely proportional to conspicuous purpose while an external motivation is proportional to the purpose of convenient contact. Gender differences are also observed in between achievement motivation and the purpose of using mobile phones. Finally,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have a significant relation with mobile phone addiction. As adolescents pursue an internal motivation, they have a low tendency to be addicted to mobile phones. As adolescents have low academic achievements, they have a high tendency to be addicted to mobile phones. Adolescents' mother attachment, peer attachment, achievement motivation and academic achievement are observed to be effective factors to discover how they get addicted to mobile phones. Parents and teachers should continuously watch them to prevent students from being addicted to their mobile phones.;본 연구는 청소년들의 휴대폰 사용 실태를 포함하여 애착과 성취욕구가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대모애착과 또래애착을 중심으로 휴대폰 사용목적과 휴대폰 중독과의 관계 및 성취동기와 학업성취를 중심으로 휴대폰 사용목적과 휴대폰 중독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남녀학생간의 성차를 살펴보았다. 휴대폰 사용이 청소년기의 주요한 심리적 환경인 어머니 및 또래와의 애착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또한 우리나라 청소년들의 주요 성취 과업인 학업과 어떠한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대상은 성장급등기(growth spurt)를 지나 급격한 신체변화로부터 적응해 가는 시기의 중학교 3학년 및 고등학교 1학년 남녀학생들로서 서울 지역에 거주하는 총 45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 중 휴대폰을 사용하는 414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다. 휴대폰 중독 척도는 장혜진(2002)이 Young(1996a)의 인터넷 중독검사(Internet Addiction Test)와 Goldberg(1996)의 중독진단 기준을 참고로 제작한 도구를, 휴대폰 사용목적에 관한 척도는 ‘청소년의 휴대전화 사용 실태 조사연구’(한국정보문화진흥원, 2005)의 ‘휴대폰 사용동기’에 관한 설문 문항들을, 대모애착 척도는 Armsden과 동료들(1987)의 부모 및 또래에 대한 애착 척도 개정본(Revised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IPPA-R)의 홍주영(2002)번안본을, 또래애착 척도는 Armsden과 Greenberg(1987)이 개발한 IPPA(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의 옥정(1998)수정보완본을, 성취동기는 윤미선(2003)이 Amabile외(1994)의 작업선호검사지(The Work Preference Inventory; WPI)를 기초로 새롭게 제작한 도구를, 학업성취는 학생들의 2학기 중간고사 학급등수를 기준으로 5점 척도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휴대폰 사용실태는 조사대상자 전체의 91.6%가 휴대폰을 사용하였으며, 사용기간은 2년 이상 4년 미만이, 편리하게 통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로 사용하며, 정액 요금제의 사용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요금은 부모님이 주로 지불하며, 휴대폰 사용 요금에 대한 지도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다수의 청소년은 학교에서 수업 중 가끔 문자메시지를 보내는 등 휴대폰 사용으로 인한 학업 수행에 지장이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통화 대상과 문자메시지 대상은 주로 친구이며, 또래관계 유지를 위한 목적이 대부분인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모애착 및 또래애착은 휴대폰 사용목적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어머니와 친밀감이 낮을수록 회피·정보적 목적과 과시적 목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긍정적인 또래애착과 부정적인 또래애착도 휴대폰 사용 목적과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대폰 사용목적에서의 성차는, 남학생은 어머니와 친밀감이 적을수록 특히 회피· 정보적 목적과 과시적 목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향이 높았으며, 여학생은 어머니와 친밀감이 적을수록 과시적 목적으로 휴대폰을 사용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모애착 및 또래애착은 휴대폰 중독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모애착과 휴대폰 중독 간의 관계에서 휴대폰 사용목적의 매개적 역할이 나타나 휴대폰 사용목적에 의한 휴대폰 중독의 과정을 규명할 수 있었다. 남녀학생 모두 대모애착과 휴대폰 중독 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어머니와의 친밀감이 낮을수록 휴대폰 중독이 높았으며, 특히 여학생은 어머니와의 의사소통이 적은 경우에도 휴대폰 중독의 경향이 높게 나타났다. 또래관계 중심으로 한 분석에서 남학생은 부정적인 또래애착을 형성할수록 휴대폰 중독이 증가하였으며, 여학생은 긍정적인 또래애착과 부정적인 또래애착 모두 휴대폰 중독의 경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와 휴대폰 사용목적간의 관계에서는 내적동기와 과시적 목적 간에 유의한 부적 관계가 나타났다. 반면 외적동기와 과시적 목적 및 접촉의 편의적 목적 간에는 유의한 정적 관계가 나타났다. 성취동기와 휴대폰 사용목적 간의 관계에서의 성차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는 휴대폰 중독과 유의한 관련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적동기를 추구할수록 휴대폰 중독의 경향이 낮아지는 경향이 있으며, 학업성취가 낮을수록 휴대폰 중독의 경향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성취동기와 휴대폰 중독간의 관계에서 과시적인 휴대폰 사용목적에 의한 매개 효과가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대모애착 및 또래애착,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는 휴대폰 중독에 매우 설명력이 높은 변인으로 나타났다. 청소년들의 휴대폰 중독을 방지하고 바람직한 사용을 위하여 부모와 교사들의 관심과 개입이 지속되어야 함을 시사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 1 II. 이론적 배경 = 4 A. 휴대폰 중독 = 4 1. 휴대폰 중독의 정의 및 특성 = 4 가. 중독의 정의 = 4 나. 휴대폰 중독의 정의 및 특성 = 4 2. 휴대폰 중독의 원인에 관한 선행 연구 = 5 가. 휴대폰의 특성에 의한 원인 = 5 나. 휴대폰 사용자의 심리적 특성에 의한 원인 = 7 3. 휴대폰 중독에서의 성차 = 8 가. 휴대폰 사용에서의 성차 = 8 나. 사회경제학적 특성 및 기타 변인 = 9 B. 휴대폰 사용목적 = 11 1. 휴대폰 사용목적의 정의 = 11 2. 휴대폰 사용목적에 관한 선행연구 = 11 C. 애착과 휴대폰 사용 = 13 1. 청소년기의 애착 = 13 가. 애착의 개념 및 유형 = 13 나. 청소년기의 대모애착 및 또래애착 = 14 2. 청소년의 애착욕구 충족을 위한 휴대폰 사용 = 16 D. 성취욕구와 휴대폰 사용 = 18 1. 청소년기의 성취욕구 = 18 2. 청소년의 성취욕구 충족을 위한 휴대폰 사용 = 19 E. 연구문제 = 22 1. 연구문제 = 22 III. 연구방법 = 23 A. 예비조사 = 23 B. 본조사 = 23 1. 연구대상 = 23 2. 측정도구 = 26 3. 자료분석 = 35 IV. 연구결과 및 해석 = 36 A. 연구대상자들의 휴대폰 사용 실태 = 36 B. 애착과 휴대폰 사용 = 41 1. 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휴대폰 사용목적과의 관계 = 41 2. 대모애착 및 또래애착과 휴대폰 사용목적, 휴대폰 중독 간 관계 = 42 3. 애착과 휴대폰 사용에서의 성차 = 46 C. 성취욕구와 휴대폰 사용 = 51 1.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와 휴대폰 사용목적 간 관계 = 51 2. 성취동기 및 학업성취와 휴대폰 사용목적, 휴대폰 중독 간 관계 = 52 3. 성취욕구와 휴대폰 사용에서의 성차 = 55 V. 논의 및 결론 = 59 참고문헌 = 66 <부록1>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 = 74 <부록2>설문지 = 75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2457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청소년의 애착과 성취욕구가 휴대폰 중독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ffects of Attachment and Achievement Needs on Adolescents' Mobile Phone Addiction-
dc.creator.othernameChoi, Eun Young-
dc.format.pagevii, 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소비자인간발달학과-
dc.date.awarded2008.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