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4 Download: 0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 Title
-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관한 연구
- Other Titles
- A Study on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Female Alcoholics
- Authors
- 김정윤
- Issue Date
- 2008
- Department/Major
-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 Publisher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 Degree
- Master
- Abstract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research stress and coping behavior of female alcoholics, and analyze characteristics of female alcoholics according to sociology of population, research relationship between stress situation and stress coping behavior for each characteristics as to help improve rehabilitation program for female alcoholics.
From October 16, 2007 to November 16, 2007, 15 cooperating hospitals was chosen from alcoholics centric hospitals for this research. 78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mong 11 hospitals. 5 were excluded from this research because of to many unanswered questions or poor reliability of answers. ‘Ordinary Stress Measure' and 'Coping Checklist Measure' was used in the research.
Finally, 73 questionnair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t-test and ANOVA.
Meaningful results of this study are:
First, mean of all ordinary stress was 67.34. Dividing the cause of alcoholics to five factors, family relationship, social relationship, economic conditin, health condition and social environment, health stress was the highest with mean of 1.13. Female alcoholics are physically and mentally stressed by alcohol problems than other problems. Family relationship stress(1.01), economic condition(0.90) were high and social environment stress(0.73), social relationship stress(0.68) followed.
Second, most used stress coping method for female alcoholics was wishful thinking(1.87), followed by problem centric coping(1.59), social acceptance pursuit(1.51).
Third, from analysis of relationship between characteristics of alcoholics and coping method, income was statistically related to social acceptance pursuit coping (p<.05). Also, job occupation was statistically related to social acceptance pursuit coping (p<.10).
Emotion easement coping was statistically related to years since first outbreak. Also, marriage status were weakly related statistically (p<0.10). And, income and years since first outbreak was statically related to wishful thinking (p<.05).;본 연구는 알코올과 관련된 여성의 특성과 스트레스의 개념, 대처방법의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은 어떠하고 알콜관련 특성은 어떠한지, 여성알코올중독자의 각각의 특성에 따른 스트레스 요인과 대처방법은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여성알코올중독자를 위한 재활프로그램 개입을 위한 함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는 2007년 10월 16일부터 11월 16일까지, 알코올중독자를 중심으로 치료하는 병원을 표집하여 그 중에서 본 연구에 협조가 가능한 15개 병원을 최종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15개 병원의 사회복지사 또는 알코올담당실무자에게 설문지의 목적과 유의점을 설명하였으며, 우편으로 발송, 회수하였다. 병원사정이나 치료자 사정으로 4개 병원은 회수가 불가능 하였고 11개 병원에서 78부가 수거되었으며, 그 중 복수응답을 하거나 여러문항을 체크하지 않아 신뢰성이 떨어진 사용 불가능한 설문지 5부를 제외한 73부를 통계분석에 사용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일반적 특성과 알코올관련 특성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일반적 특성과 알코올관련 특성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연령은 30대(39.7%)~ 40대(34.2%)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였으며, 교육수준은 고졸이 37명(50.7%)로 가장 많았고, 종교는 무교가 27명(37%)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기독교, 천주교, 불교등으로 나타났다. 현재 직업으로는 주부가 34명(46.6%)으로 가장 많았고, 직업이 없는 무직자들도 18명(24.7%)으로 나타났다.
결혼상태는 기혼자가 29명(39.7%)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이혼(27.4%), 미혼(24.7%)등으로 나타났다. 가족수는 1명부터 9명까지 다양했는데 그 중 4명(35.6%)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소득정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0원이 31명(42.5%)로 소득이 전혀 없는 응답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고 발병년도는 3년 이상 10년이하가 가장 많았다.
응답자의 입원횟수는 두번 19명(26.0%)과 다섯번 이상(26.0%)이 가장 많았다. 반면에 유병기간은 1년미만 32명(43.8%), 1~2년전 15명(20.5%), 3~4년전 16명(21.9%), 5~10년전 9명(12.3%), 11~20년전 1명(1.4%)으로 발병년도에 비해 치료가 늦음을 알 수 있다. A.A 모임참여는 전혀없다가 34명(46.6%)으로 가장 많았고 의료보장형태는 의료보험이 44명(60.3%)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치료비부담자로는 배우자(37%)가 가장 많았다. 연구대상자의 알코올가족력은 있다가 37명(50.7%), 없다가 36명(49.3%)로 거의 비슷하였다. 마지막으로 알코올외 정신과적 가족력은 없음이 57명(78.1%)로 있음 16명(21.9%)에 비해 많았다.
2.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
일상적 스트레스점수의 전체평균은 67.34점이며 항목별 평균은 0.92로 나타났다.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요인을 가족관계, 사회관계, 경제적, 건강, 사회환경의 5가지로 나누어 비교한 것에서는 건강 스트레스가 평균 1.13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는데 이로 인해 여성알코올중독자는 다른 스트레스에 비해 알코올문제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으로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리고 그 다음으로 가족관계 스트레스(1.01), 경제적 스트레스(0.90)가 높은 편이고, 사회환경 스트레스(0.73), 사회관계 스트레스(0.68)로 나타났다.
3.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 대처방법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 대처방법 중 가장 많이 사용하는 대처방법은 소망적 대처(1.87)였고 다음으로 문제집중적대처(1.59), 사회적 지지추구(1.51)로 나타났다.
여성알코올중독자의 각각의 특성에 따른 대처방법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로는 연구결과 소득(F=3.390)은 사회적 지지추구대처와 통계적으로 유의미(p<.05)하였다. 또한 직업유무는 사회적 지지 추구대처와 미미하지만 유의미한 결과(p<.10)가 나타났다.
여성알코올중독자의 특성에 따른 정서 완화적 대처도 연구결과 발병년도(F=3.483)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결혼상태도 미미하지만 유의미한 차이(p<.10)가 나타났다. 그리고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소득(F=3.270)과 발병년도(F=3.628)에 따른 소망적 사고 대처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p<.05)가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분석결과를 토대로 하여 사회복지적 임상실천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조사결과 여성알코올중독자의 가장 큰 스트레스 요인은 건강 스트레스였다. 또한 개별문항에서도 ‘술’과 ‘나의 건강’이 높게 나타났는데 이에 따른 스트레스를 관리하려면 치료과정에서 대상자들에게 인지행동치료등을 실시하여 ‘술’로 인한 스트레스 상황을 합리적으로 극복하게 해주는 것이 필요하리라 생각되어진다. 또한 건강교육을 실시하여 자신의 몸 상태를 바르게 알게 하고 건강증진을 위해 개인이 할 수 있는 직접적인 방법에 대해 제시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그리고 개별문항 중 세 번째로 높게 나타난 스트레스원인 ‘가정과 관련된 의무’등에 대해서는 적극적인 상담을 통하여 여성알코올중독자가 느끼는 구체적인 문제에 대해 파악하고 ‘사회기술훈련’등의 프로그램을 통하여 지혜롭게 대처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알콜관련 특성 중 A.A참여를 한 번도 하지 않은 사람들이 34명(46.6%)로 나타났다. 알코올중독자에게는 재발방지가 중요한데 사회복지사는 재발방지를 위해 퇴원 후 A.A 집단에 연결하거나 A.A 등의 집단을 구성하도록 도움을 주는 촉매자, 가능자로서의 역할을 통하여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재발을 방지해야 할 것이다.
셋째,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스트레스 대처방법을 살펴본 결과 소망적 대처가 가장 크게 나타났는데 소망적 대처를 통해서는 스트레스를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고 재발할 수 있으므로 올바른 스트레스 대처방법은 무엇인지에 대해 교육하고 여성알코올중독자들이 스트레스 상황시 올바른 대처를 적절히 할 수 있도록 훈련시켜야 할 것이다.
넷째,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소득과 사회적지지추구대처, 여성알코올중독자의 발병년도와 정서 완화적 대처,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소득 및 발병년도에 따른 소망적 사고 대처는 연구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므로 재활 프로그램개발시 이들 변인에 대한 특성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후속연구를 위한 제언을 하자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에서는 병원에 입원해 있는 여성알코올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하였으므로 비교적 안정적 환경에서 설문에 참여하였으므로 스트레스 측정시 영향을 미쳤으리라 생각되어진다. 이에 입원하지 않은 여성알코올중독자들 또는 A.A모임에 참여중인 여성알코올중독자를 대상으로 한 스트레스와 대처방안에 관한 연구가 필요하겠다.
둘째, 스트레스에는 극복하도록 돕는 대응기술과 더불어 알코올중독자가 활용 가능한 사회적 지지등이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사회적 지지, 가족 지지도에 따른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필요하리라고 생각된다.
최근 여성의 알코올문제는 사회적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으며, 수적인 면에서도 증가하고 있다. 알코올문제를 치료하는데 있어서는 재발방지가 중요하며 재발방지를 위해서는 스트레스 상황에 효과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여성알코올중독자를 대상으로 알코올의 재발의 원인인 스트레스 상황과 대처방법, 여성알코올중독자의 인구사회학적, 알콜관련특성을 알아보고 그에 따른 스트레스와 대처방법에 대해 살펴보았다.
현재 알코올중독에 대해 연구는 많이 되고 있지만 여성 알코올중독자에 대한 연구는 최근 10년 안에 행해진 몇 개에 불과하다. 앞으로 여성알코올중독자는 더욱 증가하리라 예상되어지고 있으므로 남성이 아닌 여성의 스트레스 상황과 대처방법에 대해 살펴보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일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하여 여성알코올중독자를 이해하고 나아가 여성알코올중독자를 위한 치료프로그램모형개발에 도움이 되고 궁극적으로는 알코올중독환자의 치료대책 수립을 위한다는데 함의를 찾을 수 있다.
- Fulltext
- Show the fulltext
- Appears in Collections:
-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 Export
- RIS (EndNote)
- XLS (Excel)
- X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