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25 Download: 0

빈곤여성가구주에 대한 강점관점 사례관리 적용 연구

Title
빈곤여성가구주에 대한 강점관점 사례관리 적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of Strength Perspective for Female Householder in Poverty Level
Authors
박석란
Issue Date
2008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thesis is to discuss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case management for strength perspective in social welfare practice field on the female headed families, which consist of the largest rate of poverty people, and to suggest basis for availability. The outcome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group under the case management of strength perspective and the other group without the case management are as follows. The first, the female headed families that participated in strength perspective case management service show more satisfaction rate of living than non participants of female headed families. There are ten sub-sections of satisfaction in living, and the female householder who participated in strength perspective case management service feel high level of satisfaction in eight sub-sections such as friendship, family and relative relationship, physical and mental state, work, relationship with others, social life and leisure, satisfaction feeling, self-control. But the survey did not show any difference of satisfaction rate in the two other sub-sections such as basic living style and house financial condition. From this, the visible change will not be occurred in those areas such as basic living condition and home financial condition, even though the female householder participates in short-term case management. Second, female headed families in poverty level who take part in strength perspective case management service show high satisfaction in strength recognition level than female headed families who do not part in the service. The five out of the seven sub- areas of strength recognition, such as internal aptitude, adopting ability, communication ability with others, resources, positive recognition, show more responses of poverty families that participate the service than non-participant female headed families. Particularly, among the sub-areas, there is remarkable difference in resource utilization ability between the intervention group and non-intervention group. This result indicates that client is getting equipped with ability to solve personal issues by herself even after the termination of case management, for she raised her abilities to utilize official and private resources through the participation of the service. By the way, there is no significant change in the two sub-areas such as will to change and conviction system regardless of strength perspective case management service. Probably it is the reason for the above mentioned result that the female householder in poverty level has to overcome various changes and crisis. This case management of strength perspective must be spread in social welfare field, and the thesis thus discusses several suggestions: First, the structural environment of practical field must be changed to make strength perspective case management service available. Second, evaluation frame, manual, and evaluation standard to be fitted into strength perspective case management service must be developed, and thirdly the further research must be made for the issues of case management for Korean model of poverty households and to bring positive changes in clients' lives through case management. Fourth, practical activist must be educated constantly and their needs must be met through the expansion of educational institutions and the professional supervision. Lastly, case manager who carry out the strength perspective should make her or his effort to maintain strength perspective and to connect or develop resources of the local communities and clients. In conclusion, strength perspective case management is the practical model to help female householder in poverty level to be independent psychologically, emotionally, and socially. To spread this service, constant efforts in social welfare fields must be made.;본 연구는 사회복지 실천현장에서 강점관점 사례관리의 연구와 논의가 부족한 상태에서 빈곤의 다수를 차지하는 빈곤여성가구주를 대상으로 강점관점 사례관리를 실제 적용해보고, 앞으로 활용가능성에 대한 근거를 제시해 보고자 했다. 강점관점 사례관리 개입집단과 비 개입집단의 삶의 만족도와 강점인식의 비교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강점관점 사례관리서비스에 참여한 빈곤여성가구주의 삶의 만족도는 참여하지 않은 빈곤여성가구주의 삶의 만족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삶의 만족도의 10가지 하위영역에 대해서는 강점관점 사례관리서비스에 참여한 빈곤여성가구주가 친구관계, 가족친척관계, 신체·정신, 일(직업), 대인관계, 사회생활 및 여가, 행복감, 자율성 8개 영역에 대해서는 사례관리에 참여하지 않는 빈곤여성가구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의식주와 경제 영역에 대해서는 강점관점 사례관리 유무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짧은 기간의 사례관리를 통해 경제적인 부분과 의식주 영역과 같은 삶의 질과 관련된 부분은 만족할 만큼의 변화를 가져오기는 쉽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둘째, 강점관점 사례관리서비스에 참여한 빈곤여성가구주의 강점인식정도는 참여하지 않은 빈곤여성가구주의 강점인식정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강점인식의 7개 하위영역 가운데 내적성향, 대처능력, 대인관계능력, 자원, 긍정적 인식 5개 하위영역에 대해서는 강점관점 사례관리서비스에 참여한 빈곤여성가구주가 참여하지 않은 빈곤여성가구주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하위영역 가운데 자원 활용능력의 경우는 개입집단과 비 개입집단의 차이가 두드러졌는데, 이는 사례관리 참여로 인해 내담자가 비공식적인 자원과 공식적인 자원의 활용에 대한 능력이 높아짐에 따라 사례관리 종결 후에도 내담자가 스스로 자신의 문제를 해결해 나갈 수 있는 역량이 강화되었음을 말해주는 부분이기도 하다. 반면 변화의지, 신념체계의 2가지 영역에서는 강점관점 사례관리 유무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다양한 생활의 변화와 어려움을 극복하면서 살아야만 하는 빈곤여성가구주에게 변화에 대한 동기화나 신념체계는 사례관리 유무와 관계가 없이 비슷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러한 강점관점의 사례관리가 사회복지 현장에 좀 더 확대 적용되기 위해 몇가지 제안을 하였는데, 첫째 실천현장의 조직 환경이 강점관점사례관리가 가능하도록 바뀌어야 하며, 둘째, 강점관점의 사례관리에 맞는 평가 틀과 평가척도 및 매뉴얼이 개발·보급되어야 하고, 셋째 한국의 빈곤상황에 맞는 한국형 사례관리에 대한 연구와 함께 사례관리를 통한 내담자의 변화를 단기간이 아닌 축적된 연구를 통해 강점관점의 사례관리가 내담자의 삶에 어떤 변화를 가져오는지에 대한 현장의 합의가 이루어져야 되며, 넷째 강점관점 실천을 하기 원하는 실천가를 교육하고 현장중심의 수퍼비전을 할 수 있는 교육인적자원과 교육기관의 확충을 통해 현장실천가들의 교육 욕구에 민감하게 대처해야 하며, 마지막으로 강점관점을 실천하는 사례관리자는 내담자 뿐 만아니라 지역사회의 자원을 발굴하고 조직하고 연계함에 있어서도 강점관점을 유지하려는 노력을 해야 한다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강점관점 사례관리는 복합적인 문제를 가지고 살아가는 빈곤여성가구주의 심리, 정서, 사회적인 자립자활을 돕는데 유용한 실천모델이며, 이의 확대 적용을 위한 사회복지 실천현장의 계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