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7 Download: 0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가족의식에 관한 연구

Title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가족의식에 관한 연구
Authors
박지혜
Issue Date
2004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논문은 2004년 2월 '건강가정기본법' 제정 이후, 가족정책의 구체적 실행을 앞둔 한국사회에서, 다양한 이념을 가지고 있는 시민단체들의 가족의식이 향후 가족정책에 영향을 미친다는 전제하에,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가족의식은 어떠한가에 대한 관심에서 출발하였다. 문제에 대한 규명은 문제의 인지에 따라 영향을 받으며, 그것은 정책의 목적 또는 목표의 설정에 영향을 준다. 국가가 갖고 있는 복지이념이 복지정책을 통해 표현되듯이(송근원ㆍ김태성, 1997), 국가가 갖고 있는 가족에 대한 이념은 구체적인 가족정책을 통해 표현된다고 할 수 있다. 정당정치가 미숙한 우리 사회에서 시민단체의 정책결정참여자로서의 영향력은 아직 미비한 수준이라고 할 수 있으나, 1990년대 이후 호주제 폐지와 모성보호법과 같은 가족관련 법 제정과정에 참여하고 있는 여성단체를 비롯해 '건강가정기본법'제정 과정에서 가족단체들을 중심으로 결성된 '건강가정시민연대' 등 가족이슈를 다루는 시민단체들은 날로 증가하고 있으며, 그 영향력 또한 점차 증가하고 있다. 이에 가족이슈를 다루는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전체적인 가족의식은 향후 한국 가족정책에 중요한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가족이슈를 다루는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가족의식을 살펴보고, 조사자 특성별 집단간 견해의 차이가 있는지 규명해 보았으며, 이를 통해 추상적인 수준에서나마 향후 우리사회에 전개 될 가족정책의 방향을 예견하고, 사회복지적 함의를 고찰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가족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의식으로 선택한 가족개념, 가족기능, 가족주의 및 성평등의식에 대한 이론 및 선행연구 고찰을 통해 각각이 갖는 의미와, 이들에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선행연구와 연구자의 판단하에 선택한 5개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3개의 직업적 특성으로 구성된 독립변수를 의미있는 요인으로 하여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가족이슈를 다루고 있는 '가족분야', '사회일반분야', '여성분야'의 세 개 분야 전체 26개 단체에서 가족업무를 다루고있는 활동가들을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자료수집은 2004년 4월 20일에서 5월 11일까지 약 3주 동안 이루어졌으며, 분석에 사용된 자료는 130개였다. 조사연구를 통해 산출된 주요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족개념을 살펴보기 위해 사용한 가족구성의 다양성 수용도는 5점 척도, 평균 3.80 (표준편차 .94)으로 가족이슈를 다루는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가족개념은 비교적 유연한것으로 나타났다. 가족구성기준에 해당하는 혈연성, 부계성, 동일거주성, 동일 가계성 중 동일가계성에 대한 기준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혈연성에 대한 기준이 높게 나타났다. 가족개념은 여성이 남성보다 수용적이고, 이혼집단이 유배우와 미혼집단보다 수용적이었다. 가족성원들을 위한 11개 가족기능에 대한 필요도는, 전체 5점 만점 기준 평균 3.90 (표준편차 .65)의 비교적 높은 필요도를 보였다. 가족성원을 위한 가족기능 중 '애정교환 및 정서적 지지ㆍ유대' 기능에 대한 필요도가 가장 높은 평균 4.57을 나타내었다. 사회를 위한 6개 가족기능에 대한 필요도는, 5점 만점 기준 평균 3.51(표준편차 .91)의 3점 이상의 비교적 높은 필요도를 보였으나, 이는 가족성원을 위한 가족기능 필요도에 비해 낮은 결과이다. 사회를 위한 가족기능 중 '문화의 세대간 전달' 기능과, '사회안정화 기능'이 높게 보고되었다. 가족성원을 위한 가족기능의 필요도 인식은 성별, 혼인상태, 전공의 3개 특성이 집단별 수준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검증되었고, 사회를 위한 가족기능 필요도 인식은 성별, 연령, 혼인상태, 전공의 4개 특성이 집단별 수준 차이를 가져오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가족주의가치관은 5점 척도의 평균 2.01로 낮은 가족주의 가치관을 보여주었다. 가족주의 가치관 중 가족우선성이 평균 2.55로 가장 높은 결과를 보이나, 전체적으로 부정되고 있다. 남성의 가족주의 가치관 수준이 여성보다 높았고, 경제학, 신학 전공자의 경우 가족주의 가치관 수준이 다른 집단에 비해 높았다. 활동단체 중 여성단체의 가족주의 가치관이 다른 두 단체에 비해 낮은 결과를 보였다. 성평등의식에 있어 시민단체 활동가들은 부부관계의 평등적인 결정권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을 뿐 아니라, 부부관계에 있어 성별에 따라 차별적인 역할 구분 역시 수용하지 않고 있었다. 전체 성평등의식의 평균은 4.18로 매우 높은 수준을 나타냈으며, 남성보다 여성이, 유배우보다 미혼과 이혼 집단이, 가족단체와 사회일반보다 여성단체의 성 평등의식 수준이 높았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가족이슈를 다루는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전반적인 가족의식 수준으로 보아, 기존의 전통성을 강조한 가족정책의 큰 틀은 전통적 가족, 즉 과거로의 회귀를 추구하기 보다는 변화하는 사회에 맞게 가족의 변화를 수용하고, 이를 정책에도 반영하는 근대성이 담긴 정책으로 변화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둘째, 전통적 가족구성기준에 달하지 않는 가족에 대해서도 정책의 적용대상으로 수용할 가능성이 높음을 예상할 수 있다.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가족다양성 수용도가 높은 수준임을 감안할 때, 가족정책의 대상이나 중점 프로그램을 선정하는 과정에서 전통적 가족구성기준은 그리 중요한 조건이 되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 셋째, 가족성원을 위해 존재하는 가족으로서의 기능강화에 초점을 맞출 것이다. 특히 가족성원들을 위한 가족기능 필요도에 대한 활동가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무엇보다도'애정교환 및 정서적 지지ㆍ유대' 기능과, '휴식처로서의 기능', '자녀의 교육'기능, '오락 및 여가기능', '자녀양육과 사회화'기능과 같은 가족성원들의 심리ㆍ정서적인 측면에 대한 가족에 대한 필요성과 자녀의 교육 및 사회화에 대한 기능에 대한 필요도를 정책에서 비중있게 다룰 것으로 예상 할 수 있다. 넷째, 정책의 목표와 관련하여, 남성과 여성의 불평등 이슈에 대한 고려가 가족정책에 담기게 될 가능성이 높다. 오랜 가부장제 가족의 전통이 남아있는 한국 사회에서 아버지와 어머니, 남편과 아내, 아들과 딸의 지위가 가족관계 안에서 비대칭적으로 규정되는 법과 제도들을 개선하는 문제는 향후, 가족정책의 연장선상에서도 긴밀히 연결될 것이다. 다섯째, 활동가들 가족의식의 전반적인 경향은 같으나 성별ㆍ연령ㆍ혼인상태ㆍ전공 및 활동단체에 따라 집단간 차이가 엄연히 존재하고 있어, 큰 흐름에서의 방향성은 유사하나 각 단체의 이념적 정향에 따라 추구하는 가족정책의 세부 방향이 다양하게 전개 될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결과를 통해 도출해 볼 수 있는 사회복지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사회복지영역은 국가 지원서비스의 일차적 담당자로서, 대두되는 가족의 문제를 해결의 중요한 역할자로서의 책임의식을 바탕으로 클라이언트들의 변화하고 있는 가족개념 및 욕구를 파악해야 할 것이다. 또한 이를 정책과 실천에 반영하는 노력들을 진행해야 하며, 그 동안 대인서비스를 담당해 실천 경험을 바탕으로 가족문제 해결에 필요한 정책의 컨텐츠를 제공해야 할 것이다. 특히, 본 연구가 가족이슈를 다루고 있는 시민단체 활동가들의 가족의식을 조사한 결과, 이들을 통해서 앞으로 상당한 수준의 근대성이 추구될 것으로 예상되는 바, 이것이 클라이언트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점검 작업을 수행해야 할 것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family consciousness among the staffs of civil organization and to identify demographic social and vocational factor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amily consciousness among the staffs of civil organization. In addition; it is that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assist in expecting Korean family policy, to design idea of policy purposes. In this study, the family consciousness is concept included family concepts, family function for family members and society, familism, and gender equality in family. The factors associated with the family consciousness among the staffs of civil organization are classified with demographic social characteristics and vocational characteristics. Demographic social characteristics are composed of gender, age, the state of marriage, education, major. Vocational characteristics are composed kinds of organization, carrier, and status of job. The research questions examined in this study are: 【question 1】How is the family concepts, family function for family members and society, familism, and gender equality in family among the staffs of civil organization? 【question 2】Which demographic social characteristics of the staffs in civil organization affect family concepts, family function for family members and society, familism, and gender equality in family? 【question 3】Which vocational characteristics of the staffs in civil organization affect family concepts, family function for family members and society, familism, and gender equality in family? Family consciousness is investigated in this research, using data from a sample of 130 staffs dealing with family issues on civil organization. Family concepts, family function for family members and society, familism, and gender equality in family are measured by the disguised structured for the assessment. A descriptive statistics, ANOVA, Host Doc(Scheffe`Verification) were employed for statistical analysis and so on utilizing the SPSS for 10.0 Windows. The main results of the data analysis were as followed: First, the family constitution diversity acceptance level of the staffs of civil organization was mean 3.80 point (Sd .94), and the figure was relatively high and acceptable. Staffs on civil organization included study participants tend to regard divorced, remarried, and adopted members as families, while classifying gay/lesbian couples. ANOVA discovered significant effects in variables: gender, age, state of marriage, kinds of organization. Second, family function necessity level for family members was mean 3.90(Sd .65), and family function necessity level for society was mean 3.51(Sd .91). Family function necessity level for family members was higher than family function necessity level for society. This people evaluate that the current Korean family need the functional needs of families in emotional support (Mean 4.36), education of his/her children (Mean 4.15), recreation and leisure (Mean 4.06), and social and economic security, and generational transmission of culture. ANOVA of family function necessity level for family members discovered significant effects in variables: gender, state of marriage, major. And ANOVA of family function necessity level for society discovered influential effects in variables: gender, state of marriage, major, and age. Third, familism level of the staffs of civil organization was mean 2.01 point (Sd .73), and the figure was relatively low. 'family priority (Mean 2.55)' of 4 categories was the highest. As a result ANOVA analysis, gender, major, kinds of organization were influential variables explaining the familism of this people. People majored Economics were the highest among the others. And familism level of women's organization staffs was the lowest. Forth, gender equality level in family was mean 4.18 point (Sd .72), and the level was very high. As a result ANOVA analysis, gender, age, state of marriage, kinds of organization were influential variables explaining the gender equality level in family. Woman than man, single and divorced than married, and women's organization staffs than other civil organizations' staffs were some higher. Through this study, we can expect general direction of Korean family policy driven by civil organization is very modernistic. But according to organization can be different in specific policy goals. In these conditions, 'Social Welfare' will understand changing family concepts, and family needs and provide policy contents solving family problems, too.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